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험목적
2.시험용 기구
2.시험용 기구
본문내용
골재에 흡수되기 때문에 유효한 단위수량이 감소하고 ,반대로 골재표면에 물이 묻어 있는 경 우(습윤상태)에는 그 표면에 있는 물의 양은 배합설계시의 단위수량 에 가해져 단위수량은 증가하게 된다. 단위수량이 증감함에 따라 콘 크리트의 시공성, 펌핑성, 유동성, 강도, 내구성 등의 다양한 성능의 증대를 유도하기 때문에 비록 각각의 골재의 함수량의 변화는 적을 지라도, 콘크리트 체적의 70%이상을 골재가 차지하므로 골재 전체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생각해보면 그 영향은 매우 크다.
골재의 흡수율과 함수율은 절건상태의 골재중량에 대하여 표면수율 은 표건상태의 골재중량에 대한 수분의 비율인 중량백분율, [。/wt ] 로 나타낸다. 함수 또는 흡수의 중량백분율이 동일하더라도 골재비중 이 다르면 실제로 흡수되는 수량은 다르다. 따라서 각종 골재의 흡수 량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이 불편을 피하기 위해 골재의 절대용적에 대한 용적백분율 [。/wl ]로 표시한다.
a) 골재의 함수 상태
① 절건상태 : 절대건조상태로 110℃ 정도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상태
② 기건상태 :공기 중 건조상태로 실내에 방치한 경우 골재 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된 상태.
③ 표건상태 : 표면건조 내부 포수상태로 골재 표면에는 물이 없으나 내부에는 물이 있는 상태.
- 표건상태를 만드는 방법은 보통골재에 대해서 KS F 2503, KS F 2504 경량골재 에 대해서는 KS F 2529, KS F 2533에 규정되어 있다.
④ 습윤상태 : 골재 내부에 무이 채워져 있는 상태.
b) 골재의 함수량 - 골재의 표면에 있든, 내부에 있든 관계없이 모두 합해서 함수량이 라 한다.
c) 골재의 흡수량 - 절건상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기까지 골재 내부에 흡수할 수 있 는 수량을 골재의 흡수량이라 하고, 기건상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기까지 흡수할 수 있는 수량을 유효흡수량이라한다.
d) 골재의 표면수량 - 골재 푠면에 묻어 있는 수량을 표면수량이라하며, 습윤상태의 골재 중량에서 절건상태의 골재 중량을 빼면 된다.
e) 골재의 흡수율 - 골재의 흡수율은 비중과 같이 골재의 성질, 풍화의 정도에 따라 변화는 성질은 갖고 있다. 건조골재가 물에 접하면 흡수현상이 처 음에는 급히, 나중에는 완만하게 진행된다. 인공결량 골재에서는 완전한 내부포수상태에 이르기까지는 장시간을 요한다.
일반적으로 밀실한 석질의 흡수율은 적으며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는 골재의 표면건조상태를 기준으로 하므로 절건, 기건상태의 골 재는 비빔시물의일부를흡수하고한편골재의 표면수는 비빔시 단위 수량의 일부로 생각할 수 있다.
콘크리트 용적의 70%이상이 골재이므로 그 함수 상태는 콘크 리트의 품질관리상 극히 중요하다. 따라서 비중과 더불어 흡수율 은 골재 품질 판정의 지표로서 이용되며, 양자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비중이 작을수록 흡수율은 커지게 된 다. 또한 흡수율은 골재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에도 밀접한 관 련이 있는 데, 흡수율이 클수록 안정성은떨어지게 된다.
골재의 안정 시험방법으로서는 안정성의 지표로서 황산나트륨의 결 정암에 의한 골재립의붕괴정도를 손실중량 백분율로 표시하는 방 법이 있다. 보통 콘크리트용 쇄석은 손실중량백 분율이 12%이하 로 한다.
f) 비중 -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골재량의 산정,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의 계산, 실적률, 공극률 등의계산에 사용되는 골재의 비중은 골재 자체의 품질 을 판정할 때의 지침이 되는 중요한 성질이다.
※골재의 비중에는 다음과 같이 구분이 된다.
① 진비중 - 골재 입자의 실질부분의 비중으로 절건상태의 골재 중량을 골재 입자 내의 공극을 뺀 체적으로 나눈값으로 공극을 포함하지 않은 석질만의 비중으로 골재를 미분쇄하여 구한다.
