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캐릭터 구축 양상
2. 갈등 구조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2. 갈등 구조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본문내용
뚫고 가는 산길이 산문(山門)으로 들어간다. 원내(院內)에 비각, 그 뒤로 산신당, 칠성당의 기와 지붕, 재 올리는 오색기치(五色旗幟)가 펄펄 날린다. 후면은 비탈, 우변(右邊) 바위틈에 샘에서 내려오는 물을 받는 물통이 있다.
아래의 ‘숲을~’에 해당하는 배경은 무대 장치를 통해 관객에게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심산고찰이라는 설정은 관객에게 직접 보여줄 수 없다. 따라서 다음의 대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과부 극락이 이렇게 높다면, 난 지옥엘 갈망정 안 갈래유.
관객은 위의 과부의 대사를 통해 <동승>의 공간적 배경이 높은 산 속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속세와 멀리 떨어진 공간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곳은 속세와 완전히 단절된 공간이 아니다. 인수와 동리 어린이들의 등장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동승>의 심산 고찰은 차라리 지옥엘 갈 만큼 속세와 먼 공간인 동시에 어린 아이들이 드나들 수 있을 만큼 속세와 가까운 거리이다. 이 역시 도념의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불교적 세계에서 자라 그 가르침을 받으며 자란 인물이지만 속가 세계의 어머니를 그리워한다. 그리고 이것은 도념이 비탈길을 따라 떠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아래의 ‘숲을~’에 해당하는 배경은 무대 장치를 통해 관객에게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심산고찰이라는 설정은 관객에게 직접 보여줄 수 없다. 따라서 다음의 대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과부 극락이 이렇게 높다면, 난 지옥엘 갈망정 안 갈래유.
관객은 위의 과부의 대사를 통해 <동승>의 공간적 배경이 높은 산 속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속세와 멀리 떨어진 공간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곳은 속세와 완전히 단절된 공간이 아니다. 인수와 동리 어린이들의 등장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동승>의 심산 고찰은 차라리 지옥엘 갈 만큼 속세와 먼 공간인 동시에 어린 아이들이 드나들 수 있을 만큼 속세와 가까운 거리이다. 이 역시 도념의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불교적 세계에서 자라 그 가르침을 받으며 자란 인물이지만 속가 세계의 어머니를 그리워한다. 그리고 이것은 도념이 비탈길을 따라 떠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추천자료
세계경제의 지역주의 동향과 동아시아 지역의 지역주의 모색
기능주의와 갈등론 이론의 특징 비교
김인향전 내용 인물상
[한국사회문제]우리사회 전형적 빈곤층을 염두에 두었을 때 개인의 책임과 구조의 측면과 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갈등과 협력
[일본노사관계, 일본노사관계 특징, 일본노사관계 역사, 일본노사관계 배경, 일본노사관계 재...
[한중일, 한중일지방교류, 한중일외교관계, 경제합작, 유통산업, 소설관, 가면극, 미적 개념]...
신문기사쓰기 - 기사 내용 선정, 기사 정보 수집, 작성, 기획 기사(개요, 구성요소, 유의사항...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중 두 가지를 골라 각 치료의 특징을 비교.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부간의 갈등, 가설설정 및 연구결과보고서
[노사관계론 공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발전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