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덕, 동승 - 갈등구조, 캐릭터의 구축 양상, 극적 시공간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함세덕, 동승 - 갈등구조, 캐릭터의 구축 양상, 극적 시공간의 특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갈등구조

2. 캐릭터의 구축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눈이 쌓이는 추운 겨울은 그리움과 애틋함이 묻어나는 계절 이기도 하다. 극의 초반부에 초겨울 이라고 명시해 두었고, 사람들의 옷 차림과 극 중 세속과 폐쇠의 갈등을 상징하는 토끼털 목도리에서도 극의 계절적 배경이 겨울이라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동승>의 흐름은 시간 적 순서에 따라 흘러가고 이는 연극의 특성상 시간적 흐름은 비 순차적으로 바꿀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 공간의 특징
<동승>의 공간적 배경은 산속의 절로 무대는 주로 도념을 따라 구성된다. 극의 대부분이 도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념이 주로 있는 절간 앞 샘터가 극의 주 배경이 된다.
<동승>의 공간적 특징은 극의 주된 절이 마을 입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속세와 탈속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도념의 가치관을 상징 하기도 한다. 속세를 상징하는 마을과 탈속을 상징하는 절의 사이에서 도념은 갈등하기 때문이다.
글의 전반부에서 볼 수 있듯이 인수와 아이들은 노래를 부르며 비탈길을 따라 내려가고 완벽하게 속세와 차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념을 이를 보며 속세에 대한 마음을 키워 나가게 된다.
*참고문헌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6.0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