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자 표기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제 1 장 서 론
1.1. 연구 동기
1.2. 논점 제시
제 2 장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2.1.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현황
2.2. 현재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비판
제 3 장 이의 제기
3.1. 한국어와 영어의 음소 대비
3.2. 재구성한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제 4 장 결 론
4.1. 요약
4.2. 남은 과제들

* 참고문헌

본문내용

ㄲ gg
ㅉ jj
ㅜ oo
ㅠ yoo
어두, 받침 ㄷ d
ㅅ s
ㅐ ae
ㅒ yae
이외 ㄷ t
ㅆ ss
ㅔ e
ㅖ ye
ㅌ t
ㄴ n
ㅡ eu
ㅘ wa
ㄸ dd
ㄹ l
ㅣ i
ㅝ wu
어두, 받침 ㅂ p
ㅁ m
ㅢ eui
ㅙ wae
이외 ㅂ b
ㅇ ng
ㅚ woi
ㅞ we
ㅍ p
ㅎ h
ㅟ wi
제 4 장 결 론
4.1. 요약
(제목에 ‘김정균’이라는 낯선 남자의 이름이 나와서 이글을 읽는 분들께서는 고개를 갸우뚱 하셨을 것이다. 김정균 씨는 충북대학교 영어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이신 분이다. 이분의 이름을 듣고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에 대해 연구해보고 싶어졌던 것이기 때문에, 제목에 한번 써 보았다. 물론 이분의 허락을 받았다. 제목으로 썼으니 이분의 이름을 가지고 글의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해 본다.)
현재 표기에 따르면 Gim, Jeong-gyun이라고 써야 맞지만, 어두에 오는 ㄱ은 무성음이므로 k로 쓰고, eo는 ‘에오’라고 읽히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사람들이 더 많이 사용하는, /Λ /로 발음되는 u로 바꾸고, ㅓ와 ㅜ 둘 중에 무엇으로 읽어야 할지 고민되는 u는 한가지로 발음되는 oo로 바꾼다. 결국 Kim, Jung-gyoon으로 쓸 수 있게 된다. 물론 한글을 완벽하게 영어로 쓰는 것에는 무리가 따른다.
4.2. 남은 과제들
처음에는 야심에 차서 거창하게 시작했지만, 끝이 미미한 것 같아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 보고서였다. 어쩌면 자가당착에 빠졌는지도 모른다. 주제선정에 좀 더 신중을 기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후회가 남는다. 대학생 혼자서 연구해 보기에는 너무 어려운 주제가 아니었나 싶다. 연구하다보니 몇몇 난관에 부딪혀서 힘든 점이 적지 않았다. 물론 나의 능력 부족을 탓해야겠지만 말이다. 그래서 여기에 미처 연구하지 못해 아쉬웠던 점을 몇 가지 덧붙인다.
우선, 영어 원어민과의 합동연구가 필요하다. 연구하면서 제일 답답했던 부분이 바로 이것이다. ‘이건 원어민이 어떻게 읽을까?’ ‘이건 어떻게 발음하는 것이 옳은 발음일까?’ 이런 의문들이 넘쳤지만, 주위에서 날 도와줄 원어민을 만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닐뿐더러, 내가 이런 주제를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할 만큼의 영어실력을 갖추지 못했다. 영어와 한국어 사이의 문제이기 때문에 원어민과 함께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두 번째는 영어 철자 개혁 운동에 대한 연구이다. 영어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한 글자가 여러 발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구성이 더 애를 먹는다. 조지버나드쇼가 주장한 영어철자 개혁 운동은 영어를 소리 나는 대로 쓰자는 운동이다. 이것이야 말로 내가 다룬 문제를 해결할 돌파구가 아닌가. 물론 장기적인 시각으로 바라봐야할 문제지만, 이 개혁운동에 대해서 더 알아보고 동참하고 싶다.
세 번째는 무성음과 거센소리에 대한 연구이다. 무성음 ㄱ과 거센소리 ㅋ을 결국 둘 다 k로 바꾸고 말았다. ㄷ과 ㅌ, ㅂ과 ㅍ도 마찬가지였다. 글자에 제한이 있으므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지만, 찝찝한 기분이 드는 건 사실이다. 무성음과 거센소리에 대한 깊은 연구와 구별 가능한 방법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 과제는 한국어의 글자 하나하나와 가장 유사한 영어발음을 찾는 음성학적 연구이다. 음성학적 분석을 위해서는 많은 장비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기에 나 혼자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기회가 된다면 이러한 연구에 참여해서 관찰해 보고 싶은 심정이다. 그래서 가장 적절한 대응 발음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체계화 하여야 한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 『한 영 일 음운대비』
- 박창원 오미영 오은진 지음
● 국립 국어 연구원 http://www.korean.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2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