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학] 말기 신부전 (ESRD; End Stage Renal Diease)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간호학] 말기 신부전 (ESRD; End Stage Renal Die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3쪽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4쪽
A. 문헌고찰
 1) 정의 및 개요
 2) 원인
 3) 증상
 4) 병기분류
 5) 치료
 6) 간호

B. Case study
 1. 간호력
 2. 검사결과
 3. 사용약물
 4. 간호진단

Ⅲ결론 ···············19쪽
A. 실습 후 소감
B.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정맥 관찰
단기목표
고칼륨 식품에 대해 교육하고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에게 감각지각장애로 인한 손상이 없다.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심기능 손상이 없다.
칼륨 수치가 정상이다.
①처방에 따라 고칼륨혈증 치료 약물을 투여한다.
Kalimate Granule Kunwha 1일 3회 1g씩
50DW 100ml에 휴물린 10위 mix하여 IV 투약
Calcium gluconate IV
Hadcal Tab 1일 1회 1 tab을 의사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휴물린은 세포에서 칼륨이 흡수되는 것을 돕고 칼슘은 심근에 미치는 칼륨과다의 길항 효과를 감소시킨다.
대상자에게 감각 지각 장애로 인한 낙상 등의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고칼륨 식품에 대해 교육하고 어떤 음식들이 있는지 표현할 수 있었다.
EKG 심장 리듬이 정상임을 관찰하였다.
대상자의 칼륨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②혈중 칼륨수치를 검사한다.
매일 일반 화학검사 칼륨의 수치를 확인하였다.
K 11/7: 5.1
11/14: 7.1
11/15: 7.2
11/16: 6.5
자각증상 없이도 정기적인 검사로 고칼륨혈증을 예방한다.
③심장리듬 변화를 관찰한다.
모니터를 적용하여 EKG monitoring을 시행하였다.
고칼륨혈증은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손상시키고 부정맥을 일으킨다.
④고칼륨 식이를 제한하도록 한다.
고칼륨 식품인 바나나, 오렌지,살구, 커피, 우유, 메론, 열무 등의 음식을 먹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보호자를 교육하였다.
칼륨은 98%가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투석환자들은 고칼륨 함유음식을 섭취해서는 안된다.
#3. 약물의 부작용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자료
“으슬으슬 추워”
“열감이 느껴져”
객관적자료
춥다고 하며 담요를 덮고, 오한을 호소하며 앓는 소리를 내고, 얼굴의 안면 홍조를 관찰하였다.
Denogan 투약 이후 38.1~38.5 체온상승.
11/6일 체온상승
-20:00 38.1℃
-21:00 38.1℃
-23:00 37.9℃
11/6 CRP 4.15
단기목표
오한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정상 체온
을 유지한다.
활력징후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①다른 종류의 해열제를 투약한다.
diclofenac 1 amp을 의사 처방에 따라 IM으로 주사하였다.(By 간호사)
Denogan에는 부작용이 관찰
되었으므로 diclofenac 해열
, 진통, 소염제로 열을 감소
시킨다.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11/7일 14:00 36.4℃
18:00 36.2℃
22:00 36.0℃
대상자는 오한 없이 편안한 표정을 유지하고 계셨다.
대상자의 활력징후
가 안정됨을 보였다.
②6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하였고, 체온은 1시간 간격으로 f/u하였다.
11/6 8pm 150/90-110-22-38.1
11/6 11pm 150/80-102-20-37.9
11/7 10am 140/70-98-20-37.1
v/s을 자주 측정함으로써 열이 났을 경우 빨리 조취를 취해 줄 수 있다. 맥박이 빨라지고 호흡증가가 되기 때문에 v/s측정치 결과는 중요하다.
③대상자에게 ice bag을 적용해준다.
대상자의 양 옆 겨드랑이와 목 뒤에 ice bag을 배갯잎을 싸서 적용해주고, ice bag으로 조직손상을 입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데 주의하도록 교육하였다.
ice bag을 적용함으로써 열이 증발되어 체온이 하강된다.
④감염과 관련된 수치를 관찰한다.
매일 일반 화학검사 CRP 염증 수치를 확인하였다.
CRP 11/6 4.15
11/7 6.42
11/14 0/59
CRP는 매우 예민한 급성기 반응물질이며 심근경색증, 스트레스, 외상, 감염, 염증, 수술, 종양에서 증가한다.
⑤침상 안전을 교육한다.
고체온인 상태에서 활동하게 될 경우 낙상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침상에 안정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필요한 것이 있으면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콜벨을 환자 가까이 놓아주었다.
고체온일 경우 낙상 발생율 증가
#4.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객관적자료
대상자 현재 상지마비(Rt/Lt)여서 24시간 침상에서 누워계시는 모습 관찰.
천골 부위와, 발뒤
꿈치와 둔부 발적감 관찰.
단기목표
대상자의 보호자는 욕창 발생 예방법을 알고 시행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대상자는 피부 통합성을 회복한다.
①규칙적인 체위변경을 통해 대상자의 피부손상을 막는다.
최소 2시간 간격으로 반좌위, 좌측위 등의 체위변경을 보호자에게 권장하고였다.
대상자의 체위변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체위변경 스케쥴 표를 부착하였다.(by 간호사)
지속적인 압박을 피해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 체위변경을 시켜준다.
대상자에게 피부손상(욕창)이 일어나지 않았다.
대상자의 발적 부위가 회복됨을 보였다.
보호자는 욕창예방법을 알았으며, 대상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였다.
②보호자에게 욕창예방법의 중요성과 방법을 교육하고 실시하도록 한다.
피부를 dry up 시키고, air mattress
사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규칙적으로 ROM 시키고, 체위변경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여 욕창의 징후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욕창예방을 교육함으로써 욕창 발생을 피하도록 한다.
③대상자의 피부손상에 위험이 될 요인들을 제거한다.
대상자의 침대시트가 주름이 져있지 않은지 확인하였다.
침구류가 축축하면 욕창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젖은 즉시 교환하도록 교육하였다.
피부에 압력을 주는 위험요소들을 제거하여 욕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④대상자의 피부를 사정한다.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를 위주로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관찰하였다.
피부를 사정하여 욕창의 발생을 최대한 막고, 예방하도록 한다.
⑤대상자의 피부상태 증진을 위해 영양을 조절한다.
피부통합성 유지에 영양의 중요한 점을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적절한 영양과 수분섭취를 하시도록 보호자에게 격려하였다.
단백질과 수분,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된 식품을 식단에 넣도록 한다.
세포의 영양 상태와 탄력성을 좋게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5.29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1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