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음소][음절][조음][억양][운율][유음탈락][움라우트][사이시옷][구개음화]국어 음소, 국어 음절, 국어 조음, 국어 억양, 국어 운율, 국어 유음탈락, 국어 움라우트, 국어 사이시옷, 국어 구개음화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음소][음절][조음][억양][운율][유음탈락][움라우트][사이시옷][구개음화]국어 음소, 국어 음절, 국어 조음, 국어 억양, 국어 운율, 국어 유음탈락, 국어 움라우트, 국어 사이시옷, 국어 구개음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음소
1. 음소와 이음
1) 음소(phoneme)
2) 이음(allophone)
2. 최소대립쌍(minimal pair)
3. 자유변이(free variation)
4.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
5. 음적 유사성(phonetic similarity)

Ⅱ. 국어 음절

Ⅲ. 국어 조음
1. 조음위치
1) 조음자
2) 조음점
2. 조음방법(manner of articulation)
1) 파열음(plosive), 페쇄음(stop)
2) 마찰음(fricative)
3) 파찰음(affricate)
4) 비음(nasal)/ 구강음(oral): 접착
5) 유음(liquid): 접착

Ⅳ. 국어 억양

Ⅴ. 국어 운율
1. 음의 높낮이
2. 음의 길이
3. 음의 세기

Ⅵ. 국어 유음탈락

Ⅶ. 국어 움라우트

Ⅷ. 국어 사이시옷
1. 음운론적 설명
2. 문법적 설명
3. 의미론적 설명

Ⅸ. 국어 구개음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al): 위 아랫입술의 접촉
순치음(labiodental): 윗니와 아랫입술사이
치간음(interdental), 치음(apico dental): 설단(혀의 앞부분)이 아래윗니 사이에
치경음(alveolar): 설단이 윗잇몸 치경에서 나는 것
구개치경음(palato alveolar), 치경구개음(alveopalatal): 설단이 치경 뒤에 접촉하여 나는 소리
경구개음(palata): 설단이 경구개에 접촉함
연구개음(velar): 설단이 연구개에 접촉함
구개순음(uvular)
인두음(pharyngeal): 인두를 조이면서 나는 소리
성문음(glottal): 두 성대 사이에서 나는 소리
2. 조음방법(manner of articulation)
조음자와 조음점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차단의 정도로 구분한다. 조음자와 조음점 사이의 간격의 정도(접착, 협착, 근접, 원격)이다.
1) 파열음(plosive), 페쇄음(stop)
조음자와 조음점의 접착으로 공기의 흐름이 구강 내에서 차단되었다가 방출. 파열음과 파찰음은 구강 및 비강이 모두 차단되고 비음은 구강만 차단되고 비강은 차단되지 않는다.(접착)
2) 마찰음(fricative)
공기가 구강 안에서 완전히 방해를 받지 않고 부분적으로 방해를 받으며 구강의 어느 부분을 좁혀 그 사이로 공기가 마찰하여 나감. 조음자와 조음점이 마찰을 일으킬 정도로 근접(접착)
3) 파찰음(affricate)
전반부는 파열음 후반부는 마찰음이므로 공기가 구강 내에서 완전히 차단되었다가 지속적으로 개방됨(접착) 처음에는 구강을 폐쇄하여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파열음처럼 일시에 터뜨리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놓는 소리이다.
4) 비음(nasal)/ 구강음(oral): 접착
- 구강음: 연구개를 올려서 비강으로 가는 공기가 차단되어 구강에서 생산되는 음
- 비(강)음: 구강안의 공기는 차단되지만 연구개를 내려 비강으로 들어가 통로가 열리면 숨이 비강으로 흐름
5) 유음(liquid): 접착
반모음(활음, 전이음, 이동음(glide)): 반모음은 혼자 발음될 수 없고 항상 모음의 전후에 나타난다. 반모음은 음절의 중심(핵)이 되지 못하고 음절의 중심인 모음으로 미끄러져 옮겨가므로 활용된다.
- 상승이중모음(경구개 반모음): ㅑ, ㅕ, ㅛ, ㅠ
- 하강이중모음(연구개 반모음): ㅘ, ㅝ, ㅟ
Ⅳ. 국어 억양
