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일어나는 것이라는 주장은 경험하는 대상 바로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보다 주체적이고 관객이 스스로 행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중오락이 성행하면서 ‘상호작용성’이 크게 중요하게 되었고 시뮬레이션 라이드를 통해 경험을 할수 있는것이다. 컴퓨터 게임의 게이머들을 보아도 시뮬레이션과 시각적 스펙터클에서 많은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앤드류 달리가 말하는 디지털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인 ‘표면 놀이’는 현실에서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TV프로그램이나 영화, 광고 등에서도 반복적인 영상들이 흘러나오고 사실적인 영상들이 나오고 있다. 이것들은 뻔히 보이지만 계속해서 인정받고 인정되는 양상이다. 표면 놀이는 디지털 영상 문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고 후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화려함과 현실감 2가지를 동시에 추구한다. 그의 표면 주의는 확실한 사실이다. 다만 그가 주장하지 않았어도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새로운 기술적인 특성과 참신한 형식 역시 중요하다는 그의 주장역시 옳다. 새로운 것이 생겨남으로 점점 발전을 하고 앞서 나가는 것이다.
앤드류 달리는 결과적으로 현대 영상문화만의 독특한 미학을 철학적으로 고찰하면서 새로운 문화현상을 어떻게 사유해야 하는지 일깨운다. 이것은 독특한 미학이 중요시되는 현대의 영상 문화에 큰 정점이다. 새로 나타난 현상들을 이용하고 적용할 때 그의 의견은 중요한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새로운 것을 비판하고 과거와 비교해보며 현실에서 사용할 때 더욱 그럴 것이다. 그의 이러한 의견은 단지 스쳐 지나가는 것이 아닌 고찰해야 되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9,6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10.17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