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인간관계론에 대한 필요성
※ 인간관계론의 정의와 중요성
※ 인간관계의 개념과 목표
※ 인간관계론의 개념
※ 인간관계론의 정의와 중요성
※ 인간관계의 개념과 목표
※ 인간관계론의 개념
본문내용
러한 협의의 인간관계론을 논자에 따라 신고전적 모델로 초기 인간관계론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이유는 이 이론에서 수용한 인간가설이 아지리스(C. Argyris), 맥그리거(D. McGregor)등 의 ‘자주적 인간’이라는 연구의 토대라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또한 인간관계론이 관료제 조직론에서 근대적 조직론에 이르는 과도기적 혹은 매개적 역할로 나타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관계론을 「신고전적 관리론」혹은 「신고전적 조직론」이라고도 한다.
인간관계론은 베버(M. Weber)의 관료제론과 테일러(F.W. Taylor)의 과학적 관리론에서 인간에 대한 가설이 ‘기능인’ 혹은 ‘경제인’의 가설이 비현실적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새로운 조직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제시했다.
기능인의 가설에 의하면 조직에 있어서 인간은 그 기능적 측면만 중시하므로 직무에 요구되는 능력자질을 구비한 인간을 적절히 배치하고, 관리자가 적절한 지휘, 명령을 하면 조직구성원은 기대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예정된 조직관 혹은 단순한 인과론이라 볼 수 있다.
또 경제인으로서 인간을 이해하는 것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에서 전형적으로 찾아 볼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임금노동시간 등의 작업조건 및 작업방법의 개선을 능률의 향상과 관련시킨 가설이다. 이것은 원인과 인간의 관계를 1차적으로 다룬 것이다.
그러나 호손공장 실험은 이와 같은 1차원적 인과관계의 비현실성을 실증했다. 그러므로 인간행동에 대해서는 원인과 결과간에는 인간의 특질에 기초를 둔 많은 매개변수가 존재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인간관계론은 베버(M. Weber)의 관료제론과 테일러(F.W. Taylor)의 과학적 관리론에서 인간에 대한 가설이 ‘기능인’ 혹은 ‘경제인’의 가설이 비현실적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새로운 조직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제시했다.
기능인의 가설에 의하면 조직에 있어서 인간은 그 기능적 측면만 중시하므로 직무에 요구되는 능력자질을 구비한 인간을 적절히 배치하고, 관리자가 적절한 지휘, 명령을 하면 조직구성원은 기대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예정된 조직관 혹은 단순한 인과론이라 볼 수 있다.
또 경제인으로서 인간을 이해하는 것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에서 전형적으로 찾아 볼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임금노동시간 등의 작업조건 및 작업방법의 개선을 능률의 향상과 관련시킨 가설이다. 이것은 원인과 인간의 관계를 1차적으로 다룬 것이다.
그러나 호손공장 실험은 이와 같은 1차원적 인과관계의 비현실성을 실증했다. 그러므로 인간행동에 대해서는 원인과 결과간에는 인간의 특질에 기초를 둔 많은 매개변수가 존재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