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골재 체가름실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시험목적

2.시험기구

3.시험방법

4.시험결과 정리 및 평가

5.고찰

6.주의사항

7.참고사항

8.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면 단
위수량이 증가하고 콘크리트의 점성이 증가하는 등 단점이 있다.
쇄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적량의 미립분을 함유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다량 함유하는 경우는 단위수량을 증가시키고 강도를 저하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렇듯 골재에 대해 충분한 사전지식을 갖은 다음 현장
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짧은 실험 시간에 많은 것을 배울 수는 없지만 실험을 왜 하는지 그리고 실험에서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를 제대로 알게된다면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을 설계
하고 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6] 주 의 사 항
(1) 기계로 체가름 하였을 때는 다시 손으로 체가름하고 1분간에 각 체에 남는 시료가 1% 이하가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2) 잔골재에 있어서는 No.200(74μ)체를 통과하는 양을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씻기 시험방법(KS F 2511)에 의하여 정한다.
(3) 체가름할 때 체에 잔류한 시료편을 손으로 눌러서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
[7] 참 고 사 항
(1) 굵은 골재와 잔골재가 혼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No.4체로 쳐서 잔류하는 것은 굵은 골재로, 통과하는 것을 잔골재로 적용하며 각각의 최대입경에 따라 필요한 양을 채취하여 체가름시험을 실시한다(최근에는 하천골재를 구하기가 어려워 시방입도 범위에 들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2) 체가름 실측입도곡선을 볼 때는 굵은 골재는 체에 남은 누계중량의 %값을 보고, 잔골재는 체를 통과하는 중량의 %값을 본다.
(3) 잔골재의 입도표준(무근 및 철근 제 173조, 포장 콘크리트 시방서 제 9조 및 댐 콘크리트 시방서 제 10조)은 표 7-1, 7-2와 같다.
표 7-1 잔골재의 입도표준
(공통부분·포장 콘크리트) (KS F 2502)
체 번 호
체를 통과하는 것의 무게비 (%)
100mm
No. 4
No. 8
No. 16
No. 30
No. 50
No.100
100
95∼100
80∼100
50∼85
25∼60
10∼30
2∼10
표 7-2 잔골재의 입도표준
(댐 콘크리트의 경우 시방서) (KS F 2502)
체 번 호
체를 통과하는 것의 무게비 (%)
100mm∼No. 4
No. 4∼No. 8
No. 8∼No. 16
No. 16∼No. 30
No. 30∼No. 50
No. 50∼No.100
No.100이하
0∼8
5∼20
10∼25
10∼30
15∼30
12∼20
2∼15
(4) 조립율 계산 예는 다음과 같다.
표 7-3 조립률 계산의 보기
체 번 호
잔 골 재
굵 은 골 재
체에 남는 양(%)
체에 남는 양의
누계(%)
체에 남는 양(%)
체에 남는 양의
누계(%)
80mm
40mm
19mm
10mm
No. 4
No. 8
No. 16
No. 30
No. 50
No.100
0
0
0
0
3
9
14
28
35
8
0
0
0
0
3
12
26
54
89
97
0
5
34
36
22
3
-
-
-
-
0
5
39
75
95
100
100
100
100
100
합 계
281
716
조립률(FM)
FM = 281 100 = 2.81
FM = 716 100 = 7.16
※골재의 최대치수 = 40mm
(5) 체가름 결과가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게 되면 입도가 고르다고 말한다.
만약 벗어나면 그 벗어난 점의 체에서는 양이 모자라든지 아니면 많은 것이다.
(6) 골재알의 크기가 고른 것은 공극률이 크기 때문에 같은 강도의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는 다량의 모르타르가 필요하며 콘크리트의 단가가 높아진다.
(7) 세립이 많은 모래일수록 다량의 시멘트풀을 사용해야 하며 표준입도범위에서 각 체를 통과하는 양이 최대값에 가까운 골재가 좋다.
(8)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풀이 절약되고 밀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얻게 되어 경제적이다.
(9) 잔골재의 입도가 변화되면 콘크리트의 workability, consistency 및 finishability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으로 슬럼프, 물·시멘트비, 잔골재율이 같은 경우 단위수량, 단위 시멘트량은 잔골재의 조립률에 반비례한다.
(10) 잔골재의 조립률이 0.2 변화하면 슬럼프가 1.5∼3cm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경량골재의 경우 조립률이 0.15 이상 변화한 경우 배합을 변화하지 않으면 그 골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11) 굵은 골재의 입도영향은 적고 최대치수가 일정하면 그 입도가 상당히 한쪽에 치우쳐 있어도 잔골재율의 조정에 따라 단위수량을 증가하지 않고 소요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12)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 굵은 골재의 조립률은 6∼8 정도가 좋다 (KS F 2526).
(13)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조립률을 알 때 콘크리트의 용적배합을 1 : p : q로 양자를 혼합한 경우 조립률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이 값은 실제 혼합골재의 체가름시험에 의한 조립률과 일치한다.
M_a~=~"p"over"p+q"M_s +"q"over"p+q"M_G
=~r·M_s +(1-r)M_G
여기서, Ma : 혼합골재의 조립률
Ms : 잔골재의 조립률
MG : 굵은 골재의 조립률
r~:~~"p"over"p+q"
또, 잔골재, 굵은 골재의 조립률과 혼합골재의 조립률을 알 때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배합비율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r~=~{M_G -M_a}over{M_G -M_s},~~~~~{p}over{q}~=~"r"over"1-r"
(14) 잔골재와 굵은 골재를 용적비로 혼합하면 잔골재의 대부분은 굵은 골재의 공극 가운데로 들어가고 혼합물의 용적은 잔골재, 굵은 골재를 개별로 측정한 용적의 합보다 축소한다. 이 양자의 용적을 수축계수라 한다.
S~=~{r·W_s +(1-r)W_G}overW_m
여기서, S : 혼합물의 수축계수
Ws : 잔골재
WG : 굵은 골재의 중량
Wm : 잔골재·굵은 골재 혼합물의 중량
[8] 참 고 문 헌
박승범, 최신 토목재료 실험, 문운당, 1996, Page 48∼52
문한영, 건설재과학, 동명사, 1996, Page 317∼323
Braja M. Das, 토질역학, 구미서관, 1999, Page 8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1.0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