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덕 「동승」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함세덕 「동승」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승>의 갈등구조

2. 캐릭터의 구축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도념이 나무에 기대서 지나가는 어린이들을 멀거니 바라보다가, 설움에 복받쳐 하는 모습을 통해서 도념은 이들을 많이 보아 왔고, 굉장히 부러워하고 있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즉, 도념은 산문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어린이들과 같은 또래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아이들에게는 열린 공간인 곳이 자신에게는 막혀있는 곳이라는 모순을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산문’은 도념에게 더 큰 갈등을 느끼게 하는 기능을 한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무대에 설정되어있는 비탈길은 도념이 토끼의 덫을 놓거나, 동네 아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산을 내려가는 비공식의 길이다. 따라서 극의 결말에서 도념이 비탈길로 가고 있다는 것은 그가 동네 아이들과 동격이 됨을 의미하는 동시에 그동안 내려갈 수 없었던 길을 선택한 것으로서 도념의 주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4. 참고문헌
김만수, 함세덕 「동승」의 행위소 모델 분석, 한국극예술학회, 한국극예술연구, 제3집 1993.3, pp. 139~156
김소정, 함세덕 희곡의 기호학적 연구 -「동승」「고목」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6.0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