억양(intonation)이란 말의 가락(speech melody)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이현복, 1976). 음악에 가락이 있듯이 말에도 목소리의 높낮이(pitch)가 엮어내는 말의 가락이 있음이 사실이다. 또한 그와 같은 억양은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자음과 모음 등으로 이루어진 낱말은 각기 사전에 정의된 뜻을 갖고 있으나, 그러한 낱말이 어떤 특정한 억양으로 발음될 때에는 낱말이 지닌 원래의 뜻 이외에 화자(speaker)의 태도가 전달됨을 다음의 예에서 알 수 있다.
(ㄱ) 예↘ (ㄴ) 예↘
위와 같이 두 가지를 발음하면 보통 목소리의 중간 높이에서 낮은 소리로 내려가는 (ㄱ)은 특별한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 사무적인 태도를 나타내는데 비해, 더 높은 데서 목소리의 중간 높이 정도로 내려오는 (ㄴ)은 관심을 표명하는 명쾌한 태도를 나타낸다. 긍정적인 대답의 뜻을 지닌 ‘예’라는 같은 낱말이 위의 (ㄱ)과 (ㄴ)에서 전체적인 의미의 차이를 보임은 순전히 억양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영근(1987)은 “억양이란 목소리의 높낮이가 엮어내는 말의 가락(speech melody)이며, 이 억양은 크게 두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다. 문법적인 기능과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이다”라고 하였고, 이호영(1991)은 “억양이란 말의 가락이며, 이를 좀 더 정확하게 정의하면, 억양은 문장들에 얹히는 높낮이의 형태(pitch pattern)이다”라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면, 억양이란 발화시에 나타나는 목소리의 높낮이 가락이며, 문법적인 기능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이 있다.
Ⅴ. 국어 운율
1. 음의 높낮이
음의 높낮이는 중기 국어의 방점과 경상도 방언에서 찾을 수 있다. 동일한 음운론적, 형태론적 환경을 가지나 높낮이가 다른 단어를 찾아 경음화의 실현에 차이를 보이는 지 알아보자.
(1) 중기국어의 예
다(평 + 거) 왈(曰) <類合 上 14> <石 天 11>
王創에 오 <소언 一 12>
낟재 온 여가짓 德 이니 <소언 一 12>
다(거 + 거) 各各座온 니 <月七 40>
손로 제 <曲 66>
다(거거 + 거) 구루믄 라 <杜초 甘石 24>
지다 <거거평 + 거) 내 지게 한 대를 뒷노니
<杜重六 45>
다(磨)(거 + 거) 갈재 <杜초 十六 60>
칼다 <同文上 48>
다(替)(평 + 거) 나 일훔 시니 <용 85>
다(거 + 거) 沐浴 마 香 고 <석 九 22>
다(閉)(거 + 거) 눈 며 메 <月 八 6>
:갊다(藏하다)(상 + 거) : 明이 妙에 니 <능 四 10>
조 갈마 <杜초甘 四 22>
:갊다(殮)(상 + 거) 갈믈렴 <字會中 35>
감다(wind)(평 + 거) 모메 가시고 <月 十八 31>
감다(평 + 거) 가현 <字會中 30>
감다(평 + 펑) 마리감고 <五倫 三 11>
:남다(餘)(상 + 거) 無餘涅槃 나 것 없슨 涅槃이라 <석 十 三 34>
:남다(越)(상 + 거) 城나마 逃근샤 <석 六 4>
우룸쏘 즘게 나마가며 <月 一 27>
다(잠기다)(거 + 거) 락락 호미 <杜초 十五 18>
다(평 + 거) 슈 <字會下 16>
칼 따위를 벼리느라 물에 담다 <譯下 17>
:담다(상 + 거) 바리예 다니 <南明下 63>
밥다그르셋 서늘호 <杜초十五 9>
金函에 담 <月 十 14)
담다(닮다)(평+평) 션비를 만히 담와 겨오시니 <閉中 p.326>
다(평 + 거)(甘) 녀 녀 <능 三 49>
葡萄ㅣ 나니 마시 더니 <月 一 43>
다(평 + 거) 삼을 니 <老下 52>
다(附縣)(거 + 거) 한 보옛 바올 니라 <月 十八 39>
쇠붑 지비 一 百스물 고디러라 <석 六 38>
다(삶이얼어 터지다)(평 + 거) 바리라 헤여디닐 고료 <救方上 7>

키워드

국어,   음소,   음절,   조음,   억양
  • 가격7,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