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음식문화와 국민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글
1. 일본의 음식문화
1) 식생활
2) 식사 예절
3) 일본의 아침식사
4) 간단한 점심거리
5) 대표적인 일본요리

2. 일본 국민의 국민성
1) 일본인의 국민성의 공통점
2) 일본인이 부지런한 이유
3) 집단귀속 의식
4) 무사도 정신
5) 할복자살
6) 힘에 대한 숭배
7) 직종보다 소속부문 중시하는 일본인
8) 일본인의 호칭
9) 개인주의와 집단성

본문내용

의해 채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잠재능력에 따라 채용된다. 특히 화이트칼라의 경우, 직종이라는 개념이 희박하다. 이 때문에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는 회사명과 현재의 소속부문을 말하는 것이 가장 명확하다.
8) 일본인의 호칭
일본 고전문학의 대표적인 소설 源氏物語의 등장인물은 고유명사가 아닌 맡은 직명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도 알 수가 있다. 이같은 전통이 습관화되어 일본의 기업에서는 상대가 자기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일 때는 [사장][부장]등의 직명으로 부른다.
9) 개인주의와 집단성
일본인들은 철저한 개인주의라 할수 있다. 자기것은 자기것이고 다른 사람의 것은 다른사람의 것으로 공유 할 수 없다. 반면에 한국은 너꺼내꺼없이 편이대로 사용하는데서 이해를 할수 있다. 내가 ‘먼 나라 이웃 나라’ 책에서 본 내용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온 것이 바로 이것이다. 일본인은 박스를 쌓는 것처럼 차곡차곡 쌓지 않으면 붕괴되고 만다. 자신만의 각이 있고 인과경계가 있다. 그 선을 지키지 않으면 일본사회는 무너지고 만다. 그래서 식사예절에서도 지켜야할 예절이 많고 평소 예절이 까다롭다. 어떻게 보면 일본사람이 찌질하다고 볼수도 있고 어떻게보면 젠틀하다 볼수 있다. 괜히 쿨한척 나누다 나중가서 계산적인 손익을 따져 마찰을 빚는 것 보다 일본처럼 지켜야할 선이 있고 각자의 지출을 하여 그런 갈등이 없는 것이 훨씬 깔끔하다 생각한다. 일본의 국민성을 진짜 아려면 일본을 가보아야 할것같다. 직접 체험해 보아야 그사람들이 한국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나 알수 있을 것이다. 차후에 일본을 꼭 가보고 싶다.

키워드

  • 가격3,3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10.1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0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