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차 례 >
Ⅰ. 서론
Ⅱ. 본론
1. 병원의 일반간호사의 업무
2. 간호의 분류
1) 병원간호
2) 가정간호
3) 지역사회간호
3. 전문 간호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병원의 일반간호사의 업무
2. 간호의 분류
1) 병원간호
2) 가정간호
3) 지역사회간호
3. 전문 간호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특히 임상의 분야는 응급실, 중환자실, 또는 내과 등 주요 과에 임상경력을 우선시함. 또한 병원에서 일반간호사로 근무하면서 보험심사간호사사 되고자 하면, 보험심사간호사회에서 실시하는 연 7주간의 보수교육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함.
(4) 일차보건의료 : 지역사회 내에서 각 개인이나 가족이 보편적으로 접근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진 필수 보건의료서비스로서 광범위하며 지역사회의 모든 부문과 보건요구를 포괄하고 있음.
- 보건진료원 : 농특법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의료행위를 하기 위하여 제15조에 의한 보건진료소에 근무하는 자로써 보건진료원의 자격은 간호사 또는 조산사 면허증 소지자나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격을 가진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24주 이상의 직무교육을 받아야 함.
(5) 학교보건 : 학동의 건강을 보호, 유지, 증진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체계로서, 구체적으로는 계속적인 환경관리, 예방활동, 영양사업, 보건정보관리, 보건교육, 조언, 건강검사, 건강진단, 적절한 치료, 의뢰, 재활, 학교보건사업행정, 학교의 자원과 다른 활동과의 적극적인 협조 그리고 더 나아가서 학교보건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보건 등으로 매우 광범위한 사업.
- 보건교사 : 교사의 지위가 부여된 유일한 학교보건 전문 인력.
(6) 교육연구분야 : 간호사의 양과 질이 동시에 요구되는 시저에서 간호학교에서 학생을 교수하고 지도하는 교수 및 간호교육 행정 책임자.
- 기본간호학 이외에 각자 전공으로 하는 수련과 연구가 있어야 하며, 사회적으로나 직업적, 인격적인 면에서 사표가 될 만한 자질과 노력이 있어야 함. 대학원의 석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상당한 기간을 교육기관에서 쌓은 후에야 전임강사로부터 시작되는 교수진으로 등용하게 됨.
3. 전문간호사 (nurse specialist, advanced practice nurse)
1) 정의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인증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내에서 간호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에게 상급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제공하는 사람.
2) 종류
가정전문간호사 : 가정 방문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간호하는 간호사.
감염관리전문간호사 : 병원 내 감염들을 효과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하는 간호사.
보건전문간호사 : 보건소 등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보건 교육 및 질병 예방 등의 활동을 하는 간호사.
마취전문간호사 : 마취업무, 삽관과 발관, 수술 중 지속적인 환자 관리, 회복실 환자관리, 마취관련 약제관리, 마취기록의 업무를 전담하는 간호사.
노인전문간호사 : 주로 노인들을 전문적으로 하여 병세호전, 건강관리, 교육 등을 담당하는 간호사.
산업전문간호사 : 기업체, 단체 등에서 상주하며 예방교육, 간호 등의 업무를 하는 간호사.
응급전문간호사 : 응급상황, 예상치 못한 상황 등에 처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증세의 악화를 막고 통증의 경감, 심리적 안정을 도와주며 인명구조 활동을 함께 하는 간호사.
정신전문간호사 : 특수한 기술과 지식, 전문교육 후 주로 정신과, 정신병동 등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환자전문간호사 :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기에 높인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며 환자의 생리적인 상태를 감시하고, 작지만 중요한 생리적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각종 의료장비를 동원하여 적극적인 중재를 직접 제공하는 일을 하는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간호사 : 불치병 환자가 눈을 감는 날까지 고통 없이 편안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사.
암전문간호사 : 암 환자의 총체적인 관리 및 교육, 고통경감 등의 역할을 하는 간호사.
아동전문간호사 : 유아, 아동, 청소년층까지 다양한 층에서 치료에 대한 거부감 등을 없앨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건강을 위해 각 종 교육, 관리를 책임지는 간호사.
임상전문간호사 : 특정 한분야가 아니라 임상에서의 모든 간호활동을 하는 간호사.
3) 전문간호사가 되기 위한 조건
(1) 응시자격
전문간호사과정 수료(졸업)생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기관에서 해당 전문간호사 교육 과정 2년 이상 이수한 자. 교육과정에 입학하려면 교육받기 전 10년 이내에 지정된 분야 기관에서 3년 이상 간호사 실무경력이 있어야 함.
외국전문간호사 자격 소지자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해당 분야 전문간호사 자격이 있는 자.
특례대상자
(2) 합격자 결정 : 합격자 결정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실기시험에서 각각 총점의 60퍼센트 이상을 득점한 자로 한다.
※ 병원 내에서 전담간호팀을 구성하여 전담간호사가 배치되어 있다.
예) 서울대학교병원 : 간호본부 - 간호행정팀
- 소아간호과
- 내과간호과
- 외과간호과
- 특수간호과
- 수술간호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가정간호센터 - 가정간호팀
Ⅲ. 결론
우리는 간호학 1-2-1 신나요 package part1에서 evening duty 중 환자의 신경질적인 질문을 받고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서 당신에게 고민을 털어놓는 이수정 간호사를 만났다. 당신은 이수정 간호사와 얘기를 나눠본 결과 이수정 간호사가 직업의식이 낮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우리는 직업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간호사의 분야와 업무, 전문 간호사에 대해 알아보고 이수정 간호사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다.
