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Ⅵ. 퀴즈
Ⅱ. 본론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Ⅵ. 퀴즈
본문내용
횟수, 양 등을 관찰하며 영양섭취 상태를 사정하고 고칼로리 식이을 소량씩 자주 섭취하게 해준다. 그리고 통증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통증 양상을 사정하고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해주며 정기적인 검진과 1~2년 마다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도록 격려해준다.
Ⅳ. 용어정리
1. Peyer’s patch : 장에 딸린 림프조직의 형태로 조약돌 모양의 점막으로 되어 있다
2. 육아종(granulomas) : 섬유아세포와 모세관아세포의 육아조직의 종양모양 덩어리
3. 배변뇨(fecaluria) : 요 중에 배변이 존재하는 상태를 말한다.
4. 복명음(borborygmus) : 장의 가스 이동으로 나는 소리
5. 피부 고리(skin tags) : 꼬리표 처럼 늘어진 피부조직
6. 대장내시경검사 : 내시경을 항문을 통해 삽입하여 대장내부 표면의 염증상태를 관찰
7. 적혈구 침강속도(ESR)
: 항응고제가 혼합된 정맥혈을 시험관에 넣고 일정 시간 수직으로 놓았을 때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시험관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데, 이렇게 시간당 이동한 적혈구의 침강선까지의 거리
8. 실금 : 소변이나 대변이 무의식, 또는 불수의로 배출되는 상태.
9. 지사제 : 설사의 원인이 되는 세균에 작용하는 장내 살균약 ·항생물질 ·술파제 등
10. 하제 : 장내용의 배출 및 여러 원인에 의한 변비에 대해서 사용되고 설사작용을 나타내는 약물을 말한다.
Ⅴ. 참고 문헌
1. 전시자 외. (2005). 성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pp. 500~504
2. 김진환 외. (2011). 성인간호학 . 서울 : 정담미디어, pp.747~759
3. 이향련 외. (2011). 여섯째판 성인간호학1. 서울 : 수문사, pp. 410~412
Ⅵ. 퀴즈
1. 크론씨병이 있는 환자의 진단과정에서 볼 수 있는 소견으로 옳은 것은?
가. 만성적인 국소성 장염으로 주로 하부 회장을 침범한다.
나. 15~35세 젊은 층에 잘 발생한다.
다. 지방 설사와 체중감소를 보인다.
라. 복강 내 장기의 누공을 초래한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정답 ⑤
해설 : x- 선상 연속성을 보인 것이 특성인 궤양성 대장염의 경우 S상 결장으로부터 상행성으로 진행하면서 연속성을 보인다.
2. 궤양성 대장염과 국소성 회장염(크론씨병)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소견으로 옳은 것은?
1) 설사가 조기에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직장출혈이 동반된다.
2) 장 점막의 반흔과 섬유증으로 인해 결장암으로 이행되기 쉽다.
3) 직장부터 침범이 되어 연속성 병소를 보이면서 상행성 침범을 한다.
4) 회장의 말단부위에 호발하며, 장의 전층을 침범하고 누공이 잘 유발된다.
5) 복통, 발열, 체중감소가 나타나며, 증상이 호전되다가 갑자기 악화되기도 한다.
정답 ⑤
해설 : 1)~3)은 궤양성 대장염과 관련된 소견이며 4)는 국소성 회장염,
5)는 두 질환의 공통된 소견으로 만성염증성 장질환으로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재발성 질환이다.
3. 국소성 회장염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간호문제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방설사
2) 체중감소
3) 빈번한 직장출혈
4) 빈혈, 무기력, 피로감, 식욕결핍
5) 오른쪽 아래 구역(RLQ)부위에 동통, 쓰림, 압통
정답 ③
해설 : 직장 출혈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4. 염증성 징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식이를 위해 교육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고단백, 고섬유소, 저지방 식이
2) 고단백, 저 섬유소, 저지방 식이
3) 저단백, 고 섬유소, 고지방 식이
4) 고단백, 저 섬유소, 고지방 식이
5) 저단백, 저 섬유소, 저지방 식이
정답 ②
해설 :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식이는 잔여물이 없고 저지방이며, 단백질이 풍부해야 한다.
5. 염증성 장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장절제 수술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수술 후 악성빈혈이 올 수 있다.
나. 수술 후 마비성 장페색이 올 수 있다.
다. 수술은 궤양성 대장염의 경우에 더욱 흔히 사용된다.
라. 회장루나 결장루술은 일시적으로 사용한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정답 ①
해설: 회장부분이 절제되면 비타민 B가 흡수되지 못하여 악성빈혈이 올 수 있고 마취로 인한 마비성 장폐색이 올 수 있으며, 크론씨 질환에서는 재발이 잘 되기 때문에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을 잘 하지 않는다. 수술은 병소의 위치와 크기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 회장루나 결장루를 사용할 수 있다.
