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사의 내용과 관련 고사(古事)
2. 국어학적 분석
3. 정리
<참고 문헌>
2. 국어학적 분석
3. 정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기를 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일어시’은 자음으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더라도 이어 적기가 되지 않았다. 이는 ‘-거시’의 /거/가 ‘ㄹ’ 다음에서 탈락한 다음 후두 유성 마찰음 ‘ㅇ’이 되었기 때문이다. 일곱째, ‘하히’에서는 중세 국어의 체언 중에 ‘ㅎ’으로 끝나는 체언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