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1.1. 적용범위
1.2. 시험기구
1.3. 시료 채취
1.4. 시료의 건조
1.5. 시험 방법
1.6. 계산
2. 시험
3. 결론
3.1. 결과표
3.2. 체가름 곡선
3.3. 결론
1.1. 적용범위
1.2. 시험기구
1.3. 시료 채취
1.4. 시료의 건조
1.5. 시험 방법
1.6. 계산
2. 시험
3. 결론
3.1. 결과표
3.2. 체가름 곡선
3.3. 결론
본문내용
재료실험실습
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
2학년 UG반 담당교수 이용재
2010. 4. 20.
20096362 최봉현
20096026 민선환
20096029 김태희
20096041 최성석
20096053 이동규
- 목 차 -
1. 개요
1.1. 적용범위
1.2. 시험기구
1.3. 시료 채취
1.4. 시료의 건조
1.5. 시험 방법
1.6. 계산
2. 시험
3. 결론
3.1. 결과표
3.2. 체가름 곡선
3.3. 결론
1. 개요
1.1. 적용범위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혼합물에 사용하는 골재를 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여 적합, 부적합을 판단한다.
1.2. 시험기구
① 저울 : 저울은 시료 질량의 0.1% 이하의 눈금량 또는 감량을 가진 것으로 한다. 현장에서 시험하는 경우에는 저울의 정밀도를 시료 질량의 0.5%까지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② 체 : KS F 2523에서 규정한 호칭 치수 0.08㎜, 0.15㎜, 0.3㎜, 0.6㎜, 1.2㎜, 2.5㎜, 5㎜, 10㎜, 13㎜, 15㎜, 20㎜, 25㎜, 30㎜, 40㎜, 50㎜, 60㎜, 80㎜, 100㎜의 망체로 한다.
③ 덮개 및 받침 접시 : 덮개 및 받침 접시는 단단히 조이는 것을 사용한다.
④ 건조기 : 건조기는 배기구가 있는 것으로 (105±5)℃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만약 현장에서 시험하는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건조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 건조된 골재에 대하여 일정한 질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외부의 적합한 장비를 사용하여도 된다.
1.3. 시료 채취
시험하려고 하는 로트를 대표하도록 골재를 채취하여 사분법 또는 시료분취기에 의해 거의 소정량이 되도록 축분한다.
1.4. 시료의 건조
분취한 시료를 (105±5)℃에서 24시간, 일정 질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건조 후, 시료는 실온까지 냉각시킨다.
1.5. 시험 방법
① 시료를 0.1% 이상으로 측정한다.
② 체가름 시험 목적에 맞는 조합 망체를 이용하여 체가름 한다.
③ 체가름은 수동 또는 기계에 의하여 상하 운동 및 수평 운동을 주고 시료를 흔들어 시료가 끊임없이 체면을 균등하게 운동하도록 하고, 1분간 각 체를 통과하는 것이 전 시료 질량의 0.1% 이하가 될 때까지 작업을 한다.
④ 체 눈이 막힌 알갱이는 파쇄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되밀에 체에 남은 시료로 간주한다. 어떤 골재에서나 손으로 밀어서 무리하게 체를 통과시켜서는 안된다. 다만, 큰 입자는 손으로 놓도록 하고 방향을 바꾸어 개개의 구멍에 맞추어 통과하는 것을 체를 통과하는 시료로 간주한다.
⑤ 각 체에 남은 시료를 전 시료 질량의 0.1% 이상까지 정확하게 측정한다. 각 체에 남은 것과 받침접시 안의 것의 총합은 체가름 전에 측정한 시료 질량과 1% 이상 달라서는 안된다.
1.6. 계산
체가름 계량 결과는 시료 전 질량에 대한 백분율로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계산하여 KS A 3251-1에 따라 정수로 끝맺음 한다.
2. 시험
굵은골재
잔골재
①
시료를 정확히 10,000g 계량한다
시료를 정확히 500g 계량한다
②
시료를 체가름 시험기에 넣는다.
시료를 체가름 시험기에 넣는다.
③
체가름 시험기에서 1분가량
체가름 한다.
체가름 시험기에서 1분가량
체가름 한다.
④ 각 체에 남은 량을 계량한다.
굵은골재
체번호
계량
30㎜
50g
19㎜
200g
15㎜
1965g
12㎜
5910g
10㎜
960g
접시
915g
잔골재
체번호
계량
NO.4
4g
NO.8
26g
NO.16
62g
NO.30
120g
NO.50
218g
NO.
100
56g
접시
14g
3. 결론
3.1. 결과표
체번호
굵은골재
잔 골 재
각체에 남은량의
누계
각체에 남은 량
각체에남은량의
누계
각체에 남은 량
g
%
g
%
g
%
g
%
*80mm
*40mm
30mm
50
0
50
0
*19mm
250
2
200
2
15mm
2215
22
1965
20
12mm
8125
81
5910
59
*10mm
9085
91
960
10
0
0
0
0
*NO 4
100
4
1
4
1
*NO 8
100
30
6
26
5
*NO 16
100
92
18
62
12
*NO 30
100
212
42
120
24
*NO 50
100
430
86
218
44
*NO100
100
486
97
56
11
접시
10000
100
915
9
500
100
14
3
계
10000
100
10000
100
500
100
500
100
조립율
3.2. 체가름 곡선
① 굵은골재
② 잔골재
3.3. 결론
체가름 시험 결과 굵은골재는 조립율 기준 6~8 중에 6.93이 나왔고, 잔골재는 기준 2.3~3.1 중에 2.5가 나왔다.
