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희곡의 갈등구조
2. 캐릭터의 구축 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2. 캐릭터의 구축 양상
3. 극적 시공간의 특징
본문내용
인 고찰이라는 공간은 도념에게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그는 오히려 그 곳을 벗어나고 싶어 한다. 실제적인 그의 활동 공간인 산문 밖의 공간은 산문 안도, 속세도 아닌 경계적인 위치로서 몸은 고찰에 속해있지만, 마음은 속세에 있는 그의 이중적 상황을 대변하는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동승>의 무대는 어른들이 느끼기에는 폐쇄된 심산고찰이지만 어린이들에게는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는 개방된 공간으로 느껴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 도념 역시 어린 아이임에도 어른들이 느끼는 폐쇄성을 강요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적 배경은 도념의 내적, 외적 갈등과 함께 그의 모순된 상황을 대변해주는 무대적 장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참고문헌>
양승국, 「희곡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7
추천자료
세계경제의 지역주의 동향과 동아시아 지역의 지역주의 모색
기능주의와 갈등론 이론의 특징 비교
김인향전 내용 인물상
[한국사회문제]우리사회 전형적 빈곤층을 염두에 두었을 때 개인의 책임과 구조의 측면과 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갈등과 협력
[일본노사관계, 일본노사관계 특징, 일본노사관계 역사, 일본노사관계 배경, 일본노사관계 재...
[한중일, 한중일지방교류, 한중일외교관계, 경제합작, 유통산업, 소설관, 가면극, 미적 개념]...
신문기사쓰기 - 기사 내용 선정, 기사 정보 수집, 작성, 기획 기사(개요, 구성요소, 유의사항...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 중 두 가지를 골라 각 치료의 특징을 비교.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고부간의 갈등, 가설설정 및 연구결과보고서
[노사관계론 공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발전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