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원인
*증상
*검사혈액
*치료
*예방
< CASE >
1. 간호사정
2. 신체상태 검진
3. 가족력
4. 검사 결과
5. 처치
6. 약물
7. 간호과정
(1)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1)간호과정 적용
*원인
*증상
*검사혈액
*치료
*예방
< CASE >
1. 간호사정
2. 신체상태 검진
3. 가족력
4. 검사 결과
5. 처치
6. 약물
7. 간호과정
(1)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1)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0.1▼
mg/d
0.5~1.2
② CHEST PA
<같은 개월수의 다른 소아 CHEST PA>
③EEG(10.22)
④ Pediatric routine Echocardiography (2D+Dppler)
sinus tachycardia : 140BPM during sleep
{S,D,S} left arch
No structural anomaly
TR(-), MR(+), trivial
MV E/A = 0.92/1.00m/s
LVID = 28.3/16.9mm, FS = 40.3%
Left main: 2.4mm, LAD : 1.3mm, increased echo of LAD wall
RCA : 1.3mm
(Imp) suspicious kawasaki disease
(rec) IVIG
5. 처치
①입원이후로 fever의 증상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kawasaki disease의 진단하에 10월 22일 Liv-gamma start와 함께 Aspirin po. 복용시작함. 재원 3일후에 CBC&ESR, Lab f/u하였으나 ESR, CRP등 염증수치 감소소견보임. 10월 24일 재원 3일날 fever보이지 않아 퇴원예정이였으나 퇴원 전 mild 하게 fever보여 (2시 20분경 BT-38.3도 측정됨) 해열제 복용후, fever subside 되어 10월 25일 퇴원함.
② daily I/O check.
6. 약물
Liv-gamma
효능
저 및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중증감염증에 항생물질 병용,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타제가 무효로서 현저한 출혈경향이 있고, 외과적 처치 또는 출산 등 일시적 지혈관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 길랑바레증후군(아급성탈수초성다발성긴경염증), 가와사키병(관상동맥합병증 예방목적)
약리
IV용 면역제제(Ig G)
용량
저 및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중증감염증에 항생물질 병용시 : 2.5~5g slow IV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 200~400mg/kg 5일간 사용해도 증상개선 보이지 않으면 투여중지길랑바레증후군, 가와사키병: 400mg/kg 1일 1회 5일간
소아
저 및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중증감염증에 항생물질 병용시 : 100~150 mg/kg slow IV
부작용
쇼크, 과민증상, 급속히 주사시 혈압강하, 간기능수치 상승, 급성신부전
주의
IgA결핍증, 신장애, 용혈성/실혈성 빈혈, 면역부전, 면역억제상태
성분
Aspirin 100mg
약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저해.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중추에 작용해 열을 감소시키고 prostaglandin synthetase를 저해하여 혈소판응집 물질인 thromboxane A2의 생성을 억제
적응증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척추염.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치통, 두통, 월경통, 신경통, 요통,관절통,근육통, 류마티열,섬유조직증식증.
용량
다음 1회 용량을 1일 2~3회 경구투여. 11~14세:400~500mg 7~10세:300~400mg 3~6세:150~250mg 1~2세:100~150mg
부작용
저혈압, 오심, 구토, 가슴앓이, 위통, 소화불량, 피로, 졸음, 어지러움, 이명, 난청.
금기
salicylic acid제제에 과민증 환자, 혈우병, 출혈성 궤양
주의
출혈경향이 있는환자. 기관지 쳔식 환자.
7. 간호과정
(1)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① 환아 울면서 보챈다.
② 열로 인해 힘들어한다.
(1)간호과정 적용
주,객관적 자료
S: “으앙~..으앙~”
O: 환아 엄마의 품에 안겨, 울고 있으며 간호사가 가까이 가려하면 더 울고 보챈다.
간호 진단
입원(낯선 환경)과 관련된 정서적 불안
간호 목표
1. 불안 상태가 사라진다.2. 환자는 반복적인 목적없는 움직임, 손의 떨림 등의 불안한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다.3. 환자는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다.4. 적응을 도와주는 지지적 기제를 이용할 줄 안다.
간호중재
-환아에게 처치하기전, 보호자에게 충분히 처치 과정의 지식과 정보 제공하고 우선 환아에게 연령에 맞는 수준으로 설명하여
심리적 안정 도모한다.-처치 전 후 방법 설명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불안함을 사정하여 눈여겨 본다.
-가벼운 접촉은 환자에게 정서를 도모할수 있다.
간호결과
환아는 간호사가 다가가도 울고 보채지 않았으며 재원 2일째부터는 간호사와 눈을 마주치는 모습 보였다. 병실에서 보호자와 함께 웃으며 놀고 있다.