시험 결과 조립율은 기준에 만족하지만,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의 경우 대한건축학회에서 정한 표준입도분포 곡선을 벗어나 콘크리트용 골재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잔골재는 표준입도분포 곡선 내에 있으므로 콘크리트용 골재로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
2학년 UG반 담당교수 이용재
2010. 4. 20.
20096362 최봉현
20096026 민선환
20096029 김태희
20096041 최성석
20096053 이동규
- 목 차 -
1. 개요
1.1. 적용범위
1.2. 시험기구
1.3. 시료 채취
1.4. 시료의 건조
1.5. 시험 방법
1.6. 계산
2. 시험
3. 결론
3.1. 결과표
3.2. 체가름 곡선
3.3. 결론
1. 개요
1.1. 적용범위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혼합물에 사용하는 골재를
1.2. 시험기구
① 저울 : 저울은 시료 질량의 0.1% 이하의 눈금량 또는 감량을 가진 것으로 한다. 현장에서 시험하는 경우에는 저울의 정밀도를 시료 질량의 0.5%까지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② 체 : KS F 2523에서 규정한 호칭 치수 0.08㎜, 0.15㎜, 0.3㎜, 0.6㎜, 1.2㎜, 2.5㎜, 5㎜, 10㎜, 13㎜, 15㎜, 20㎜, 25㎜, 30㎜, 40㎜, 50㎜, 60㎜, 80㎜, 100㎜의 망체로 한다.
③ 덮개 및 받침 접시 : 덮개 및 받침 접시는 단단히 조이는 것을 사용한다.
④ 건조기 : 건조기는 배기구가 있는 것으로 (105±5)℃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만약 현장에서 시험하는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건조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 건조된 골재에 대하여 일정한 질량으로 유지할 수 있는 외부의 적합한 장비를 사용하여도 된다.
1.3. 시료 채취
시험하려고 하는 로트를 대표하도록 골재를 채취하여 사분법 또는 시료분취기에 의해 거의 소정량이 되도록 축분한다.
1.4. 시료의 건조
분취한 시료를 (105±5)℃에서 24시간, 일정 질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건조 후, 시료는 실온까지 냉각시킨다.
1.5. 시험 방법
① 시료를 0.1% 이상으로 측정한다.
② 체가름 시험 목적에 맞는 조합 망체를 이용하여 체가름 한다.
③ 체가름은 수동 또는 기계에 의하여 상하 운동 및 수평 운동을 주고 시료를 흔들어 시료가 끊임없이 체면을 균등하게 운동하도록 하고, 1분간 각 체를 통과하는 것이 전 시료 질량의 0.1% 이하가 될 때까지 작업을 한다.
④ 체 눈이 막힌 알갱이는 파쇄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되밀에 체에 남은 시료로 간주한다. 어떤 골재에서나 손으로 밀어서 무리하게 체를 통과시켜서는 안된다. 다만, 큰 입자는 손으로 놓도록 하고 방향을 바꾸어 개개의 구멍에 맞추어 통과하는 것을 체를 통과하는 시료로 간주한다.
⑤ 각 체에 남은 시료를 전 시료 질량의 0.1% 이상까지 정확하게 측정한다. 각 체에 남은 것과 받침접시 안의 것의 총합은 체가름 전에 측정한 시료 질량과 1% 이상 달라서는 안된다.
1.6. 계산
체가름 계량 결과는 시료 전 질량에 대한 백분율로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계산하여 KS A 3251-1에 따라 정수로 끝맺음 한다.
2. 시험
굵은골재
잔골재
①
시료를 정확히 10,000g 계량한다
시료를 정확히 500g 계량한다
②
시료를 체가름 시험기에 넣는다.
시료를 체가름 시험기에 넣는다.
③
체가름 시험기에서 1분가량
체가름 한다.
체가름 시험기에서 1분가량
체가름 한다.
④ 각 체에 남은 량을 계량한다.
굵은골재
체번호
계량
30㎜
50g
19㎜
200g
15㎜
1965g
12㎜
5910g
10㎜
960g
접시
915g
잔골재
체번호
계량
NO.4
4g
NO.8
26g
NO.16
62g
NO.30
120g
NO.50
218g
NO.
100
56g
접시
14g
3. 결론
3.1. 결과표
체번호
굵은골재
잔 골 재
각체에 남은량의
누계
각체에 남은 량
각체에남은량의
누계
각체에 남은 량
g
%
g
%
g
%
g
%
*80mm
*40mm
30mm
50
0
50
0
*19mm
250
2
200
2
15mm
2215
22
1965
20
12mm
8125
81
5910
59
*10mm
9085
91
960
10
0
0
0
0
*NO 4
100
4
1
4
1
*NO 8
100
30
6
26
5
*NO 16
100
92
18
62
12
*NO 30
100
212
42
120
24
*NO 50
100
430
86
218
44
*NO100
100
486
97
56
11
접시
10000
100
915
9
500
100
14
3
계
10000
100
10000
100
500
100
500
100
조립율
3.2. 체가름 곡선
① 굵은골재
② 잔골재
3.3. 결론
체가름 시험 결과 굵은골재는 조립율 기준 6~8 중에 6.93이 나왔고, 잔골재는 기준 2.3~3.1 중에 2.5가 나왔다.
시험 결과 조립율은 기준에 만족하지만,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의 경우 대한건축학회에서 정한 표준입도분포 곡선을 벗어나 콘크리트용 골재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잔골재는 표준입도분포 곡선 내에 있으므로 콘크리트용 골재로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