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강.<이미지 이야기>
8~9강. <옷과 에로티시즘>
10강.<인체이야기>
8~9강. <옷과 에로티시즘>
10강.<인체이야기>
본문내용
3. 체면손상 행위, 즉 거세의 상징- 강제삭발은 언제나 굴욕의 상징: 포로, 노예나 범죄자 의 머리 깍기
4. 자기의 겸손- 자발적인 삭발행위는 신에게 공개적으로 자기의 겸손과 수련
: 동양의 수도승
<목>
ㆍ여성의 목- 남성보다 길고 보다 가늘다
ㆍ모딜리니안- 여성들의 가는 목의 특징을 과장하여 초여성적인 형상을 창출
ㆍ버마 고지대의 카렌부족 가운데 파다웅파- 우행에 따라 파다웅이라는 놋새목걸이를 어릴 때부터 끼기 시작: 여성의 목을 길게 늘이기 위해 행하는 것
ㆍ일본의 게이샤- 아름다움을 위해 전통적인 목화장/ 목의 뒷덜미는 일본에서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감대의 하나
<어깨>
ㆍ어깨의 기능- 팔의 움직임 원활
ㆍ쇄골과 견갑골이 약 40도 정도로 운동
ㆍ넓은 어깨는 남자의 성별신호
ㆍ에뿔레뜨, 특수 배지(트로피즘)- 눈길을 끌고자 계급을 나타냄, 고조된 어깨에 눈길이 좀 더 머물도록 함
ㆍGuys 패션- 80년대
<가슴>
ㆍ유방-라틴어로 ‘시누스\'(sinus): 곡선, 계곡, 굴곡을 말함
ㆍ유방에 관심을 끌기위한 방법- 은폐/ 노출
ㆍ여성의 가슴의 성역할 차이가 없던시기- 1920, 1960년
ㆍ성역할의 차이가 두드러진 시기는 유방의 선이 강조됨
<손>
ㆍ손은 물리적 영역(물체)과 정신적 영역(의식)
ㆍ손의 정의- 눈에 보이는 뇌의 일부, 손은 정신의 칼날이다(브로노우스키)
ㆍ악수- 중간상인 계급에서 계약과 신용을 상징하는 신체적 언어
ㆍ손바닥이나 손가락의 상향- 생명, 희망, 축복
하향- 죽음, 절망, 저주
ㆍ동서양 막론하고 가장 자유스러운 부분
<엄지손가락>
ㆍ라틴어로 폴렉스(pollex)라 불림, 고대에 남근 상징
ㆍ3가지 핵심적인 의미
1. 방향을 가리킴
2. 남근을 암시하는 욕
3. 만사가 잘된다고 하는 신호
<집게손가락>
ㆍ섬세한 정밀동작을 할 때 엄지와 맞대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손가락
ㆍ다른용어- 사격손가락, 나폴레옹 손가락, 야심의 손가락, 접촉용손가락, 십장, 세상손가락
독 손가락(가장 이상한 것)
<가운데손가락>
ㆍ‘가운데, 유명한, 체면없는, 악명높은, 음란한’ 이라 불림
ㆍ모욕적 남근 표시할 때 사용
<약손가락>
ㆍ약손가락- 안수기도, 혼합몰을 저울 때(로마)
ㆍ반지손가락- 결혼반지를 끼는 풍습(연약, 순종적)
<새끼손가락>
ㆍ라틴어로 ‘제일작은 손가락’, ‘귀손가락’
ㆍ성적자유 상징
<등>
ㆍ여성의 엉덩이를 뒤로 돌출하게 하며 여성의 곡선과 윤곽을 강조
ㆍ일본- 격렬한 색정적 관심을 자아내는 부위로 봄
<허리>
ㆍ13c부터 낭만주의 시대를 거쳐 가는 허리가 이상적인 미의 기준
ㆍ19c말~ 20c초의 아우워 글래스형의 몸매-여성의 엉덩이와 허리의 비율뿐만 아니라 묶임의 의미를 담고 있음- S자형
ㆍ1940년 후반 뉴룩(New look)
<배>
ㆍ빅토리아시대- 배앓기→ 위앓이
ㆍ배불뚝이-출세와 부의 상징
ㆍ여성의 배꼽모양은 요즘 점차 수직형으로 바뀜
ㆍ이슬람 문화권- 배꼽이 섹스와 밀접
ㆍ밸리댄스- 성교운동을 형상화한 것
<엉덩이>
ㆍ유방과 둔부가 반구모양
ㆍHip-Hop에서 유래
ㆍ여성의 궁둥이의 관능미- 칼리퓌기아(Kallipygia)그리스인들은 표현
ㆍ19c말 엉덩이 방석을 넣은 옷 등장- 버슬 스타일
<다리>
ㆍ인체의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인간의 다리는 영장류 중 가장 길다
ㆍ미안대회 참가하는 여성- 늘씬한 다리의 효과가 하이힐의 도움
ㆍ1960, 영국, 마리칸트- 미니 스커트
<발>
ㆍ신데렐라 동화- 발의 학대, 전족
ㆍ발키스는 화학적인 것과 매조키즘적인 두가지 이유를 가진다
1. 화학적으로 음부에서 발견되는 것과 꼭같은 지방산
2. 입을 발에 갖다대는 동작에는 피학대 음란자들을 흥분시키는 기어 다니는 노예적 자세
4. 자기의 겸손- 자발적인 삭발행위는 신에게 공개적으로 자기의 겸손과 수련
: 동양의 수도승
<목>
ㆍ여성의 목- 남성보다 길고 보다 가늘다
ㆍ모딜리니안- 여성들의 가는 목의 특징을 과장하여 초여성적인 형상을 창출
ㆍ버마 고지대의 카렌부족 가운데 파다웅파- 우행에 따라 파다웅이라는 놋새목걸이를 어릴 때부터 끼기 시작: 여성의 목을 길게 늘이기 위해 행하는 것
ㆍ일본의 게이샤- 아름다움을 위해 전통적인 목화장/ 목의 뒷덜미는 일본에서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감대의 하나
