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로봇(robot)’이란 무엇인가?
① 이름의 배경
② 로봇의 발달과정
③ 로봇의 종류
2. 인간의 감정과 로봇의 감정
① 인간의 감정과 정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② 로봇의 감정과 정서는 어떻게 구현될까?
3. <A.I.>에 나타난 로봇의 감정에 대한 탐구
①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로봇의 정서
② 인간과 로봇의 경계선
4. <A.I.>와 우리의 미래 모습에서 나타날 로봇과 인간의 감정
① 이름의 배경
② 로봇의 발달과정
③ 로봇의 종류
2. 인간의 감정과 로봇의 감정
① 인간의 감정과 정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② 로봇의 감정과 정서는 어떻게 구현될까?
3. <A.I.>에 나타난 로봇의 감정에 대한 탐구
①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로봇의 정서
② 인간과 로봇의 경계선
4. <A.I.>와 우리의 미래 모습에서 나타날 로봇과 인간의 감정
본문내용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사람이 원하는 것은 전자일 것이다. 21세기 후반에도 ‘로봇공학의 3대 법칙’ 아이작 아시모프, 「Runaround」, 1942년
은 여전히 유효할 것이라고 의심하지 않 고 이를 믿는 것이다. 이 두 가지를 엮어 새로이 얻을 수 있는 해답은 서로 돕고 사는 공 생 관계가 있다. 14)의 저자, 14)의 책, 207쪽
그러나 이 공생관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로봇에 대한 인식과 감정이 누그러져야 할 것이다. 즉 인간과 로봇의 뚜렷한 경계선이 적어도 희미해져야 가 능할지도 모른다.
4.와 우리의 미래 모습에서 나타날 로봇과 인간의 감정
흔히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들 때, ‘인간은 이성을 가졌고 감정을 지녔으며 사랑을 할 수 있는 존재’라고 말한다. 그리고에서 이 모든 인간의 조건을 갖춘 데이빗은 자기 힘으로는 단 한 가지를 할 수 없었는데 그것이 바로 ‘죽음’이다. ‘죽음’이야말로 사람이 사람과 로봇을 나눌 때 쓰는 결정적인 증거인데, 이 또한 현실적으로는 아니지만 에서는 더 고차원적인 로봇에 의해 깨졌다. 즉 로봇과 인간을 나눌 현실적인 근거가 없다는 말이다. 영화에서의 로봇은 사람에 의해 심어진 인간의 고차원적인 감정을 갖는다. 게다가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을 하고 자신을 찾고 만들어가는 데이빗의 모습에서 미래의 로봇이 얼핏 보인다. 미래의 인간은 늘 생각하던 대로 생각하고 감정을 갖고 사랑을 하고 죽을 것이고 로봇 또한 로봇 나름대로 생각하고 사랑을 할 것이다. 현재는 단순히 생리적 흐름을 관찰하여 얼굴 표정을 나타내는 기술에 그치고 있지만, 머지않은 미래에는 이런 모습을 관찰 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때의 인간이 과연 로봇에 대해 어떤 감정을 가질지는 모르겠으나 그것은 현재의 우리가 쌓아올려야 할 과제인 듯싶다. 다만 확실한 것은 인간의 감정은 더 이상 인간만의 소유물이 아닐 것이라는 거다.
<참고문헌>
단행본
게이비 우드, 김정주 옮김, 『인공 생명의 창조, 그 욕망에 관한 이야기』, 이제이북스, 2004년, 전쪽
로버트 말론, 오준호 옮김, 『헬로우, 로봇』, 을파소, 2005년, 152, 172, 182쪽
배일한, 『인터넷 다음은 로봇이다』, 동아시아, 2003년, 21쪽
이인식, 『나는 멋진 로봇 친구가 좋다』, 랜덤하우스중앙, 2005년, 47~51, 87, 201~204, 207쪽
이재연 외 4명, 『훤히 보이는 지능형 로봇』, 전자신문사, 2008년, 30쪽
잭 챌러너, 이상헌 옮김, 『똘망똘망 인공지능』, 김영사, 2000년, 196쪽
인용어구
아이작 아시모프, 「Runaround」, 1942년
W. James, 1884년
R. Lazarus, 1991년
인터넷
정서 [情緖, emotion],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36265, 2010년 12월 18일
키스멧 표정 로봇, 미국 MIT, http://cafe.naver.com/sorobo.cafe, 2010년 12월 18일
은 여전히 유효할 것이라고 의심하지 않 고 이를 믿는 것이다. 이 두 가지를 엮어 새로이 얻을 수 있는 해답은 서로 돕고 사는 공 생 관계가 있다. 14)의 저자, 14)의 책, 207쪽
그러나 이 공생관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로봇에 대한 인식과 감정이 누그러져야 할 것이다. 즉 인간과 로봇의 뚜렷한 경계선이 적어도 희미해져야 가 능할지도 모른다.
4.
흔히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들 때, ‘인간은 이성을 가졌고 감정을 지녔으며 사랑을 할 수 있는 존재’라고 말한다. 그리고
<참고문헌>
단행본
게이비 우드, 김정주 옮김, 『인공 생명의 창조, 그 욕망에 관한 이야기』, 이제이북스, 2004년, 전쪽
로버트 말론, 오준호 옮김, 『헬로우, 로봇』, 을파소, 2005년, 152, 172, 182쪽
배일한, 『인터넷 다음은 로봇이다』, 동아시아, 2003년, 21쪽
이인식, 『나는 멋진 로봇 친구가 좋다』, 랜덤하우스중앙, 2005년, 47~51, 87, 201~204, 207쪽
이재연 외 4명, 『훤히 보이는 지능형 로봇』, 전자신문사, 2008년, 30쪽
잭 챌러너, 이상헌 옮김, 『똘망똘망 인공지능』, 김영사, 2000년, 196쪽
인용어구
아이작 아시모프, 「Runaround」, 1942년
W. James, 1884년
R. Lazarus, 1991년
인터넷
정서 [情緖, emotion],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36265, 2010년 12월 18일
키스멧 표정 로봇, 미국 MIT, http://cafe.naver.com/sorobo.cafe, 2010년 12월 18일
키워드
추천자료
[감상문]나목-박완서 작
꽁뜨의 사회학
건축의 관계성
인간의성격유형과이해
만 3세, 4세,5세 운영계획안
아이의사생활 감상문
[아동발달/4학년 B형]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관찰일지 (만3세) {기본생활습관, 신체운동·건강, 자연탐구, 예술경험, 사회관계, 의사소통}
2015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현대문학사] 1930년~1945년대 전반의 시대적 배경과 시
[프로이드의 성격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생애 인간의 정신세계 성격의 구조 성격발달단계 프로...
[왓슨의 고전적 조건형성] 왓슨의 행동주의이론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