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기 위한 것과 같다. 소비자들은 많은 텍스트를 보고 자극 받는 것이 아니라 시계라는 저 작은 기호를 봄으로써 촉박함을 느끼게 되고 분양에 서두르지 않으면 없을 것이라는 압박을 느끼며 분양을 하게 된다.
2. 동일한 상품을 각 나라마다 다르게 광고하는 예를 찾아보고, 그 배경을 살펴 봅시다.
(해외 삼성디카) (국내 삼성디카)
이 광고는 삼성 디카 광고이다.
왼쪽 편은 해외에서의 삼성 디카 광고이며 오른쪽은 한국에서 방영되고 있는 삼성 디카의 광고이다. 여기서 가장 차이점이 무엇으로 보이는가 그것은 바로해외 디카에서는 카메라 그 자체의 광고를 내세우고 있지만 오른 쪽 경우 연예인을 내세움으로써 카메라기능을 알리고 있다. 연예인의 등장 또한 문화적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중문화의 대부분을 연예인이 자리하고 그 역할을 담당하다 보니 자연히 크고 작은 기업체들의 인식도 연예인에 한정되어 광고 속에 연예인이 등장 하지 않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다 보니 대중을 상대로광고를 하는 기업들도 오직 연예인을 중심으로 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그래서 광고는 자연히 연예인의 몸짓으로, 연예인이 하기 때문이라는 호기심과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써 광고를 제작한다.
반면 외국의 경우는 카메라의 실용성과 다양함에 강조를 하여 광고의 초점이 카메라에 맞추어져 있다.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일반인이 직접 카메라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써 카메라에 대한호기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 또한 각 나라마다의 정서적 차이와 관심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뚜렷하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것이 음식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새로 나온 돼지고기 햄버거를 광고 하고자 한다면 맛있는 햄버거를 보여주며 사람들이 먹는 장면으로 광고를 제작할 수 있지만 해외 터키의 경우 종교적으로 돼지고기를 먹는 것이 금기 시 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터키에서의 햄버거 광고에는 돼지고기로 만든 햄버거 요리는 볼 수 없다. 이것이 바로 문화적 차이인 것이다.
또 하나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법으로 광고에 총이 나오는 것이 금지 되어 있다.
이런 것들이 다들 각 나라의 실정에 맞는 방법으로 광고 되고 있으며 광고마다 국가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광고의 기호는 주관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기호 사용자가 갖는 주관적 느낌이나 정서는 그가 속해 있는 집단이나 사회 또는 문화에 영향을 받게 된다.
2. 동일한 상품을 각 나라마다 다르게 광고하는 예를 찾아보고, 그 배경을 살펴 봅시다.
(해외 삼성디카) (국내 삼성디카)
이 광고는 삼성 디카 광고이다.
왼쪽 편은 해외에서의 삼성 디카 광고이며 오른쪽은 한국에서 방영되고 있는 삼성 디카의 광고이다. 여기서 가장 차이점이 무엇으로 보이는가 그것은 바로해외 디카에서는 카메라 그 자체의 광고를 내세우고 있지만 오른 쪽 경우 연예인을 내세움으로써 카메라기능을 알리고 있다. 연예인의 등장 또한 문화적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중문화의 대부분을 연예인이 자리하고 그 역할을 담당하다 보니 자연히 크고 작은 기업체들의 인식도 연예인에 한정되어 광고 속에 연예인이 등장 하지 않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다 보니 대중을 상대로광고를 하는 기업들도 오직 연예인을 중심으로 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그래서 광고는 자연히 연예인의 몸짓으로, 연예인이 하기 때문이라는 호기심과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써 광고를 제작한다.
반면 외국의 경우는 카메라의 실용성과 다양함에 강조를 하여 광고의 초점이 카메라에 맞추어져 있다.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일반인이 직접 카메라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써 카메라에 대한호기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 또한 각 나라마다의 정서적 차이와 관심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뚜렷하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것이 음식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새로 나온 돼지고기 햄버거를 광고 하고자 한다면 맛있는 햄버거를 보여주며 사람들이 먹는 장면으로 광고를 제작할 수 있지만 해외 터키의 경우 종교적으로 돼지고기를 먹는 것이 금기 시 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터키에서의 햄버거 광고에는 돼지고기로 만든 햄버거 요리는 볼 수 없다. 이것이 바로 문화적 차이인 것이다.
또 하나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법으로 광고에 총이 나오는 것이 금지 되어 있다.
이런 것들이 다들 각 나라의 실정에 맞는 방법으로 광고 되고 있으며 광고마다 국가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광고의 기호는 주관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기호 사용자가 갖는 주관적 느낌이나 정서는 그가 속해 있는 집단이나 사회 또는 문화에 영향을 받게 된다.
추천자료
좋은광고의 나쁜광고의 선정 및 비교분석
신세대 대상 이동통신 TV광고언어의 특징과 비교연구
스포츠스타 광고모델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경영)패스트푸드 시장 분석 및 광고 비교
[인터넷광고][전통적 광고]인터넷광고와 전통적광고의 비교를 통한 인터넷광고의 장점, 인터...
[PPL]간접광고(제품배치, PPL)의 개념, 간접광고(제품배치, PPL)의 현황과 문제점, 다양한 간...
광고유형에 따른 제품관여도에 관한 연구
삼성 하우젠의 버블과 LG 트롬세탁기 광고전략 비교
양면적 광고, 비교 광고, 유머소구, 공포소구,TV, 라디오, 신문 등 대중매체.광고마케팅,브랜...
광고태도(광고에 대한 태도)의 특성, 역할, 광고태도(광고에 대한 태도)의 구축, 변화과정, ...
[신체][인체][인터넷][포스트모더니즘][직업신체조건]신체(인체)와 신체(인체)의미, 신체(인...
인지광고와 감성광고 비교 분석 사례
협찬고지, 간접광고, 복수 미디어렙의 법제 현황 이에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광고학] 광고매체로서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의 특성을 비교하시오 - 광고미디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