② 겉보기 비중
ⅰ) 절건비중 - 절건상태의 골재 중량을 보통 골재에서는 표면건조내부포수 상, 경량골재에서는 표면건조상태의 용적으로 나눈 값으로 일 반적으로 비중이라 말하는 비중은 절건비중을 말한다.
ⅱ) 표건비중 - 표건상태의 보통 골재 또는 표면건조상태의 경량골재의 중량 을 그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 골재의 비중측정방법은 비중의 종류, 골재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르다. 골 재의 겉보기 비중은 골재의 석질, 풍화의 정도, 골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서 정해지는 고유한 성질이며, 골재의 성질에 따라매우 달라진다.
8.고 찰
김기진-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서 골재의 입도(골재 중의 크고 작은 입자들의 혼합하여 있 는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간단한 표시법으로 조립률이 있다. 건축용 조립률은 0.15, 0.3, 0.6, 1.2, 2.5, 5, 10, 20, 40 mm의 9개의 체에 남는 골재의 잔골재 에대한 중량백분율의 합계를 100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조립률은 잔골재의 크기 및 거칠기를 표시하는 데 특히 편리하며대락 FM이 3 이상이면 굵은 모래, 2 ~ 3이면 중간모래, 2 이하이면 가는 모래이다. 실험에 사용된 체는0.15, 0.3, 0.6, 1.2,2.5, 5, 10mm의 체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체진동기에 넣고 실험을 했을 때 각 체에 남은 골재의 양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실험결과를 보고 알 수 있었 던 것은 실험에 사용하는 시료는 건조된 시료를 사용 했어야 하는데 공기 중에 노 출되어 골재에 습기가 있었 던 거 같았고 2회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평균으로 하 여야 하지만 1번의 실험으로 측정값을 도출해 약간의 오차가 있었던 거 같다.
강재구
김용삼
김장래- 골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75mm, 40mm, 20mm, 10mm, 5mm, 2.5mm, 0.6mm, 0.6mm, 0.3mm, 0.15mm의 10개 체를 한 조로하는 체가름 시험을 했을 때 각 체에 남아있는 전시료에 대한 중량백분율의 합게를 100으로 나 눈 값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사이가 좋다고 하며, 굵은골재에 대해서는 6~8이 적당하다.
실험결과 골재의 표준입도 범위에 속하는 결과 값이 나왔다. 다만, 1번의 실험 값 을 내어 다소 아쉬움이 있으나 조립률의 산정 방법인 곡선을 이해하게 되었다.
김재필
골재의 흡수율과 함수율은 절건상태의 골재중량에 대하여 표면수율 은 표건상태의 골재중량에 대한 수분의 비율인 중량백분율, [。/wt ] 로 나타낸다. 함수 또는 흡수의 중량백분율이 동일하더라도 골재비중 이 다르면 실제로 흡수되는 수량은 다르다. 따라서 각종 골재의 흡수 량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이 불편을 피하기 위해 골재의 절대용적에 대한 용적백분율 [。/wl ]로 표시한다.
a) 골재의 함수 상태
① 절건상태 : 절대건조상태로 110℃ 정도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상태
② 기건상태 :공기 중 건조상태로 실내에 방치한 경우 골재 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된 상태.
③ 표건상태 : 표면건조 내부 포수상태로 골재 표면에는 물이 없으나 내부에는 물이 있는 상태.
- 표건상태를 만드는 방법은 보통골재에 대해서 KS F 2503, KS F 2504 경량골재 에 대해서는 KS F 2529, KS F 2533에 규정되어 있다.
④ 습윤상태 : 골재 내부에 무이 채워져 있는 상태.
b) 골재의 함수량 - 골재의 표면에 있든, 내부에 있든 관계없이 모두 합해서 함수량이 라 한다.
c) 골재의 흡수량 - 절건상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기까지 골재 내부에 흡수할 수 있 는 수량을 골재의 흡수량이라 하고, 기건상태로부터 표건상태로 되기까지 흡수할 수 있는 수량을 유효흡수량이라한다.
d) 골재의 표면수량 - 골재 푠면에 묻어 있는 수량을 표면수량이라하며, 습윤상태의 골재 중량에서 절건상태의 골재 중량을 빼면 된다.
e) 골재의 흡수율 - 골재의 흡수율은 비중과 같이 골재의 성질, 풍화의 정도에 따라 변화는 성질은 갖고 있다. 건조골재가 물에 접하면 흡수현상이 처 음에는 급히, 나중에는 완만하게 진행된다. 인공결량 골재에서는 완전한 내부포수상태에 이르기까지는 장시간을 요한다.
