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Taylor와 Roberts의 지역사회복지모델
II. Weil과 Gamble의 지역사회복지모델
II. Weil과 Gamble의 지역사회복지모델
본문내용
배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모델의 목적은 변화하는 정책 또는 정책 수립자 또는 저소득 집단을 불리하게 만드는 기업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사회정의를 바탕으로 민주주의를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Rubin과 Rubin은 "사회행동은 문제를 보고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들을 목표로 선택하고, 쟁점을 부각시키고, 강제적 행동을 취하며, 약속한 변화를 확실히 실행에 옮기고자 노력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기본적으로 지역주민은 참여를 통하여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접함으로써 조직 구성과 지도력을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고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
연합(coalitions)모델은 "자신들의 자치권은 유지하면서 자신들의 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쟁점에 대해 외부 제도를 실행시키기 위한 세력을 결집시키는 다양한 조직 대표자들의 집단"을 말한다. 즉 분리되어 있는 집단 및 조직을 집합적 사회변화에 동참시키는 것으로 조직 간의 공통의 이익을 위하여 자원 동원의 가능성과 효과적 활용을 통하여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연합은 참여하는 기관들의 구체적 문제(issue)에 따라 지지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공통의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운동(social movements)모델은 직업으로서의 활동을 넘어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한 모델이다. 사회정의의 실천을 목표로 사회변화에 참여하는 사회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한 사회변화를 위하여 주민의 의식변화와 사회제도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으로서 사회운동이 지속됨에 따라 대중적, 매체적, 그리고 정치적 시스템을 가지게 된다. 또한 사회운동의 성공 여부에 따라 합법화된 정치적 사회적 규범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들의 여덟 가지 모델은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사회경제적 개발, 조직화라는 측면에서 근린지역사회조직, 기능적 지역사회조직, 계획이라는 측면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연계, 사회계획, 그리고 관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정치사회행동, 연합, 그리고 사회운동으로 구분된다. 물론 관점이나 접근방식에 따라 구분되었지만 개별적으로 적용되기보다는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Weil과 Gamble의 모델은 최근의 사회환경적 변화를 최대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는 신 사회운동을 지역사회복지의 한 영역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다원화된 문화적 경향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이 부각된다.
연합(coalitions)모델은 "자신들의 자치권은 유지하면서 자신들의 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쟁점에 대해 외부 제도를 실행시키기 위한 세력을 결집시키는 다양한 조직 대표자들의 집단"을 말한다. 즉 분리되어 있는 집단 및 조직을 집합적 사회변화에 동참시키는 것으로 조직 간의 공통의 이익을 위하여 자원 동원의 가능성과 효과적 활용을 통하여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연합은 참여하는 기관들의 구체적 문제(issue)에 따라 지지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공통의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운동(social movements)모델은 직업으로서의 활동을 넘어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한 모델이다. 사회정의의 실천을 목표로 사회변화에 참여하는 사회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한 사회변화를 위하여 주민의 의식변화와 사회제도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으로서 사회운동이 지속됨에 따라 대중적, 매체적, 그리고 정치적 시스템을 가지게 된다. 또한 사회운동의 성공 여부에 따라 합법화된 정치적 사회적 규범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들의 여덟 가지 모델은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사회경제적 개발, 조직화라는 측면에서 근린지역사회조직, 기능적 지역사회조직, 계획이라는 측면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연계, 사회계획, 그리고 관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정치사회행동, 연합, 그리고 사회운동으로 구분된다. 물론 관점이나 접근방식에 따라 구분되었지만 개별적으로 적용되기보다는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Weil과 Gamble의 모델은 최근의 사회환경적 변화를 최대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는 신 사회운동을 지역사회복지의 한 영역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다원화된 문화적 경향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이 부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인 문제
재가 노인복지 서비스에 관한 고찰
한국 영화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
성공적인인터넷비즈니스전략
여성복지의 종류 여성정책 과제의 기본방향 및 향후 과제
집단의사결정에 대한 연구와 사례
[경찰제][국가경찰제][자치경찰제]경찰제의 유형 분석을 통한 국가경찰제와 자치경찰제 비교 ...
환경행정의 구조와 기능
(자원봉사론E형)우리나라 노인들의 자원봉사실태를 분석해 보고 그 문제점과 대처방안을 모색
자치 경찰제의 유형분석을 통한 국가 경찰제와 자치경찰제 비교및향후 추진과제 분석
우리나라 민간복지 부문의 기능과 구조 개선방안
2014년 2학기 물류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e-SCM과 APS의 통합)
2018년 2학기 교직실무 중간시험과제물 B형(교원의 연수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