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승에 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승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갈등구조

2. 캐릭터의 구축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 반면 산문 밖은 도념의 활동 공간이다. 샘터는 극중 인물들이 절에 드나들 때, 잠깐 쉬는 곳이다. 인물들은 샘터에서 쉬면서 인물들이 많은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관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낙들의 대화에선 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원내를 기웃거리다 안을 가리키며 '저이가 서울서 온 분이에요?'라고 묻는 것을 통해 깊은 산골짜기의 절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극 중에서는 산문 안의 정보를 밖으로 제공하면서 사건이 진행된다. 이것은 도념의 갈등 요인이 산문 안에서 주어진다는 것을 말한다.
산 속 아주 깊은 곳에 있는 절은 아니지만 산 중턱에 있는 절은 사람들이 드나들기 힘들다. 그렇지만 전반부에 인수와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며 비탈길로 내려가는 장면에서 그곳을 자주 다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은 비탈길을 따라 절에 들어왔다가 다시 나가는 것이 자유롭지만 도념은 그렇지 못하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서 도념은 아이들이 내려가는 비탈길로 당당하게 내려간다. 이것은 절에만 갇혀 있던 아이에서 속세로 당당하게 내려갈 수 있는 동리 아이들과 동격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6.0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