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의의
2. 종류
3. 발행
4. 신주인수권의 양도
5. 신주인수권의 행사
2. 종류
3. 발행
4. 신주인수권의 양도
5. 신주인수권의 행사
본문내용
분리형의 경우)이나 채권을 첨부하여 회사에 제출한 때에 주주가 된다. 그러나 이익이나 이자의 배당에 관하여 주주로 보는 시기는 그 납입을 한 때가 속하는 영업연도말로 한다. 이것은 전환주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계처리 등 사무적인 편의를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신주에 대한 이익이나 이자의 배당에 관하여는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신주인수권을 행사한 때가 속하는 영업연도의 직전영업연도말에 신주가 발행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주명부의 폐쇄기간중에 신주인수권을 행사한 자는 그 기간중의 총회의 결의에 관하여는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6) 변경등기
신주인수권의 행사에 의하여 등기사항이 변경된 때에는(발행주식총수의 증가, 대용납입에 의한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총액의 감소 등) 변경등기를 하여야 한다.
(6) 변경등기
신주인수권의 행사에 의하여 등기사항이 변경된 때에는(발행주식총수의 증가, 대용납입에 의한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총액의 감소 등) 변경등기를 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한국증권거래소 코스닥시장 제3시장의 기능
주식의 가치평가에 대하여
주식의 개념
회사법-회사지배구조(주식회사의 회사지배구조를 중심으로)
비영리법인에 대한 법인세
증권투자의첫걸음[중간기말]
주식(주주,주주권,주권)
LG전자에 관하여
증권거래에서 과세 전반의 검토
금융 - ELS, ELW, ETF의 정의와 나의 견해
최신계약서항목별 국문 및 국문번역사례 9차
ELS분석,공급자와수요자,ELS운용,ELS정의및특성
[이니시스 INICIS] 이니시스 기업분석, 이니시스 경영전략, 전자상거래시장, 모빌리언스 효과...
파생금융시장, 파생금융상품의 종류, 파생금융시장의 변천과정, 국내 파생금융상품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