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덕의 희곡 동승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함세덕의 희곡 동승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갈등구조

2. 캐릭터의 구축 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공간이며, 비탈길과 그 아래의 세상은 도념이 그리워하는 공간이다. 각자 다른 공간이 각각의 의미를 지님으로써 인물들의 행동과 대사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동승>의 극적 시간 또한 아주 흥미롭다. 극이 전개되는 동안 흐른 시간은 고작 하루이다. 도념이 물을 길러 갔다가 초부와 만나는 극의 시작 장면부터 도념이 절을 떠나는 극의 마지막 장면까지가 모두 하루 안에 일어난 일이다. 그러나 극의 전개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시간은 14년이나 된다. 처음 도념의 어머니인 여승이 파계하여 도념을 낳은 것부터 도념을 버리고 떠나 절의 주지가 도념을 키우게 된 것, 5년 전에 잠시 어머니가 절에 들른 적이 있다는 것, 그리고 도념이 미망인을 처음 본 것과 미망인이 아들을 잃은 것 등 과거의 사건들을 모두 알아야 <동승>의 극 전개를 모두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단 하루 동안 한 사람이 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고, 주체성을 찾아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게 된다는 이야기 자체도 재미있지만, 그 하루의 이야기를 위해 14년의 이야기가 필요하다는 점이 더욱 이 희곡에 흥미를 갖게 한다.
*참고문헌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6.0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0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