Ⅳ. 참고문헌
임영희 외 4명, 2009 간호관리학, 수문사
네이버 지식 인,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7&dirId=710&docId=157408665&qb=7KCE66y46rCE7Zi47IKs&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54UDc5Y7vosstotZaCssc--064312&sid=UJIXlA0RklAAABoBBqs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01281&mobile&categoryId=2898
한국간호평가원, http://kabon.or.kr/kabon04/index05.php
(4) 일차보건의료 : 지역사회 내에서 각 개인이나 가족이 보편적으로 접근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진 필수 보건의료서비스로서 광범위하며 지역사회의 모든 부문과 보건요구를 포괄하고 있음.
- 보건진료원 : 농특법 제19조의 규정에 의한 의료행위를 하기 위하여 제15조에 의한 보건진료소에 근무하는 자로써 보건진료원의 자격은 간호사 또는 조산사 면허증 소지자나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격을 가진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24주 이상의 직무교육을 받아야 함.
(5) 학교보건 : 학동의 건강을 보호, 유지, 증진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체계로서, 구체적으로는 계속적인 환경관리, 예방활동, 영양사업, 보건정보관리, 보건교육, 조언, 건강검사, 건강진단, 적절한 치료, 의뢰, 재활, 학교보건사업행정, 학교의 자원과 다른 활동과의 적극적인 협조 그리고 더 나아가서 학교보건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보건 등으로 매우 광범위한 사업.
- 보건교사 : 교사의 지위가 부여된 유일한 학교보건 전문 인력.
(6) 교육연구분야 : 간호사의 양과 질이 동시에 요구되는 시저에서 간호학교에서 학생을 교수하고 지도하는 교수 및 간호교육 행정 책임자.
- 기본간호학 이외에 각자 전공으로 하는 수련과 연구가 있어야 하며, 사회적으로나 직업적, 인격적인 면에서 사표가 될 만한 자질과 노력이 있어야 함. 대학원의 석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상당한 기간을 교육기관에서 쌓은 후에야 전임강사로부터 시작되는 교수진으로 등용하게 됨.
3. 전문간호사 (nurse specialist, advanced practice nurse)
1) 정의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인증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내에서 간호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에게 상급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제공하는 사람.
2) 종류
가정전문간호사 : 가정 방문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간호하는 간호사.
감염관리전문간호사 : 병원 내 감염들을 효과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하는 간호사.
보건전문간호사 : 보건소 등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보건 교육 및 질병 예방 등의 활동을 하는 간호사.
마취전문간호사 : 마취업무, 삽관과 발관, 수술 중 지속적인 환자 관리, 회복실 환자관리, 마취관련 약제관리, 마취기록의 업무를 전담하는 간호사.
노인전문간호사 : 주로 노인들을 전문적으로 하여 병세호전, 건강관리, 교육 등을 담당하는 간호사.
산업전문간호사 : 기업체, 단체 등에서 상주하며 예방교육, 간호 등의 업무를 하는 간호사.
응급전문간호사 : 응급상황, 예상치 못한 상황 등에 처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증세의 악화를 막고 통증의 경감, 심리적 안정을 도와주며 인명구조 활동을 함께 하는 간호사.
정신전문간호사 : 특수한 기술과 지식, 전문교육 후 주로 정신과, 정신병동 등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환자전문간호사 :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기에 높인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며 환자의 생리적인 상태를 감시하고, 작지만 중요한 생리적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각종 의료장비를 동원하여 적극적인 중재를 직접 제공하는 일을 하는 간호사.
호스피스전문간호사 : 불치병 환자가 눈을 감는 날까지 고통 없이 편안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사.
암전문간호사 : 암 환자의 총체적인 관리 및 교육, 고통경감 등의 역할을 하는 간호사.
아동전문간호사 : 유아, 아동, 청소년층까지 다양한 층에서 치료에 대한 거부감 등을 없앨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건강을 위해 각 종 교육, 관리를 책임지는 간호사.
임상전문간호사 : 특정 한분야가 아니라 임상에서의 모든 간호활동을 하는 간호사.
3) 전문간호사가 되기 위한 조건
(1) 응시자격
전문간호사과정 수료(졸업)생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기관에서 해당 전문간호사 교육 과정 2년 이상 이수한 자. 교육과정에 입학하려면 교육받기 전 10년 이내에 지정된 분야 기관에서 3년 이상 간호사 실무경력이 있어야 함.
외국전문간호사 자격 소지자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해당 분야 전문간호사 자격이 있는 자.
특례대상자
(2) 합격자 결정 : 합격자 결정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실기시험에서 각각 총점의 60퍼센트 이상을 득점한 자로 한다.
※ 병원 내에서 전담간호팀을 구성하여 전담간호사가 배치되어 있다.
예) 서울대학교병원 : 간호본부 - 간호행정팀
- 소아간호과
- 내과간호과
- 외과간호과
- 특수간호과
- 수술간호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가정간호센터 - 가정간호팀
Ⅲ. 결론
우리는 간호학 1-2-1 신나요 package part1에서 evening duty 중 환자의 신경질적인 질문을 받고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서 당신에게 고민을 털어놓는 이수정 간호사를 만났다. 당신은 이수정 간호사와 얘기를 나눠본 결과 이수정 간호사가 직업의식이 낮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우리는 직업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간호사의 분야와 업무, 전문 간호사에 대해 알아보고 이수정 간호사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다.
Ⅳ. 참고문헌
임영희 외 4명, 2009 간호관리학, 수문사
네이버 지식 인,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7&dirId=710&docId=157408665&qb=7KCE66y46rCE7Zi47IKs&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54UDc5Y7vosstotZaCssc--064312&sid=UJIXlA0RklAAABoBBqs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01281&mobile&categoryId=2898
한국간호평가원, http://kabon.or.kr/kabon04/index05.ph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