Ⅳ. 용어정리
1. Peyer’s patch : 장에 딸린 림프조직의 형태로 조약돌 모양의 점막으로 되어 있다
2. 육아종(granulomas) : 섬유아세포와 모세관아세포의 육아조직의 종양모양 덩어리
3. 배변뇨(fecaluria) : 요 중에 배변이 존재하는 상태를 말한다.
4. 복명음(borborygmus) : 장의 가스 이동으로 나는 소리
5. 피부 고리(skin tags) : 꼬리표 처럼 늘어진 피부조직
6. 대장내시경검사 : 내시경을 항문을 통해 삽입하여 대장내부 표면의 염증상태를 관찰
7. 적혈구 침강속도(ESR)
: 항응고제가 혼합된 정맥혈을 시험관에 넣고 일정 시간 수직으로 놓았을 때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시험관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데, 이렇게 시간당 이동한 적혈구의 침강선까지의 거리
8. 실금 : 소변이나 대변이 무의식, 또는 불수의로 배출되는 상태.
9. 지사제 : 설사의 원인이 되는 세균에 작용하는 장내 살균약 ·항생물질 ·술파제 등
10. 하제 : 장내용의 배출 및 여러 원인에 의한 변비에 대해서 사용되고 설사작용을 나타내는 약물을 말한다.
Ⅴ. 참고 문헌
1. 전시자 외. (2005). 성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pp. 500~504
2. 김진환 외. (2011). 성인간호학 . 서울 : 정담미디어, pp.747~759
3. 이향련 외. (2011). 여섯째판 성인간호학1. 서울 : 수문사, pp. 410~412
Ⅵ. 퀴즈
1. 크론씨병이 있는 환자의 진단과정에서 볼 수 있는 소견으로 옳은 것은?
가. 만성적인 국소성 장염으로 주로 하부 회장을 침범한다.
나. 15~35세 젊은 층에 잘 발생한다.
다. 지방 설사와 체중감소를 보인다.
라. 복강 내 장기의 누공을 초래한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정답 ⑤
해설 : x- 선상 연속성을 보인 것이 특성인 궤양성 대장염의 경우 S상 결장으로부터 상행성으로 진행하면서 연속성을 보인다.
2. 궤양성 대장염과 국소성 회장염(크론씨병)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소견으로 옳은 것은?
1) 설사가 조기에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직장출혈이 동반된다.
2) 장 점막의 반흔과 섬유증으로 인해 결장암으로 이행되기 쉽다.
3) 직장부터 침범이 되어 연속성 병소를 보이면서 상행성 침범을 한다.
4) 회장의 말단부위에 호발하며, 장의 전층을 침범하고 누공이 잘 유발된다.
5) 복통, 발열, 체중감소가 나타나며, 증상이 호전되다가 갑자기 악화되기도 한다.
정답 ⑤
해설 : 1)~3)은 궤양성 대장염과 관련된 소견이며 4)는 국소성 회장염,
5)는 두 질환의 공통된 소견으로 만성염증성 장질환으로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재발성 질환이다.
3. 국소성 회장염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간호문제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방설사
2) 체중감소
3) 빈번한 직장출혈
4) 빈혈, 무기력, 피로감, 식욕결핍
5) 오른쪽 아래 구역(RLQ)부위에 동통, 쓰림, 압통
정답 ③
해설 : 직장 출혈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4. 염증성 징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식이를 위해 교육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고단백, 고섬유소, 저지방 식이
2) 고단백, 저 섬유소, 저지방 식이
3) 저단백, 고 섬유소, 고지방 식이
4) 고단백, 저 섬유소, 고지방 식이
5) 저단백, 저 섬유소, 저지방 식이
정답 ②
해설 :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식이는 잔여물이 없고 저지방이며, 단백질이 풍부해야 한다.
5. 염증성 장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장절제 수술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수술 후 악성빈혈이 올 수 있다.
나. 수술 후 마비성 장페색이 올 수 있다.
다. 수술은 궤양성 대장염의 경우에 더욱 흔히 사용된다.
라. 회장루나 결장루술은 일시적으로 사용한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정답 ①
해설: 회장부분이 절제되면 비타민 B가 흡수되지 못하여 악성빈혈이 올 수 있고 마취로 인한 마비성 장폐색이 올 수 있으며, 크론씨 질환에서는 재발이 잘 되기 때문에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을 잘 하지 않는다. 수술은 병소의 위치와 크기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 회장루나 결장루를 사용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가와사키(Kawasaki`s Disease) case study
[간호학 임상 CASE] 쯔쯔가무시 (Tsutsugamushi Disease)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모성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반염(pelvic inflammatory disease)
[간호학 임상 C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COPD)
성인간호학 ESRD (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장질환)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CaseStudy
[성인간호학] 대동맥판막질환 (Aortic valve disease)
Crohns disease 크론병 A+
[노인 간호학]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