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Kawasaki disease
1. 정의
2. 발생빈도와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7. 내가 본 임상간호
Ⅱ. 좌심형성부전 증후군 HLHS
1. 정의
2. 발생빈도와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아동과 가족간호
8.선천성 심장 수술 후 가족교육
1. 정의
2. 발생빈도와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7. 내가 본 임상간호
Ⅱ. 좌심형성부전 증후군 HLHS
1. 정의
2. 발생빈도와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아동과 가족간호
8.선천성 심장 수술 후 가족교육
본문내용
st position을 취해주고, morphine sulfate, IV fluid를 투여한다.
10)아동에게 스트레스가 없도록 관리한다.
11)최대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12)수술에 대해 아동과 부모를 준비한다: 말로 감정과 관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8.선천성 심장 수술 후 가족교육
1)활동
-아동이 힘들어하거나 피로해 하는 것을 관찰하도록 교육하고 정상 수유 및 수면 활동을 격려한다.
-심한 놀이와 활동은 퇴원 후 6주가 지날 때까지 피하도록 한다.
-약 2주 후에는 학교에 갈 수 있지만 그 이전까지는 가정에서 교육하도록 권장하고 수술 후 6주 동안은 체육활동에서 제외시킨다.
-비 스트레스성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2)식이
-영아는 모유수유나 조제유 수유로 돌아간다. 적절한 수분섭취에 대해서는 기저귀가 하루에 최소한 5번 젖는지로 확인한다. 분유는 제한하고 조제유나 모유를 추가로 주는 것이 권장된다.
-나이든 아동은 일반 식이를 먹도록 한다.
3)상처관리
-아동은 얕은 욕조에는 앉아도 되며, 보호자는 상처부위 주변을 닦고 가볍게 두드려서 건조시켜야 한다. 첫 주 동안에는 상처를 물에 담그면 안 된다. 샤워와 정상적인 목욕은 2주 후 다시 할 수 있다.
-상처의 발적, 부종, 삼출물, 압통이 없는지 상처를 관찰한다.
-상처부위가 낫기까지 크림, 로션, 파우더를 바르지 않도록 한다.
4)일반사항
-심부전의 징후를 관찰해야한다.
-눈과 발의 부종, 호흡곤란, 부적절한 식이, 지나친 보챔은 의료팀이 더 깊이 검사해야 함을 의미한다.
5)약물: digoxin
-규칙적인 간격으로 약물을 복용한다.
-수유 1시간 전이나 2시간 이후에 복용한다.
-주사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양을 측정하여야 하며 점적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음식이나 음료수와 약을 섞지 않도록 한다.
-저칼륨혈증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식이에 칼륨의 적정량을 유지시킨다.
-혈청 칼륨수치가 떨어지면 digoxin의 효과를 증진시켜서 약물의 독성 위험성도 증가한다.
-약이 남아 있을 때 미리 재 처방 받도록 한다.
-약을 먹지 못했어도 다음번에 2배의 용량으로 투여하지 않는다. 약물투여를 빠뜨리고 4시간 이상 지났다면 약물을 주지 않고 다음시간에 약물을 투여하고 만일 4시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빠뜨린 약물을 바로 투여한다.
-투약 후 물 먹고 양치하도록 한다.
-약물투여 후 아동이 토하더라도 다시 반복해서 약물을 주지 않는다.
-식욕저하, 오심, 구토, 복통, 설사나 시력변화 등의 이상이 있으면 즉각적으로 알린다.
-투여 전 심첨맥박을 1분간 측정하여 서맥을 확인한다. 영아와 어린 아동의 심박동 수가 분당 90~110회이하이면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어용숙 외 9명(2007).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어용숙 외 9명(2007).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김옥녀(2006). 제 6판 수정 임상약리학. 수문사
http://blog.naver.com/heart1715?Redirect=Log&logNo=80043225372
10)아동에게 스트레스가 없도록 관리한다.
11)최대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12)수술에 대해 아동과 부모를 준비한다: 말로 감정과 관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8.선천성 심장 수술 후 가족교육
1)활동
-아동이 힘들어하거나 피로해 하는 것을 관찰하도록 교육하고 정상 수유 및 수면 활동을 격려한다.
-심한 놀이와 활동은 퇴원 후 6주가 지날 때까지 피하도록 한다.
-약 2주 후에는 학교에 갈 수 있지만 그 이전까지는 가정에서 교육하도록 권장하고 수술 후 6주 동안은 체육활동에서 제외시킨다.
-비 스트레스성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2)식이
-영아는 모유수유나 조제유 수유로 돌아간다. 적절한 수분섭취에 대해서는 기저귀가 하루에 최소한 5번 젖는지로 확인한다. 분유는 제한하고 조제유나 모유를 추가로 주는 것이 권장된다.
-나이든 아동은 일반 식이를 먹도록 한다.
3)상처관리
-아동은 얕은 욕조에는 앉아도 되며, 보호자는 상처부위 주변을 닦고 가볍게 두드려서 건조시켜야 한다. 첫 주 동안에는 상처를 물에 담그면 안 된다. 샤워와 정상적인 목욕은 2주 후 다시 할 수 있다.
-상처의 발적, 부종, 삼출물, 압통이 없는지 상처를 관찰한다.
-상처부위가 낫기까지 크림, 로션, 파우더를 바르지 않도록 한다.
4)일반사항
-심부전의 징후를 관찰해야한다.
-눈과 발의 부종, 호흡곤란, 부적절한 식이, 지나친 보챔은 의료팀이 더 깊이 검사해야 함을 의미한다.
5)약물: digoxin
-규칙적인 간격으로 약물을 복용한다.
-수유 1시간 전이나 2시간 이후에 복용한다.
-주사기를 이용하여 정확한 양을 측정하여야 하며 점적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음식이나 음료수와 약을 섞지 않도록 한다.
-저칼륨혈증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식이에 칼륨의 적정량을 유지시킨다.
-혈청 칼륨수치가 떨어지면 digoxin의 효과를 증진시켜서 약물의 독성 위험성도 증가한다.
-약이 남아 있을 때 미리 재 처방 받도록 한다.
-약을 먹지 못했어도 다음번에 2배의 용량으로 투여하지 않는다. 약물투여를 빠뜨리고 4시간 이상 지났다면 약물을 주지 않고 다음시간에 약물을 투여하고 만일 4시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빠뜨린 약물을 바로 투여한다.
-투약 후 물 먹고 양치하도록 한다.
-약물투여 후 아동이 토하더라도 다시 반복해서 약물을 주지 않는다.
-식욕저하, 오심, 구토, 복통, 설사나 시력변화 등의 이상이 있으면 즉각적으로 알린다.
-투여 전 심첨맥박을 1분간 측정하여 서맥을 확인한다. 영아와 어린 아동의 심박동 수가 분당 90~110회이하이면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 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어용숙 외 9명(2007).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어용숙 외 9명(2007).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김옥녀(2006). 제 6판 수정 임상약리학. 수문사
http://blog.naver.com/heart1715?Redirect=Log&logNo=80043225372
키워드
추천자료
Grave's disease
Spinal disease
응급실(chronic kidney disease,apn,seizure) 클리니컬 노트 케이스
Buerger's disease 환자 케이스 간호 진단 간호 중재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죽상경화증 case study
아동간호 CASE STUDY (가와사키병)
PARKINSON DISEASE (파킨슨병)
가와사키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creutzfeldt-jacob disease
파킨슨병(parkin's disease)
폐색성혈전혈관염, 레이노병, 동맥류, Buerger’s disease, thromboangitis obliterans, Rayna...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간호학] Crohns dise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