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이론
3.실험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7.참고문헌
2.이론
3.실험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7.참고문헌
본문내용
1.44
37.82
38.67
61.33
No.40
0.42
377.26
415.35
38.09
28.01
66.68
33.32
No.100
0.15
357.93
388.4
30.47
22.4
89.08
10.92
No.200
0.074
343.59
354.19
10.6
7.79
96.87
3.13
Pan
246.73
250.98
4.25
3.13
100
0
계
136
100
● 체분석 전 흙의 총 중량 : 136.41 g
● 체분석 후 흙의 총 중량 : 136.00 g
● 중량의 오차= = 0.301%
(체분석 전과 후의 무게 차이가 2% 이내이므로 알맞은 실험임)
5.2 입도분포곡선
위의 그래프에서 D60, D30, D10 점의 값은
0.82mm 0.38mm 0.145mm
●곡률계수=1.21
● 균등계수=5.66
6.고찰
이번 실습시간은 체분석실험이었다. 흙의 공학적인 성질을 파악하는 데 흙 입자의 크기나 그 입도분포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래서 흙의 체분석 시험으로 입도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모든 토질실험의 기초가 된다고 한다.
입도분포의 적용
● 입도분포를 파악함으로써 흙의 생성기원, 퇴적환경을 알 수 있다.
● 현장 채취시료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해석하는데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중량의 오차를 보면 0.301%로 2%안에 있어서 재 실험을 하지 않아도 됐다. 하지만 여러 가지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오차의 원인
● 흙을 체에 붓거나, 체를 흔든 후 뚜껑을 열면서 가는 흙들이 빠져나간다.
→ 체에 흙을 부을 때 조심하고, 가는 흙이 빠져나가지 않게 체 사이사이에 테 잎을 붙임으로써 오차를 줄인다.
● 저울의 수평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였다.
→ 저울은 작은 바람이나 진동에도 수평을 이루지 못 한다. 이를 잘 보정해주 어야 한다.
● 체분석을 원래 진동기로 하여야 하나 실험실 여건에 의해 손으로 작업을 하여 작은 입자가 큰 입자위에 있어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도분포 곡선을 구함으로써 을 구해보고, 균등계수와 곡률계수 를 구함으로써 시료 흙에 대한 입도분포의 균등여부와 입도분포의 양호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4 <=5.66 < 10 , 1 <=1.21 < 3
※이 시료는 양입도이며, 입도분포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7.참고문헌
(1) 이인모, “토질역학의 원리”, 도서출판 새론, 2009
(2) 류만용.이재환.전찬기.김윤성.박우진, “토목재료학”, 구미서관, 2007
37.82
38.67
61.33
No.40
0.42
377.26
415.35
38.09
28.01
66.68
33.32
No.100
0.15
357.93
388.4
30.47
22.4
89.08
10.92
No.200
0.074
343.59
354.19
10.6
7.79
96.87
3.13
Pan
246.73
250.98
4.25
3.13
100
0
계
136
100
● 체분석 전 흙의 총 중량 : 136.41 g
● 체분석 후 흙의 총 중량 : 136.00 g
● 중량의 오차= = 0.301%
(체분석 전과 후의 무게 차이가 2% 이내이므로 알맞은 실험임)
5.2 입도분포곡선
위의 그래프에서 D60, D30, D10 점의 값은
0.82mm 0.38mm 0.145mm
●곡률계수=1.21
● 균등계수=5.66
6.고찰
이번 실습시간은 체분석실험이었다. 흙의 공학적인 성질을 파악하는 데 흙 입자의 크기나 그 입도분포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래서 흙의 체분석 시험으로 입도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모든 토질실험의 기초가 된다고 한다.
입도분포의 적용
● 입도분포를 파악함으로써 흙의 생성기원, 퇴적환경을 알 수 있다.
● 현장 채취시료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해석하는데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중량의 오차를 보면 0.301%로 2%안에 있어서 재 실험을 하지 않아도 됐다. 하지만 여러 가지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오차의 원인
● 흙을 체에 붓거나, 체를 흔든 후 뚜껑을 열면서 가는 흙들이 빠져나간다.
→ 체에 흙을 부을 때 조심하고, 가는 흙이 빠져나가지 않게 체 사이사이에 테 잎을 붙임으로써 오차를 줄인다.
● 저울의 수평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였다.
→ 저울은 작은 바람이나 진동에도 수평을 이루지 못 한다. 이를 잘 보정해주 어야 한다.
● 체분석을 원래 진동기로 하여야 하나 실험실 여건에 의해 손으로 작업을 하여 작은 입자가 큰 입자위에 있어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도분포 곡선을 구함으로써 을 구해보고, 균등계수와 곡률계수 를 구함으로써 시료 흙에 대한 입도분포의 균등여부와 입도분포의 양호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4 <=5.66 < 10 , 1 <=1.21 < 3
※이 시료는 양입도이며, 입도분포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7.참고문헌
(1) 이인모, “토질역학의 원리”, 도서출판 새론, 2009
(2) 류만용.이재환.전찬기.김윤성.박우진, “토목재료학”, 구미서관,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