*문헌고찰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공저. {간호진단분류}. 서울:수문사,
김지영, 홍주영 공저(임상아동간호),현문사
mg/d
0.5~1.2
② CHEST PA
<같은 개월수의 다른 소아 CHEST PA>
③EEG(10.22)
④ Pediatric routine Echocardiography (2D+Dppler)
sinus tachycardia : 140BPM during sleep
{S,D,S} left arch
No structural anomaly
TR(-), MR(+), trivial
MV E/A = 0.92/1.00m/s
LVID = 28.3/16.9mm, FS = 40.3%
Left main: 2.4mm, LAD : 1.3mm, increased echo of LAD wall
RCA : 1.3mm
(Imp) suspicious kawasaki disease
(rec) IVIG
5. 처치
①입원이후로 fever의 증상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kawasaki disease의 진단하에 10월 22일 Liv-gamma start와 함께 Aspirin po. 복용시작함. 재원 3일후에 CBC&ESR, Lab f/u하였으나 ESR, CRP등 염증수치 감소소견보임. 10월 24일 재원 3일날 fever보이지 않아 퇴원예정이였으나 퇴원 전 mild 하게 fever보여 (2시 20분경 BT-38.3도 측정됨) 해열제 복용후, fever subside 되어 10월 25일 퇴원함.
② daily I/O check.
6. 약물
Liv-gamma
효능
저 및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중증감염증에 항생물질 병용,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타제가 무효로서 현저한 출혈경향이 있고, 외과적 처치 또는 출산 등 일시적 지혈관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 길랑바레증후군(아급성탈수초성다발성긴경염증), 가와사키병(관상동맥합병증 예방목적)
약리
IV용 면역제제(Ig G)
용량
저 및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중증감염증에 항생물질 병용시 : 2.5~5g slow IV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 200~400mg/kg 5일간 사용해도 증상개선 보이지 않으면 투여중지길랑바레증후군, 가와사키병: 400mg/kg 1일 1회 5일간
소아
저 및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중증감염증에 항생물질 병용시 : 100~150 mg/kg slow IV
부작용
쇼크, 과민증상, 급속히 주사시 혈압강하, 간기능수치 상승, 급성신부전
주의
IgA결핍증, 신장애, 용혈성/실혈성 빈혈, 면역부전, 면역억제상태
성분
Aspirin 100mg
약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저해.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중추에 작용해 열을 감소시키고 prostaglandin synthetase를 저해하여 혈소판응집 물질인 thromboxane A2의 생성을 억제
적응증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척추염.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치통, 두통, 월경통, 신경통, 요통,관절통,근육통, 류마티열,섬유조직증식증.
용량
다음 1회 용량을 1일 2~3회 경구투여. 11~14세:400~500mg 7~10세:300~400mg 3~6세:150~250mg 1~2세:100~150mg
부작용
저혈압, 오심, 구토, 가슴앓이, 위통, 소화불량, 피로, 졸음, 어지러움, 이명, 난청.
금기
salicylic acid제제에 과민증 환자, 혈우병, 출혈성 궤양
주의
출혈경향이 있는환자. 기관지 쳔식 환자.
7. 간호과정
(1)대상자 문제목록(우선순위 설정)
① 환아 울면서 보챈다.
② 열로 인해 힘들어한다.
(1)간호과정 적용
주,객관적 자료
S: “으앙~..으앙~”
O: 환아 엄마의 품에 안겨, 울고 있으며 간호사가 가까이 가려하면 더 울고 보챈다.
간호 진단
입원(낯선 환경)과 관련된 정서적 불안
간호 목표
1. 불안 상태가 사라진다.2. 환자는 반복적인 목적없는 움직임, 손의 떨림 등의 불안한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다.3. 환자는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다.4. 적응을 도와주는 지지적 기제를 이용할 줄 안다.
간호중재
-환아에게 처치하기전, 보호자에게 충분히 처치 과정의 지식과 정보 제공하고 우선 환아에게 연령에 맞는 수준으로 설명하여
심리적 안정 도모한다.-처치 전 후 방법 설명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불안함을 사정하여 눈여겨 본다.
-가벼운 접촉은 환자에게 정서를 도모할수 있다.
간호결과
환아는 간호사가 다가가도 울고 보채지 않았으며 재원 2일째부터는 간호사와 눈을 마주치는 모습 보였다. 병실에서 보호자와 함께 웃으며 놀고 있다.
*문헌고찰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공저. {간호진단분류}. 서울:수문사,
김지영, 홍주영 공저(임상아동간호),현문사
추천자료
가와사키(Kawasaki)병 간호
가와사키 (Kawasaki) 케이스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 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MCLS)
아동간호학-가와사키(Kawasaki`s Disease) case study
[간호학]가와사키(Kawasaki disease)
가와사키 kawasaki case study
가와사키병 (카와사키병/Kawasaki disease)
[아동 질병, 아동 질환] 가와사키병, 카와사키병(Kawasaki syndrome) 간호중재, 가와사키문헌...
[아동간호학] 가와사키병 (카와사키병, KAWASAKI Disease), 좌심형성부전 증후군 HL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