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앞선 연구 개관
제 2 절 논의의 전개

제 2 장 [용비어천가]의 서지사항과 배경사상 고찰
제 1 절 서지사항
1. 이본(異本)
2. 체제와 구성
3. 제작연대
제 2 절 배경사상
1. 천명사상
2. 예악사상(禮樂思想)
3. 자주사상(自主思想)

제 3 장 [용비어천가]의 국어사 자료로의 특징
제 1 절 [용비어천가]의 문학사적 의미
1. 최초의 한글작품
2. 수사법
3. 조선건국의 정당성 확보
4. 용비어천가의 문체론
5. 유가적 사상의 반영
제 2 절 [용비어천가]의 국어사적 가치
1. 15세기의 언어반영
2. 훈민정음과의 관계
3. 악장으로서의 용비어천가
4. 건국신화로서의 신성성

제 4 장 결 론

■ 부록 1. 용비어천가의 내용풀이
■ 부록 2. 용비어천가 개관

본문내용

〈용비어천가〉의 서술단락(문단) 구조에 대한 견해도 다양하다. 서사 본사 결사의 3단 구조로 볼 경우 ① 서사 : 제1장, 본사 : 제2 109장, 결사 : 제110 125장으로 보는 견해(조윤제, 김기동), ② 서사 : 제1 2장, 본사 : 제3 109장, 결사 : 제110 125장으로 보는 견해(장덕순, 조동일), ③ 서사 : 제1 2장, 본사 : 제3 124장, 결사 : 제125장으로 보는 견해(김사엽, 김선아, 고영화), ④ 서사 : 제1장, 본사 : 제2 124장 결사 : 제125장으로 보는 견해(박찬수, 양태순, 김학성), ⑤ 서사 : 제1 16장, 본사 : 제17 109장, 결사 : 제110 125장으로 보는 견해(성기옥) 등이다.
〈용비어천가〉의 각 장을 구성하는 행의 수를 살펴보면 제1장은 1행 형식으로, 제2 124장까지는 2행 형식으로, 제125장은 3행 형식으로 짜여 있음이 주목되는데 이것이 각각 서사와 본사, 결사로의 서술 단락을 구획 짓는 절대적 의미의 응집력으로 작용함(서술 의미의 변화를 주기 위한 의도적 경계선으로 기능함.)을 고려할 때 ④가 가장 유력한 견해라 할 수 있다.
〈용비어천가〉의 각 행은 3개의 구(句)로 짜여져 있고, 이 구를 율격을 형성하는 단위 곧 율격행으로 볼 때 그 율격구조는 제1율격행과 제2율격행처럼 2보격의 형태를 취하는 규칙적 경향성을 보여 고정부라 할 수 있는 부분과, 제3율격행처럼 2보격에서부터 3보격, 4보격에 걸치는 유동적 현상을 보여 가변부라 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비어천가〉가 이처럼 율격이 2음보로 연속되지 않고 가변부에 의해 매 행마다 연속성이 차단되는 구조를 보임은 시조의 3장 구조처럼 앞의 두 구가 시상(詩想)의 전개부로, 뒤의 한 구가 시상의 집약부이자 완결부로 기능함을 의미하며, 이는 작품의 이야기성(서사성)을 차단하는 구조로 작용하여 행의 수준에서도 서술의 억제에 의한 서정성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용비어천가〉는 각각의 행을 통해 의미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실에 바탕을 둔 서술내용 중심만이 아니라 그 서술내용으로부터 끌어낼 수 있는 의미 해석까지 함께 표현하려는 서술방식을 취하고 있어 제시된 서술내용의 해석적 의미를 매 행마다 부여하는 행의 구조적 완결성은 이야기의 진행을 행 이상으로 발전시키지 못하는 서술의 차단성을 보인다.
〈용비어천가〉의 장(연에 해당) 구조는 작품 전체를 이끌어 내는 서두부로서의 수장(首章)인 제1장과, 작품 전체의 총결부로서의 졸장(卒章)인 제125장을 제외하고, 본사 전체가 앞 1행과 뒷 절 1행의 병치로 짜여진 2행연시(二行聯詩)로 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 앞 절에서 중국의 사적을, 뒷 절에서 그에 상응하는 조선왕조의 사적을 담아 내면서 그러한 의미 내용을 정사대(正事對)의 대구적(對句的) 표현장치로 담아내기에 적절한 형식임을 알 수 있다.
