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간호학]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 간호학]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질병에 대한 기술 <Alzheimer's Disease>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간호력
2) 치료 및 경과
3) 투약
2.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계획
(Nsg. Plan)
간호수행
(Nsg.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e)
평가
(Evaluation)
*주관적 자료(S.D.)
“(휠체어 고정억제대를 만지며) 이것 좀 풀러줘”
복합적인 요인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 질병, 휠체어 사용
재원기간동안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 낙상위험요인을 사정한다.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 낙상위험요인을 사정한다.
낙상유발요인이나 낙상위험요인을 사정하여 제거할 수 있는 요인은 제거하여야 한다.
낙상 발생 없었음.
*객관적 자료(O.D.)
연령이 95세로 고령으로, 신체기력 허약함
1명 이상의 도움으로 휠체어 통해 이동함
의식상태 disoriented로 지남력 없는 상태임
청력장애로 의사소통 어려움
수면장애 있어 야간에 수면이 어려움
알츠하이머 치매를 진단 받음
관절염 과거력이 있음
항정신치료제, 항불안제 약물 복용 중임
휠체어에서 고정억제대 풀려고 하시는 모습 관찰됨
낙상위험성 사정 결과 16점으로 고위험군에 속함
낙상유발요인을 제거하고, 낙상예방을 위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침상에 눕힐 시 침상바퀴 고정시키고, side rail 올리고, 침대 높이를 낮게 한다.
신체손상이나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안전하게 바꾸어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침상높이를 낮게 하고 침상난간을 항상 올려두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야간에 수면 시 바닥에서 이불을 깔고 수면을 취하도록 한다.
이 대상자의 경우, 침상보다 바닥을 더 편안해 하시고, 낙상위험성이 높은 환자이므로 침상보다는 바닥이 안전하다.
화장실 사용 및 이동 시 보조한다.
화장실 사용 및 이동 시 보조한다.
이 대상자의 경우 혼자 움직이는 것이 매우 힘들 것이다. 신체기력이 허약하고, 보행이 어려우므로 혼자 이동하거나 화장실을 사용할 경우 낙상 위험성이 높아진다.
화장실 사용하기 전 도움 요청하도록 교육하고 격려하여 이동을 돕는다.
휠체어(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대상자를 이동시킨다.
휠체어(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대상자를 이동시킨다.
신체기력 허약으로 보행이 어려우므로 안전한 이동을 위해서는 이동 보조기구가 필요하다.
휠체어 사용 시 휠체어 고정 억제대로 고정시킨다.
휠체어 사용 시 휠체어 고정 억제대로 고정시킨다.
자주 조는 모습 관찰되어 앞으로 낙상할 위험이 있고, 전신허약으로 보행을 위해 일어섰을 때 낙상 위험이 높기 때문에 휠체어 사용시 휠체어 고정 억제대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동없이 멈추어 있거나, 환자를 휠체어에서 침상으로 이동시킬 때, 침상에서 휠체어로 이동시킬 때에 휠체어바퀴의 잠금장치를 걸어놓는다.
이동없이 멈추어 있거나, 환자를 휠체어에서 침상으로 이동시킬 때, 침상에서 휠체어로 이동시킬 때에 휠체어바퀴의 잠금장치를 걸어놓는다.
이동없이 혼자 멈추어 있거나, 환자를 휠체어에서 침상으로 이동시키거나, 침상에서 휠체어로 이동 시 낙상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휠체어 바퀴의 잠금장치를 걸어 고정하여 낙상을 막는다.
침대위에‘낙상주의’
펫말을 붙여놓는다.
침대위에‘낙상주의’
펫말을 붙여놓는다.
펫말을 통해 낙상주의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손에 닿는 곳에 둔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손에 닿는 곳에 둔다.
자주 사용하는, 자주 찾는 물건을 멀리 놓으면 그것을 가지려는 과정에서 낙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대상자 손이 닿는 곳에 두도록 한다.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감시를 수행한다.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감시를 수행한다.
이 대상자의 경우, 낙상위험 고위험군으로서 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찰과 감시를 통해 낙상 발생을 예방한다.
Ⅳ. 결론
Alzheimer's disease로 진단 받으신 95세 정○○님은 배회증상 심하나 수발할 가족이 없어, 2011년 7월 13일 걸어서 너싱홈에 입소하셨다. 입소 당시 보행이 짐보따리를 싸들고 집에 가겠다며 문 밖으로 나가시고, 이방저방 다니시는 등의 배회증상을 심하게 보이셨다.
난청으로 인해 대화(의사소통)가 힘들고, orientation 없는 상태로, 전등을 마음대로 끄고 다니는 행동과 집에 가야한다며 나가게 해달라고 떼쓰고 소리 지르는 것을 반복하였다. 그 외에도 쓰레기통 뒤지고, 욕을 하시며 소리 지르시는 행동도 보였다.
2016년 4월 현재 기력저하 및 oral intake poor 호소하여 화장실 출입정도는 가능하지만, 휠체어를 이용해 이동하고 있다. wheel chair 사용으로 배회증상은 줄었으나, 여전히 locking 잠긴 휠체어를 끌고 이방저방 다니시는 모습이 관찰되며, 수면장애 및 oral intake poor 심해졌다. 식사 보조가 필요하며, 안 먹는다고 먹으면 속아파서 먹기 싫다며 식사 거부하시고, 식사 시 덩어리 진 음식은 다시 뱉어내시기도 하였다.
하루 1~2회 인지행동장애 증상으로, 화장실에서 대변 주무르기, 변기 물로 세수하기, 쓰레기통 만지기 등의 불결행동을 보이고, 양말 벗었다 신기, 옷 벗기, 옷 정리하기, 입술 닦기, 휠체어 고정 억제대 풀기와 같은 행동을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수면장애가 심해 휠체어에서 조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수면장애에 대한 여러 가지 간호중재에도 불구하고, 야간에 잠을 못 주무시고, 잠에 들더라도 깊은 잠은 주무시지 못하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해서 앞으로 중재가 좀 더 주의깊게 필요할 것 같다.
또한 2012년에 발병한 Lt Basal Ganglia infarction의 재발 위험이 높으므로, 편측마비나 안면마비, 구음장애, 감각이상, 실인증, 실어증, 시야장애, 의식소실 등과 같은 뇌경색 증상을 주의깊게 관찰하여 증상 발현 즉시 병원 응급실 내원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Ⅴ. 참고문헌
-김금순 외 , 성인간호학 , 2007 , 수문사 , 제 7판
-손정태 외 , 기본간호학 , 2010 , 현문사 , 제 8판
-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의약품 검색
-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Alzheimer's disease / ischemic stroke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7.08.1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