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개념설계
(2) 구체설계
(3) 상세설계
(4) 시험 및 평가
3. 결론 및 설계결과
4. 참고문헌
2. 본론
(1) 개념설계
(2) 구체설계
(3) 상세설계
(4) 시험 및 평가
3. 결론 및 설계결과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금 떨어진다.
< 기여도 >
3. 결론 및 설계결과
이번 설계는 모터 2개를 이용하여 경사를 올라가는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었다. 어렸을 적 남자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미니카를 만들어서 놀아봤을 텐데 처음에는 굉장히 쉬운 설계로 생각하였다. 우리 조원들 모두 미니카처럼 비슷하게 만들면 잘 될 거라 생각하였고 막상 직접 자동차를 만들어보니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다. 처음 자동차를 만들 때 우리조가 중요하게 생각한건 차체의 선택 이였다. 처음 선택한 차체는 스티로폼 이였는데 생각보다 설계를 하기에는 실용성이 많이 떨어졌다. 모터를 넣을 공간을 칼로 이용하여 잘라내야 하였고 양쪽을 똑같은 조건으로 할 수가 없었기에 차체의 균형과 직진성이 많이 좋지 않아 포기하였다. 설계를 하다가 햄 뚜껑에 모터와 건전지를 연결하고 바퀴 4개만 연결하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모터의 무게와 건전지 무게를 이용하여 차체의 중심을 잡게 하고 최소의 무게로 차체가 안정화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아이디어를 가지고 설계를 시작하였다. 바퀴 2개는 모터에 연결하면 되었지만 다른 바퀴2개의 경우에는 차체인 햄 뚜껑에 구멍을 뚫어 볼펜심을 연결하여 바퀴의 축 역할을 하게 하였다. 설계할 부품들을 준비하고 설계를 하였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이런 문제점들은 실험을 통해 해결을 하였다. 먼저 바퀴의 경우 동일한 크기와 앞바퀴를 작고 뒷바퀴를 크게 또는 그 반대로 하여 실험을 해본결과 앞바퀴를 작은 것으로 하고 뒷바퀴를 크게 하는 것이 직진성과 자동차의 속력이 더 좋았다. 그리고 기계공학부에 재학 중인 친구가 앞바퀴에 모터를 연결하여서 전륜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더 잘 될 거라고 자신이 실험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을 말해주어 전륜으로 설계를 해보니 후륜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설계를 끝내고 난후 실험을 해본결과 직진성과 속력 양쪽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5월 31일 측정 날에도 4등이라는 좋은 기록을 얻을 수 있었다. 비록 3단계에서 성공을 하였지만 다른 조 들의 시기어린 질투에 4단계로 넘어가지 못했던 것이 아쉽다. 각 조들마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조도 있었고 굉장히 잘 만든 조도 있었다.
간단한 실험이면서도 힘든 실험 이였지만 나름 다른 실험들과 다르게 재미도 있는 실험 이였던 것 같다.
4. 참고문헌
자동차 공학을 위한 기계요소설계
자동차 설계
< 기여도 >
3. 결론 및 설계결과
이번 설계는 모터 2개를 이용하여 경사를 올라가는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었다. 어렸을 적 남자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미니카를 만들어서 놀아봤을 텐데 처음에는 굉장히 쉬운 설계로 생각하였다. 우리 조원들 모두 미니카처럼 비슷하게 만들면 잘 될 거라 생각하였고 막상 직접 자동차를 만들어보니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다. 처음 자동차를 만들 때 우리조가 중요하게 생각한건 차체의 선택 이였다. 처음 선택한 차체는 스티로폼 이였는데 생각보다 설계를 하기에는 실용성이 많이 떨어졌다. 모터를 넣을 공간을 칼로 이용하여 잘라내야 하였고 양쪽을 똑같은 조건으로 할 수가 없었기에 차체의 균형과 직진성이 많이 좋지 않아 포기하였다. 설계를 하다가 햄 뚜껑에 모터와 건전지를 연결하고 바퀴 4개만 연결하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모터의 무게와 건전지 무게를 이용하여 차체의 중심을 잡게 하고 최소의 무게로 차체가 안정화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아이디어를 가지고 설계를 시작하였다. 바퀴 2개는 모터에 연결하면 되었지만 다른 바퀴2개의 경우에는 차체인 햄 뚜껑에 구멍을 뚫어 볼펜심을 연결하여 바퀴의 축 역할을 하게 하였다. 설계할 부품들을 준비하고 설계를 하였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이런 문제점들은 실험을 통해 해결을 하였다. 먼저 바퀴의 경우 동일한 크기와 앞바퀴를 작고 뒷바퀴를 크게 또는 그 반대로 하여 실험을 해본결과 앞바퀴를 작은 것으로 하고 뒷바퀴를 크게 하는 것이 직진성과 자동차의 속력이 더 좋았다. 그리고 기계공학부에 재학 중인 친구가 앞바퀴에 모터를 연결하여서 전륜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더 잘 될 거라고 자신이 실험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을 말해주어 전륜으로 설계를 해보니 후륜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설계를 끝내고 난후 실험을 해본결과 직진성과 속력 양쪽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5월 31일 측정 날에도 4등이라는 좋은 기록을 얻을 수 있었다. 비록 3단계에서 성공을 하였지만 다른 조 들의 시기어린 질투에 4단계로 넘어가지 못했던 것이 아쉽다. 각 조들마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조도 있었고 굉장히 잘 만든 조도 있었다.
간단한 실험이면서도 힘든 실험 이였지만 나름 다른 실험들과 다르게 재미도 있는 실험 이였던 것 같다.
4. 참고문헌
자동차 공학을 위한 기계요소설계
자동차 설계
추천자료
현대자동차의경영과 EF소나타 마케팅전략
매킨지 보고서한국은 생산성 세계대전의 패자이다
맥킨지 보고서에 대하여
국내 경유차 시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현대자동차의 실패와 성공
[논문]연료전지 자동차에 대한 졸업 논문 예비 발표 자료
다국적기업 TOYOTA의 비밀
북경시 대체연료 자동차 연구 발전 전략에 관한 고찰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하여
기업체 연수원 견학 보고서 [기아인재개발원]
기아자동차,K씨리즈,기업분석,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포드 자동차 핀토 사례조사
한국타이어의 중국 해외직접투자
포르셰 Porsche (자동차시장분석,외부자원분석,내부자원분석,SWOT 분석,신흥시장,포르셰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