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동물 강의노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가능한 자연 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며 오염과 불필요한 소비를 감소함으로써 자연환경의 보전과 연구 복원을 목표로 하는 국제 비정부 기구홈페이지: http://www.penda.org/
야생동물 관련 국내기구
한국야생동물보호협회: http://www.wildanimals.or.kr/한국동물보호협회: http://koreananimals.or.kr/한국동물보호연합: http://www.kaap.or.kr/동물자유연대: http://www.animals.or.kr/
학습 정리
야생동물과 인간멸종위기 동물야생동물 보전 활동
인수공통전염병
1. 병원성 미생물과 과학의 공헌
학습 목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이해병원성 미생물 분류병원성 미생물 발견의 역사 학습전염병 치료에 대한 과학의 공헌 이해
주요 학습 내용
병원성 미생물의 개요병원성 미생물 종류병원성 미생물 발견의 역사전염병과 인류의 운명인류 건강 지킴이로서 과학자들의 공헌
1. 병원성 미생물 개요
미생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없는 작은 생물병원성 미생물: 전염병을 유발하는 미생물미생물학: 세균학, 바이러스학, 진균학, 원충학, 면역학
2. 병원성 미생물 종류
range of human eye: louse, reproductive structurerange of light microscope: ameba, colonial alga, pediastrum, red blood cell, rod-shaped bacteria(Escherichia coli), coccus-shaped bacterium(Staphylococcus), Rickttsias, large virusesrange of electron microscope: mycoplasma bacteria, AIDS virus, poliovirus, flagellum, large protein, diameter of DNArange special microscope: amino acid(small molecule), hydrogen atom
3. 병원체 발견의 역사
Hippocrates(BC 460-377) ‘On Airs, Waters, and Places’Galenus(BC 201-130) Miasma TheoryG. Fracastoro(1478-1553) Germ theoryCompound MicroscopeJ. Snow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1855)’Sanitary Movement Chadwick, SattuckVaccines of Bacteria and VirusPenicillin(1928, Fleming) and Many AntibiotiesSmallpox Eradication(1980)Emerging Infectious Diseases
4. 전염병과 인류의 운명
페스트(흑사병)콜레라: 원래 인도지방의 풍토병, 대영제국의 군사이동과 식민지 교역, 러시아 전쟁으로 확산, 1817~1823년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 사망, 1850년 3차 유행 시 영국에서 10만 명 사망천연두: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아스텍 잉카 문명 멸망과 천연두의 관계
5. 인류건강 지킴으로서 과학자 공헌
항생제 발견: 알렉산더 플레밍(1881~1955), 페니실린의 발견백신의 개발: 라틴어로 암소를 뜻하는 vacca에서 유래, 파스퇴르 닭 콜레라, 탄저, 광견병 백신 개발, 제너 면역학의 시초
학습 정리
병원성 미생물의 개요병원성 미생물 종류병원성 미생물 발견의 역사전염병과 인류의 운명인류 건강 지킴이로서 과학자들의 공헌
인수공통전염병(Zoonosis)
2. 인수공통전염병
학습 목표
인수공통전염병 정의 이해인수공통전염병 분류 학습세균성 인수공통전염병 이해바이러스성 인수공통전염병 이해
주요 학습 내용
인수공통전염병 정의인수공통전염병 분류세균성 인수공통전염병바이러스성 인수공통전염병
1. 인수공통전염병 의의
사람과 동물의 양쪽에 감염되는 전염병동물로부터 사람에게 감염되는 전염병zoonosis = zoonotic disease
2. 인수공통전염병의 분류
Direct zoonosis병원체의 life cycle 완성에 단 1종의 척추동물을 필요사람 및 타종 척추동물에 이행
Cyclozoonosis2종 이상의 척추동물을 필요사람 및 타종 척추동물에 이행무척추동물이 매개 없이 2종 혹은 그 이상의 척추동물 거침무구, 유구, 조충증, 포충증
Metazoonosis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을 필요무척추동물이 매개에 의해 생물학적 전파 유발무척추동물에서 병원체가 증식 발달다른 척추동물에 감염될 때까지 외부에서의 잠복기가 존재폐흡중증, arbocirus, pest
2. 인수공통전염병의 분류
Saprozoonosis척추동물과 유기분, 토양, 식물 등을 필요간질증, 파상풍, botulism, histoplasosis
3. 세균성 인수공통전염병
렙토스피라증(농부병)흙 속 렙토스피라 세균이 신장에 침입치명적인 질환감염된 들쥐의 오줌 또는 오염된 물에 의해 감염증상: 발열, 식욕부진, 심한 구토, 황달, 혈변, 피오줌, 실명, 경련탈수증이나 간 손상에 의한 황달로 폐사
브루셀라병감염 동물 유산, 사산B. canis, B. abortus, B. suis, B. melitensis유산 후 유산 태아나 유산 물질, 질 분비물 감염감염 동물 정액 감염원
페스트(흑사병)
탄저(anthrax)
4. 바이러스성 인수공통전염병
광견병(rabies)감염동물의 침에서 전염 바이러스 배출물린 상처로 감염물을 두려워하여 ‘공수병’감염된 온혈 동물이 전파원
유행성출혈열(한타바이러스 감염증)신 증후성 출혈열, 유행성출혈열반열, 순환기계 부전, 출혈과 신부전, 급성열성 질환한타 바이러스 속(genus Hantavirus)법정 전염병
조류인플루엔자(조류독감)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닭, 칠면조, 오리, 야생조류제1종 가축전염병국제수역사무국(OIE) List A 질병 분류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사향고양이 유래 추정전파 속도 빠르고 치명적호흡기 증상, 폐렴, 사망
학습 정리
인수공통전염병 정의인수공통전염병 분류세균성 인수공통전염병바이러스성 인수공통전염병
  • 가격3,300
  • 페이지수116페이지
  • 등록일2012.05.21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