<어깨>
ㆍ어깨의 기능- 팔의 움직임 원활
ㆍ쇄골과 견갑골이 약 40도 정도로 운동
ㆍ넓은 어깨는 남자의 성별신호
ㆍ에뿔레뜨, 특수 배지(트로피즘)- 눈길을 끌고자 계급을 나타냄, 고조된 어깨에 눈길이 좀 더 머물도록 함
ㆍGuys 패션- 80년대
<가슴>
ㆍ유방-라틴어로 ‘시누스\'(sinus): 곡선, 계곡, 굴곡을 말함
ㆍ유방에 관심을 끌기위한 방법- 은폐/ 노출
ㆍ여성의 가슴의 성역할 차이가 없던시기- 1920, 1960년
ㆍ성역할의 차이가 두드러진 시기는 유방의 선이 강조됨
<손>
ㆍ손은 물리적 영역(물체)과 정신적 영역(의식)
ㆍ손의 정의- 눈에 보이는 뇌의 일부, 손은 정신의 칼날이다(브로노우스키)
ㆍ악수- 중간상인 계급에서 계약과 신용을 상징하는 신체적 언어
ㆍ손바닥이나 손가락의 상향- 생명, 희망, 축복
하향- 죽음, 절망, 저주
ㆍ동서양 막론하고 가장 자유스러운 부분
<엄지손가락>
ㆍ라틴어로 폴렉스(pollex)라 불림, 고대에 남근 상징
ㆍ3가지 핵심적인 의미
1. 방향을 가리킴
2. 남근을 암시하는 욕
3. 만사가 잘된다고 하는 신호
<집게손가락>
ㆍ섬세한 정밀동작을 할 때 엄지와 맞대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손가락
ㆍ다른용어- 사격손가락, 나폴레옹 손가락, 야심의 손가락, 접촉용손가락, 십장, 세상손가락
독 손가락(가장 이상한 것)
<가운데손가락>
ㆍ‘가운데, 유명한, 체면없는, 악명높은, 음란한’ 이라 불림
ㆍ모욕적 남근 표시할 때 사용
<약손가락>
ㆍ약손가락- 안수기도, 혼합몰을 저울 때(로마)
ㆍ반지손가락- 결혼반지를 끼는 풍습(연약, 순종적)
<새끼손가락>
ㆍ라틴어로 ‘제일작은 손가락’, ‘귀손가락’
ㆍ성적자유 상징
<등>
ㆍ여성의 엉덩이를 뒤로 돌출하게 하며 여성의 곡선과 윤곽을 강조
ㆍ일본- 격렬한 색정적 관심을 자아내는 부위로 봄
<허리>
ㆍ13c부터 낭만주의 시대를 거쳐 가는 허리가 이상적인 미의 기준
ㆍ19c말~ 20c초의 아우워 글래스형의 몸매-여성의 엉덩이와 허리의 비율뿐만 아니라 묶임의 의미를 담고 있음- S자형
ㆍ1940년 후반 뉴룩(New look)
<배>
ㆍ빅토리아시대- 배앓기→ 위앓이
ㆍ배불뚝이-출세와 부의 상징
ㆍ여성의 배꼽모양은 요즘 점차 수직형으로 바뀜
ㆍ이슬람 문화권- 배꼽이 섹스와 밀접
ㆍ밸리댄스- 성교운동을 형상화한 것
<엉덩이>
ㆍ유방과 둔부가 반구모양
ㆍHip-Hop에서 유래
ㆍ여성의 궁둥이의 관능미- 칼리퓌기아(Kallipygia)그리스인들은 표현
ㆍ19c말 엉덩이 방석을 넣은 옷 등장- 버슬 스타일
<다리>
ㆍ인체의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인간의 다리는 영장류 중 가장 길다
ㆍ미안대회 참가하는 여성- 늘씬한 다리의 효과가 하이힐의 도움
ㆍ1960, 영국, 마리칸트- 미니 스커트
<발>
ㆍ신데렐라 동화- 발의 학대, 전족
ㆍ발키스는 화학적인 것과 매조키즘적인 두가지 이유를 가진다
1. 화학적으로 음부에서 발견되는 것과 꼭같은 지방산
2. 입을 발에 갖다대는 동작에는 피학대 음란자들을 흥분시키는 기어 다니는 노예적 자세
추천자료
현대 대중에게 유행하고 있는 패션과 대중문화를 유행의 전파 이론 중 하나로 주장하고 설득...
패션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고찰
현대예술과 관련된 패션스타일인 포스트모던 룩, 팝아트 룩, 펑크 룩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
현대모비스의 재무비율분석과 계산
영국의 자존심 명품 브랜드버버리(BURBERRY)‘브랜드 리포지셔닝(Brand Repositioning)` 전략
중국문화의 이해 기말 리포트- 中國人論 - 현대 중국인의 사상 연구
2011년 1학기 패션과 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패션디자인활용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패션디자인활용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패션디자인활용 기말시험 핵심체크
성역할(gender role) 고정관념과 메트로섹슈얼(metrosexual)에 관한 인식 조사 - 성역할 (성...
2015년 1학기 패션디자인활용 기말시험 핵심체크
현대사회와 리더십 기말 레포트 - 자신만의 리더십철학에 대해 구체적 사례를 들어 논하시오.
2016년 1학기 패션디자인활용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