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갈등구조
2. 캐릭터의 구축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참고문헌
2. 캐릭터의 구축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 반면 산문 밖은 도념의 활동 공간이다. 샘터는 극중 인물들이 절에 드나들 때, 잠깐 쉬는 곳이다. 인물들은 샘터에서 쉬면서 인물들이 많은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관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낙들의 대화에선 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원내를 기웃거리다 안을 가리키며 '저이가 서울서 온 분이에요?'라고 묻는 것을 통해 깊은 산골짜기의 절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극 중에서는 산문 안의 정보를 밖으로 제공하면서 사건이 진행된다. 이것은 도념의 갈등 요인이 산문 안에서 주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산 속 아주 깊은 곳에 있는 절은 아니지만 산 중턱에 있는 절은 사람들이 드나들기 힘들다. 그렇지만 전반부에 인수와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며 비탈길로 내려가는 장면에서 그곳을 자주 다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은 비탈길을 따라 절에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는 것이 자유롭지만 도념은 그렇지 못하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도념은 아이들이 내려가는 비탈길로 당당하게 내려간다. 이것은 절에만 갇혀 있던 아이에서 속세로 당당하게 내려갈 수 있는 동리 아이들과 동격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극 중에서는 산문 안의 정보를 밖으로 제공하면서 사건이 진행된다. 이것은 도념의 갈등 요인이 산문 안에서 주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산 속 아주 깊은 곳에 있는 절은 아니지만 산 중턱에 있는 절은 사람들이 드나들기 힘들다. 그렇지만 전반부에 인수와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며 비탈길로 내려가는 장면에서 그곳을 자주 다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은 비탈길을 따라 절에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는 것이 자유롭지만 도념은 그렇지 못하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도념은 아이들이 내려가는 비탈길로 당당하게 내려간다. 이것은 절에만 갇혀 있던 아이에서 속세로 당당하게 내려갈 수 있는 동리 아이들과 동격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추천자료
세계경제의 지역주의 동향과 동아시아 지역의 지역주의 모색
기능주의와 갈등론 이론의 특징 비교
김인향전 내용 인물상
[한국사회문제]우리사회 전형적 빈곤층을 염두에 두었을 때 개인의 책임과 구조의 측면과 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갈등과 협력
[일본노사관계, 일본노사관계 특징, 일본노사관계 역사, 일본노사관계 배경, 일본노사관계 재...
[한중일, 한중일지방교류, 한중일외교관계, 경제합작, 유통산업, 소설관, 가면극, 미적 개념]...
신문기사쓰기 - 기사 내용 선정, 기사 정보 수집, 작성, 기획 기사(개요, 구성요소, 유의사항...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중 두 가지를 골라 각 치료의 특징을 비교.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부간의 갈등, 가설설정 및 연구결과보고서
[노사관계론 공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발전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