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언어 소개
printf( )함수
1. 정수형
2. C언어에서 다루고 있는 문자들
연산자
1. 연산자의 종류
2. 대입(할당) 연산자
3. 산술 연산자
4. 관계 연산자
5. 논리 연산자
6. 비트 연산자
7. 기타 연산자
8. 연산자 우선순위
선택 제어문
1. 제어문의 정의와 종류
반복제어문
1. for 문
2. while문
printf( )함수
1. 정수형
2. C언어에서 다루고 있는 문자들
연산자
1. 연산자의 종류
2. 대입(할당) 연산자
3. 산술 연산자
4. 관계 연산자
5. 논리 연산자
6. 비트 연산자
7. 기타 연산자
8. 연산자 우선순위
선택 제어문
1. 제어문의 정의와 종류
반복제어문
1. for 문
2. while문
본문내용
다음 에 증감식이 실행된다는 것이다.
· 종료조건 :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 종료된다.
· 초기화 단계에서 변수의 초기값을 지정해주고, 그 초기값을 조건식과 비교해서 참인 경우 명령문을 실행하고, 명령문의 실행이 끝나면 초기화된 변수값을 증감식에 따라 증가해주거나 감소시켜준다. 그리고 다시 조건식과 비교해서 명령문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한 횟수만큼 명령문을 수행한다. for문을 빠져나오는 경우는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 이다.
다중 for문 : for문이 두 개 이상 사용된 것으로 그 실행 순서나 형식은 for문과 동일하다.
(a) for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① ②
(b) for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명령문 1;
.....
}
{
(a)와 (B), 두개의 for문 블록이 있다면, 우선 첫 번째 블록의 for문(a)의 초기식()과 조건식()을 비교하여 참인지를 판단하고, 참이면 두 번째 for문(b)의 초기식()과 조건식()을 비교한다.
두 번째 for문(b)의 초기식과 조건식이 참이면 명령문()을 수행하고, 두 번째 for문(b)의 증감식()에 따라 변수값을 증감시킨다. 두 번째 for문(b)의 조건식이 거짓이 되어 빠져나오면, 다시 첫 번째 for문(a)의 증감식()에 따라 변수값을 증감시키고, 참이면 두 번째 for
상수 - 증가변수
감소
증가변수
증가
증가변수 - 상수
2. while문
while문은 for문처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시키기보다는 횟수를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반복의 조건을 알고 있을 때 사용된다.
while(조건식)
{
명령문 1;
명령문 2;
...
증감식
}
while문은 조건식을 검사하여 참이면 명령을 수행하고, for문과 같이 증감식에 의해서 변수값을 증감시킨다. 그리고 다시 조건식과 비교하는 것으로 특정한 명령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for문으로 쓸 수 있다.
초기화;
while(조건식)
{
명령문 1;
증감식
}
[while문]
for(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명령문 1;
명령문 2;
....
}
[for문]
일반적인 for문에서는 괄호 안에서 초기화가 이루어졌으나 while문에서는 초기화가 while 루프 외부에서는 이루어진다. 물론, for문에서도 초기화를 for문 시작 전에 할 수 있으나 일반적이지는 않다.
3. do ~ while문
for문이나 while문인 경우 조건식을 만족하지 못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문을 한 번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do~while문에서는 일단 do 안에 있는 명령문을 실행하고, 나중에 while문의 조건식을 비교하므로 적어도 한 번은 명령문을 처리하게 된다. do~while문의 기본 형식은 while문과 비슷하다.⇒ 최소 한번이라도 실행하는 반복문
do
{
명령문 1;
}
while(조건식) ;
한가지 주의해야 할 것은 조건식을 검사하는 while(조건식)은 C문장으로 여기므로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꼭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 반복문 반복횟수 = 안에 × 밖에
· 종료조건 :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 종료된다.
· 초기화 단계에서 변수의 초기값을 지정해주고, 그 초기값을 조건식과 비교해서 참인 경우 명령문을 실행하고, 명령문의 실행이 끝나면 초기화된 변수값을 증감식에 따라 증가해주거나 감소시켜준다. 그리고 다시 조건식과 비교해서 명령문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한 횟수만큼 명령문을 수행한다. for문을 빠져나오는 경우는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 이다.
다중 for문 : for문이 두 개 이상 사용된 것으로 그 실행 순서나 형식은 for문과 동일하다.
(a) for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① ②
(b) for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명령문 1;
.....
}
{
(a)와 (B), 두개의 for문 블록이 있다면, 우선 첫 번째 블록의 for문(a)의 초기식()과 조건식()을 비교하여 참인지를 판단하고, 참이면 두 번째 for문(b)의 초기식()과 조건식()을 비교한다.
두 번째 for문(b)의 초기식과 조건식이 참이면 명령문()을 수행하고, 두 번째 for문(b)의 증감식()에 따라 변수값을 증감시킨다. 두 번째 for문(b)의 조건식이 거짓이 되어 빠져나오면, 다시 첫 번째 for문(a)의 증감식()에 따라 변수값을 증감시키고, 참이면 두 번째 for
상수 - 증가변수
감소
증가변수
증가
증가변수 - 상수
2. while문
while문은 for문처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시키기보다는 횟수를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반복의 조건을 알고 있을 때 사용된다.
while(조건식)
{
명령문 1;
명령문 2;
...
증감식
}
while문은 조건식을 검사하여 참이면 명령을 수행하고, for문과 같이 증감식에 의해서 변수값을 증감시킨다. 그리고 다시 조건식과 비교하는 것으로 특정한 명령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for문으로 쓸 수 있다.
초기화;
while(조건식)
{
명령문 1;
증감식
}
[while문]
for(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명령문 1;
명령문 2;
....
}
[for문]
일반적인 for문에서는 괄호 안에서 초기화가 이루어졌으나 while문에서는 초기화가 while 루프 외부에서는 이루어진다. 물론, for문에서도 초기화를 for문 시작 전에 할 수 있으나 일반적이지는 않다.
3. do ~ while문
for문이나 while문인 경우 조건식을 만족하지 못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문을 한 번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do~while문에서는 일단 do 안에 있는 명령문을 실행하고, 나중에 while문의 조건식을 비교하므로 적어도 한 번은 명령문을 처리하게 된다. do~while문의 기본 형식은 while문과 비슷하다.⇒ 최소 한번이라도 실행하는 반복문
do
{
명령문 1;
}
while(조건식) ;
한가지 주의해야 할 것은 조건식을 검사하는 while(조건식)은 C문장으로 여기므로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꼭 추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 반복문 반복횟수 = 안에 × 밖에
추천자료
자폐장애의 특성과 원인
NCSoft(엔씨소프트)의 성공에 대한 위험 요소 분석
지식논쟁 서문
교보생명 기업경영 전략 분석
네덜란드의 건축과 주거문화
사이트 평가 (어린이 학습)
정서행동장애 관찰 및 지원계획
[환경미술][설치미술][공공미술][개념미술][생활미술][낙서미술][과정미술][민중미술]환경미...
위즈위드를 선택해서 분석했습니다.(위즈위드의 마케팅 분석!)
상담심리학 - 상담이론 선정 및 상담실제를 제시하시오
중국 비즈니스 문화의 권역별 특징
오픽 IH나 AL을 위한 스크립트. Opic IH나 AL을 위한 script
[근대 철학modem philosophy]
[원서번역] Professio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ystems European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