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덕의 희곡 동승 -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함세덕의 희곡 동승 -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캐릭터 구축 양상

2. 갈등 구조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본문내용

뚫고 가는 산길이 산문(山門)으로 들어간다. 원내(院內)에 비각, 그 뒤로 산신당, 칠성당의 기와 지붕, 재 올리는 오색기치(五色旗幟)가 펄펄 날린다. 후면은 비탈, 우변(右邊) 바위틈에 샘에서 내려오는 물을 받는 물통이 있다.
아래의 ‘숲을~’에 해당하는 배경은 무대 장치를 통해 관객에게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심산고찰이라는 설정은 관객에게 직접 보여줄 수 없다. 따라서 다음의 대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과부 극락이 이렇게 높다면, 난 지옥엘 갈망정 안 갈래유.
관객은 위의 과부의 대사를 통해 <동승>의 공간적 배경이 높은 산 속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속세와 멀리 떨어진 공간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곳은 속세와 완전히 단절된 공간이 아니다. 인수와 동리 어린이들의 등장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동승>의 심산 고찰은 차라리 지옥엘 갈 만큼 속세와 먼 공간인 동시에 어린 아이들이 드나들 수 있을 만큼 속세와 가까운 거리이다. 이 역시 도념의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불교적 세계에서 자라 그 가르침을 받으며 자란 인물이지만 속가 세계의 어머니를 그리워한다. 그리고 이것은 도념이 비탈길을 따라 떠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6.07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