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생애와 업적
3. 국어연구태도
4. 품사론
5. 문장론
6. 결론
2. 생애와 업적
3. 국어연구태도
4. 품사론
5. 문장론
6. 결론
본문내용
어를 설정하면 서술어에 대한 필수적인 성분을 가진 국어의 문장 구조를 폭넓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
6. 결론
- 그의 연구의 시초는 그가 북한 학계에서 맡았던 중책에 근거.
- 맞춤법에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것, 품사 분류에서 토를 따로 설정한 것, 그리고 문장론에서 논의한 문장 성분 분류는 아직까지 도 북의 문법 연구에 영향을 끼치고 있을 것
6. 결론
- 그의 연구의 시초는 그가 북한 학계에서 맡았던 중책에 근거.
- 맞춤법에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것, 품사 분류에서 토를 따로 설정한 것, 그리고 문장론에서 논의한 문장 성분 분류는 아직까지 도 북의 문법 연구에 영향을 끼치고 있을 것
추천자료
용비어천가 제2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6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3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5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7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8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9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10장 분석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31장 분석
용비어천가 제35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34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용비어천가 제119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20장 분석,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전고, 국어학적 분석, 정리
<용비어천가> 제43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