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물들의 갈등 관계
2. 각 인물들의 캐릭터상 특징
2. 각 인물들의 캐릭터상 특징
본문내용
은 아들을 잃은 사람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외의 인물들은 이러한 주된 인물들을 보조하여 극의 주제를 더 심화시킨다. 예를 들자면 인수는 어머니를 그리는 도념에게 애비 없는 자식이라는 말을 하여 도념이 고아라는 사실을 관객에게 각인시켜 준다. 초부는 서울 가게 되었다고 자랑하는 도념을 축하해준다. 또 주지가 토끼 목도리 뭉텅이를 들고 나타났을 때 절에 온 참배객들은 불교적 신념을 나타내준다. 또 대사를 통해 제시되는 대로라면 주지는 속세에서 많은 죄를 짓고 불문에 귀의하여 안정을 찾은 사람이다. 그것은 주지의 도덕관이며, 아이를 자기 사랑 속에서 키우겠다는 것은 미망인의 인생관이다. 이 극의 주된 갈등 중 하나인 미망인과 주지의 갈등을 보면 이 극이 도덕적인 층위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보자면 결국 절을 떠나가는 도념의 모습으로 마무리됨을 볼 때 <동승>은 비극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상 도념과 주지와 미망인을 주로 하여 갈등과 캐릭터들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개인적인 생각을 약간 쓰자면 이 극의 옥의 티는 토끼 가죽인듯 하다. 인수의 대사대로라면 토끼 가죽을 도념이 직접 벗겼다는 말이 되는데, 수렵에 관한 책을 보면 모피는 전문적인 기술을 갖고 펴서 말리는 등 벗긴 즉시 손질하지 않으면 못쓰게 된다고 되어 있다. 만약에 <동승>의 작가가 그것까지 염두에 두고 극을 썼다면 도념의 살생 행위는 아무런 댓가도 얻지 못하는 허무한 일이 된다. 다만 14살짜리 아이가 토끼 가죽을 얼마나 능숙하게 벗길 수 있느냐 하는 의심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이상 도념과 주지와 미망인을 주로 하여 갈등과 캐릭터들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개인적인 생각을 약간 쓰자면 이 극의 옥의 티는 토끼 가죽인듯 하다. 인수의 대사대로라면 토끼 가죽을 도념이 직접 벗겼다는 말이 되는데, 수렵에 관한 책을 보면 모피는 전문적인 기술을 갖고 펴서 말리는 등 벗긴 즉시 손질하지 않으면 못쓰게 된다고 되어 있다. 만약에 <동승>의 작가가 그것까지 염두에 두고 극을 썼다면 도념의 살생 행위는 아무런 댓가도 얻지 못하는 허무한 일이 된다. 다만 14살짜리 아이가 토끼 가죽을 얼마나 능숙하게 벗길 수 있느냐 하는 의심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추천자료
세계경제의 지역주의 동향과 동아시아 지역의 지역주의 모색
기능주의와 갈등론 이론의 특징 비교
김인향전 내용 인물상
[한국사회문제]우리사회 전형적 빈곤층을 염두에 두었을 때 개인의 책임과 구조의 측면과 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갈등과 협력
[일본노사관계, 일본노사관계 특징, 일본노사관계 역사, 일본노사관계 배경, 일본노사관계 재...
[한중일, 한중일지방교류, 한중일외교관계, 경제합작, 유통산업, 소설관, 가면극, 미적 개념]...
신문기사쓰기 - 기사 내용 선정, 기사 정보 수집, 작성, 기획 기사(개요, 구성요소, 유의사항...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중 두 가지를 골라 각 치료의 특징을 비교.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부간의 갈등, 가설설정 및 연구결과보고서
[노사관계론 공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발전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