목차
1. 실 험 제 목 : 가속도계의 교정과 진동측정
2. 실 험 목 적
3. 기 본 이 론
1) 가속도계 소개와 교정원리
2) 가속도계 교정
3) 보의 고유진동수 해석
4. 실험 기구 명
1) 가속도계 (accelerometer)
2) 교정기 (Vibration Calibrator shaker)
4) AMP
5) 함수발생기
6) Specimen
5. 실험 과정
* 교정기 실험
* 알루미늄 보의 고유진동수를 찾는 실험
6. 실험 결과 및 고찰
1) 첫 번째 실험
2) 두 번째 실험 ( 알루미늄 보에 대한 해석, 실험, 검증 )
7. 결 론
8. 참 고 문 헌
2. 실 험 목 적
3. 기 본 이 론
1) 가속도계 소개와 교정원리
2) 가속도계 교정
3) 보의 고유진동수 해석
4. 실험 기구 명
1) 가속도계 (accelerometer)
2) 교정기 (Vibration Calibrator shaker)
4) AMP
5) 함수발생기
6) Specimen
5. 실험 과정
* 교정기 실험
* 알루미늄 보의 고유진동수를 찾는 실험
6. 실험 결과 및 고찰
1) 첫 번째 실험
2) 두 번째 실험 ( 알루미늄 보에 대한 해석, 실험, 검증 )
7. 결 론
8.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6 Hz
3차
133 Hz
161.7913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② 1.5*30*0.1() 시편
노드 포인트(측정값)
이론값(알루미늄)
1차
8 Hz
9.2014 Hz
2차
48 Hz
57.7816 Hz
3차
144 Hz
161.7913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③ 3.0*50*0.1() 시편
노드 포인트(측정값)
이론값(알루미늄)
1차
3 Hz
3.3128 Hz
2차
17 Hz
20.7609 Hz
3차
50 Hz
58.1315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④ 1.5*50*0.1() 시편
노드 포인트(측정값)
이론값(알루미늄)
1차
3 Hz
3.3128 Hz
2차
17 Hz
20.7609 Hz
3차
45 Hz
58.1315 Hz
4차
91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이 이론값과 측정값의 차이로 볼 때, 알루미늄이라고 생각하고 측정했던 시편이 알루미늄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다른 물질의 탄성계수와 밀도 값을 대입하여 그 시편을 알아본다.
< 철 Steel Structural(ASTM-A36) 밀도 : 7860 kg/ 탄성계수 : 20.0* >
의 값을 대입하여 보았지만, 측정값과는 다름을 보였다.
그리고, ③번째인 3.0*50*0.1() 의 값을 이용하여,
의 식으로 유도해도 구할 수는 없었다.
이번 실험에서 측정한 값이 눈으로 측정한 값이라 정확하지 못하여, 그 값으로 알 수 있는 값들 역시 정확히 알 수 없었다.
7. 결 론
첫 번째 실험에서 우리는 가속도계와 교정기의 쓰임과 작동원리를 알 수 있었고, 가속도계의 교정 및 그 원리를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실험인 보의 해석에서는 각각의 물질이 가지는 고유진동수로 그 물질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로인해 위의 실험에서 알루미늄이라고 알았던 시편을 실험 후에 그 측정값의 오차가 크다는 것으로 다른 물질임을 확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의 해석에서 고유진동수의 값은 L(세로길이)값과 H(두께)에 의해서 변화할 뿐, B(가로길이)의 변화에는 그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8. 참 고 문 헌
1) 진 동
2) 재료 역학
3) 인터넷 네이버
3차
133 Hz
161.7913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② 1.5*30*0.1() 시편
노드 포인트(측정값)
이론값(알루미늄)
1차
8 Hz
9.2014 Hz
2차
48 Hz
57.7816 Hz
3차
144 Hz
161.7913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③ 3.0*50*0.1() 시편
노드 포인트(측정값)
이론값(알루미늄)
1차
3 Hz
3.3128 Hz
2차
17 Hz
20.7609 Hz
3차
50 Hz
58.1315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④ 1.5*50*0.1() 시편
노드 포인트(측정값)
이론값(알루미늄)
1차
3 Hz
3.3128 Hz
2차
17 Hz
20.7609 Hz
3차
45 Hz
58.1315 Hz
4차
91 Hz
두 번째(4,6941), 세 번째(7.8548)는 상수 값만 다르게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이 이론값과 측정값의 차이로 볼 때, 알루미늄이라고 생각하고 측정했던 시편이 알루미늄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다른 물질의 탄성계수와 밀도 값을 대입하여 그 시편을 알아본다.
< 철 Steel Structural(ASTM-A36) 밀도 : 7860 kg/ 탄성계수 : 20.0* >
의 값을 대입하여 보았지만, 측정값과는 다름을 보였다.
그리고, ③번째인 3.0*50*0.1() 의 값을 이용하여,
의 식으로 유도해도 구할 수는 없었다.
이번 실험에서 측정한 값이 눈으로 측정한 값이라 정확하지 못하여, 그 값으로 알 수 있는 값들 역시 정확히 알 수 없었다.
7. 결 론
첫 번째 실험에서 우리는 가속도계와 교정기의 쓰임과 작동원리를 알 수 있었고, 가속도계의 교정 및 그 원리를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실험인 보의 해석에서는 각각의 물질이 가지는 고유진동수로 그 물질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로인해 위의 실험에서 알루미늄이라고 알았던 시편을 실험 후에 그 측정값의 오차가 크다는 것으로 다른 물질임을 확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의 해석에서 고유진동수의 값은 L(세로길이)값과 H(두께)에 의해서 변화할 뿐, B(가로길이)의 변화에는 그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8. 참 고 문 헌
1) 진 동
2) 재료 역학
3) 인터넷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