일반적으로 밀실한 석질의 흡수율은 적으며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는 골재의 표면건조상태를 기준으로 하므로 절건, 기건상태의 골 재는 비빔시물의일부를흡수하고한편골재의 표면수는 비빔시 단위 수량의 일부로 생각할 수 있다.
콘크리트 용적의 70%이상이 골재이므로 그 함수 상태는 콘크 리트의 품질관리상 극히 중요하다. 따라서 비중과 더불어 흡수율 은 골재 품질 판정의 지표로서 이용되며, 양자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비중이 작을수록 흡수율은 커지게 된 다. 또한 흡수율은 골재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에도 밀접한 관 련이 있는 데, 흡수율이 클수록 안정성은떨어지게 된다.
골재의 안정 시험방법으로서는 안정성의 지표로서 황산나트륨의 결 정암에 의한 골재립의붕괴정도를 손실중량 백분율로 표시하는 방 법이 있다. 보통 콘크리트용 쇄석은 손실중량백 분율이 12%이하 로 한다.
f) 비중 -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골재량의 산정,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의 계산, 실적률, 공극률 등의계산에 사용되는 골재의 비중은 골재 자체의 품질 을 판정할 때의 지침이 되는 중요한 성질이다.
※골재의 비중에는 다음과 같이 구분이 된다.
① 진비중 - 골재 입자의 실질부분의 비중으로 절건상태의 골재 중량을 골재 입자 내의 공극을 뺀 체적으로 나눈값으로 공극을 포함하지 않은 석질만의 비중으로 골재를 미분쇄하여 구한다.
② 겉보기 비중
ⅰ) 절건비중 - 절건상태의 골재 중량을 보통 골재에서는 표면건조내부포수 상, 경량골재에서는 표면건조상태의 용적으로 나눈 값으로 일 반적으로 비중이라 말하는 비중은 절건비중을 말한다.
ⅱ) 표건비중 - 표건상태의 보통 골재 또는 표면건조상태의 경량골재의 중량 을 그의 용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 골재의 비중측정방법은 비중의 종류, 골재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르다. 골 재의 겉보기 비중은 골재의 석질, 풍화의 정도, 골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서 정해지는 고유한 성질이며, 골재의 성질에 따라매우 달라진다.
8.고 찰
김기진-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서 골재의 입도(골재 중의 크고 작은 입자들의 혼합하여 있 는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간단한 표시법으로 조립률이 있다. 건축용 조립률은 0.15, 0.3, 0.6, 1.2, 2.5, 5, 10, 20, 40 mm의 9개의 체에 남는 골재의 잔골재 에대한 중량백분율의 합계를 100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조립률은 잔골재의 크기 및 거칠기를 표시하는 데 특히 편리하며대락 FM이 3 이상이면 굵은 모래, 2 ~ 3이면 중간모래, 2 이하이면 가는 모래이다. 실험에 사용된 체는0.15, 0.3, 0.6, 1.2,2.5, 5, 10mm의 체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체진동기에 넣고 실험을 했을 때 각 체에 남은 골재의 양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실험결과를 보고 알 수 있었 던 것은 실험에 사용하는 시료는 건조된 시료를 사용 했어야 하는데 공기 중에 노 출되어 골재에 습기가 있었 던 거 같았고 2회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평균으로 하 여야 하지만 1번의 실험으로 측정값을 도출해 약간의 오차가 있었던 거 같다.
강재구
김용삼
김장래- 골재의 입도를 수량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75mm, 40mm, 20mm, 10mm, 5mm, 2.5mm, 0.6mm, 0.6mm, 0.3mm, 0.15mm의 10개 체를 한 조로하는 체가름 시험을 했을 때 각 체에 남아있는 전시료에 대한 중량백분율의 합게를 100으로 나 눈 값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사이가 좋다고 하며, 굵은골재에 대해서는 6~8이 적당하다.
실험결과 골재의 표준입도 범위에 속하는 결과 값이 나왔다. 다만, 1번의 실험 값 을 내어 다소 아쉬움이 있으나 조립률의 산정 방법인 곡선을 이해하게 되었다.
김재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