즉, 중국 제왕들의 영웅적 행적과 육조(六祖)의 영웅적 행적을 앞 뒤 행으로 짝 지우면서(事對) 다른 내용의 행적을 가지고 동일한 서술 의미를 갖도록 대응시켜 나가는(正對) 대구형식의 기법을 써서 두 행의 서술 의미를 일치시킨다.
이러한 동일한 의미구조의 반복은 율격구조와 통사적 성격에서까지 동일화를 꾀함으로써 두 행의 병치서술을 완벽한 경지까지 나아가도록 한다. 특히 제17 109장까지의 모든 연(장)은 율격행의 수에서부터 각 율격이 지닌 보격형태와 음절수의 실현에 이르기까지 율격적으로 완전히 일치하는 동질적인 두 행의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통사론적으로도 두 행의 구조는 완전히 일치하여 서로 짝을 이루는 통사단위나 기능이 동일한 것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이는 중국사적을 전범(典範)으로 앞에다 놓고 철저한 대구 형식으로 짜 맞추어 나감으로써 결과적으로 육조의 위대성에 객관적 설득력을 확보하려는 의도적 서술방법으로 이해된다.
또한 〈용비어천가〉에 배열된 삽화들의 배열원리를 보면 인접 삽화와의 서사적 인과관계를 맺지 못하는 단순한 열거 현상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제시된 것은 오직 삽화를 구성하는 여러 모티프들로부터 선택된 한 두 개의 특정한 모티프뿐이다.
모티프의 선택기준을 사건의 서사적 인과성 즉 서사내용에 두지 않고 그것의 서술의미에 두기 때문에 모티프 배열도 인접 모티프와의 사이에 서사적 인과관계나 시간적 맥락이 발견되지 않는 방식을 보인다.
〈용비어천가〉는 한글 창제에 의해 이루어진 우리 문학사상 최초의 국문시가로서, 〈동명왕편 東明王篇〉 같은 신화를 노래한 숭고성을 이어받고 〈제왕운기 帝王韻紀〉나 〈역대세년가 歷代世年歌〉등 영사시(詠史詩)의 전통을 이은, 그리고 악장의 독자적 형식을 개척한 첫 작품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참고문헌 및 인터넷사이트
강신항(1958), “용비어천가의 편찬 경위에 대하여”, [문리대학보] 통권 10,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김기동(2002) 국문학 개론, 서울, 태학사.
김광순(2003) 공저, 국문학 개론, 서울, 새문사.
김학성(2000), “용비어천가의 짜임새와 시적 묘미”, [국어국문학] 126호.
배석범(1997), “악장의 언어 질서 연구”, 정신문화연구원.
이기문(1962), “용비어천가 국문가사의 제문제”, [아세아연구].
이기문(1962), “중세국어 특수어간 교체”, [진단학보].
이기문(1962), “용비어천가의 어학적 가치”, [동아문화],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장덕순(1987), “용가의 서사시적 고찰”,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 출판부.
최 철(1996) 박상태 공저, 국문학 개론, 서울,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최 철(1998), “세종 시대의 시가 문학”, [세종문화사대계], 신흥인쇄주식회사.
최종민(2003), 훈민정음과 세종악보의 상관성 연구, 상명대 대학원.
허 응(1963), “용비어천가의 어학적 가치”, [동아문화],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조동일(1994), 한국문학통사 2: 중세 후기 문학, 서울, 지식산업사.Peter H. Lee(1998), 용비어천가의 비평적 해석, 서울, 태학사.용비어천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이트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8.02.18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4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