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 사건, 사고들은 결코 이득이라 할 수 없다. 이것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본다면 어긋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인간들은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일까? 해밀턴의 규칙으로 설명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한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데에만 수십가지의 요인들이 작용하는데 하물며 수많은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이 사회는 얼마나 많은 변수들이 작용하겠는가. 결론적으로 향후 진화론의 발전 방향은 세가지라고 본다. 첫째로 만물의 궁극적 조상을 밝혀내는 것. 둘째로 혼자보다는 여럿이 자가생존에 유리하면서도 이로 인해 되려 생명의 위해요소들이 더 많아지는 모순된 공동체 사회에 대한 해명, 마지막으로 먼 미래에 인간의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에 대해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추천자료
창조론과 진화론
진화론과 털없는 원숭이
17세기 과학혁명 -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온 과학혁명이 갖는 역사적 의미
창조과학과 우리 삶
다윈의 진화론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다음, 네이버, 야후, 구글의 비교분석보고서
진화론에 반대 하는 창조론!
[털없는 원숭이] 털없는원숭이 감상 및 분석 - 내용요약, 원숭이 변종으로서의 인간, 진화론...
[성경][성서]성경(성서)의 유신론과 진화론, 성경(성서)의 효율과 정의, 성경(성서)의 경제학...
과학이란 무엇인가
(A+) `찰스다윈의 진화론과 갈라파고스 제도` -종의기원-
[오류, 오류분석]오류 분석의 4단계, 발음교정, 수학교육의 오류, 부진문항, 실학의 오류, 불...
근대과학과 학문의 발달_진화론
장애인복지론)장애차별에 관한 일반이론 중 사회진화론 낙인이론 정책부재이론에 대해 설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