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에서의 역선택 개념과 사례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역선택의 개념

2. 여러 가지 역선택의 예

3. 역선택의 해결책

본문내용

된 이후에 보험에 가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역시 걸러내기의 한 예이다.
입학시험은 학생의 입장에서는 신호보내기이나 학교의 입장에서는 걸러내기이다. 학교는 입학시험이라는 걸러내기 장치를 이용하여 능력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자격증과 면허증도 입학시험과 같이 이를 획득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신호보내기이나 이를 수여하는 기관의 입장에서는 걸러내기로 해석할 수 있다.
걸러내기도 역시 비용이 들고 불량한 계약자를 완전히 가려낼 수 없다는 점에서 역선택의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나 자원배분의 비효율을 해소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은 분명하다.
도덕적 해이에서와 같이 거래가 반복되는 관계에서는 역선택 문제도 상당부분 해소된다. 그 이유는 반복되는 거래를 통하여 상대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학습효과와 거래관계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는 이익동기 때문이다. 중고차거래에서 친구나 친척에게서 중고차를 구입하면 불량차를 비싼 값에 구입할 가능성이 작다. 그것은 친구나 친척의 차를 이미 여러번 타보아서 학습효과에 의하여 그 차의 성능을 잘 알기 때문일 수도 있고, 판매자가 그의 친구나 친척인 구매자에게 차의 성능을 속였을 경우에 나중에 돌아올 불이익을 염려하여 속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경험요율제를 채택하는 자동차보험에서는 계약갱신시 마다 보험가입자의 사고유무를 조사하여 사고가 없거나 적은 가입자에게 다음 기의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혜택을 준다. 그래서 한 보험회사와 오래 보험계약을 유지하는 사람들은 역선택 문제가 상당부분 해소되어 보험회사를 이리저리 옮기는 사람들보다 평균적으로 사고율이 낮다.
음식점이 좋은 음식을 제공하여 명성(reputation)을 쌓으려면 단기적으로는 비용이 많이 들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단골고객을 확보하여 이익을 많이 올릴 수 있다. 맥도널드 햄버거 가게 등 프랜차이즈는 높은 명성을 이용하여 가맹점 수를 늘리고 수익성을 높이는 경영전략이다. 역이나 버스터미널 부근에 있는 음식점의 음식이 흔히 부실한 것은 대부분의 고객들이 반복거래를 하는 단골이 아니라 일과성의 뜨내기여서 명성을 쌓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 음식점은 흔히 음식 맛을 좋게 하기보다 음식점 치장에 더 치중하여 고객을 일단 음식점 안으로 끌어들이는 전략을 사용한다.
역선택 역시 정보의 비대칭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므로 정보의 비대칭 정도를 완화하면 역선택으로 인한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문제도 완화된다. 예를 들면, 기업의 재무상태와 영업성과가 회계정보를 통하여 투명하게 투자자들에게 전달될수록 투자자들은 정보를 얻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고, 우량한 기업들은 자신들의 우량함을 알리기 위한 신호보내기를 적게 해도 되므로 사회전체의 경제적 효율성을 증진시킨다. 뿐만 아니라 투명한 사회에 사는 사람들은 비윤리적인 행위를 하려는 유혹을 적게 받고 유혹을 받더라도 쉽게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정직한 신호를 보내는 기업에게 보상이 돌아가고, 거짓 신호를 보내는 기업을 적절히 응징하는 사회 및 경제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6.0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4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