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의 심리성적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이론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드의 심리성적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이론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2. Eric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본문내용

자신이 선택한 가치관과 직업적 목표를 결정함으로써 개인적 정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방황이 길어지고 정체감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할 경우 미래의 성인역할에 대한 혼란에 빠져 방황할 수 있다.
(6) 친밀성 대 고립감(성인 초기, 19~24세)
직업을 선택하고 배우자를 찾는 등 공식적인 성인생활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앞 단계에서 형성된 자신의 정체성을 타인과 연합하여 공동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친밀감을 나누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간다.
그러나 앞 단계에서 자아정체감이 확립되지 못한 사람은 타인들과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자신에게만 몰두하여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
(7) 생산성 대 침체성(성인 후기, 25~54세)
성인으로서의 개인적 문화를 유지하고 이를 개선, 발전시켜 나가려는 중년기에 해당된다. 가정적으로는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전념하고, 사회적으로는 다음 세대의 복지나 사회적 변화에 관심을 갖게 되며, 직업에 있어서도 매우 생산적으로 일하는 시기이다.
이시기에 이렇게 다양한 생산성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타인에게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자신의 욕구에만 몰두하고 타인에게 관대하지 못하여 침체성이 형성된다.
(8) 자아통합 대 절망감(노년기, 54세 이후)
개인의 전생애를 통한 완성적 노력과 성취에 대하여 반성하는 노년기는 체력이나 건강상태, 수입, 가족구조의 변화 등 다양하게 일어나는 주변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이다.
지금까지의 발달과정에 대한 최종적인 통합을 하며 인생의 가치를 평가하게 된다. 이 때 자신의 인생에 대한 무의미함과 무력감을 느끼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절망할 수도 있다.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6.04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