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국어의 어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5장 국어의 어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5장 국어의 어휘

1. 어휘와 어휘능력
1.1. 어휘 능력
1.2. 어휘

2. 국어 어휘의 양상
2.1. 방언
2.2. 은어
2.3. 대우 표현어
2.4. 속어
2.5. 완곡어와 금기어
2.6. 관용어
2.7. 속담
2.8. 고사성어
2.9. 전문어
2.10. 집단어

3. 어휘의 신생과 소멸
3.1. 신어
3.2. 사어 - 어휘의 소멸

4. 국어 어휘의 체계
4.1. 어휘 분류와 어휘체계
4.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4.3.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5. 어휘의 가치

본문내용

알(찬)로(후를생각하는)모(임) - 축약
○ 세불리기, 흠집내기, 가다서기, 터파기, 깜빡이, 도우미, 알리미, 눈높이, 표몰이, 헛스윙 - 파생
○ 아베크족, 나홀로족, 폭주족, 오렌지족, 채팅족 - 파생
○ 노래방, 대화방, 멀티방 - 파생
○ 공주병, 왕자병, 백마병 - 파생
○ 가격파괴, 서열파괴, 직종파괴 - 대치
○ 외인부대, 오빠부대, 아저씨부대 - 대치
○ 문지기, 마당지기, 환경지기 - 파생
▣ 탐구 - 신어의 유형
♣ 다음 1~4의 단어들은 모두 해방 이후에 생긴 새말들이다. 각각의 형별로 특징을 조사해 밝혀보자.
○ 쌕쌕이, 뚝딱선, 통통배, 오빠, 차려, 쉬어, 대한민국, 한국, 3.8선, 이남, 이북, 남한, 북한, 1.4후퇴, 4.19혁명, 새마을운동 : 이 단어들은 이제까지 없던 물건이나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서 새로운 단어 형을 창조해낸 경우이다.
○ 한글, 어린이날, 도시락, 단팥죽, 덮밥, 건널목, 덧셈, 뺄셈, 모눈종이, 지름, 반지름, 흰피톨, 붉은피톨, 넘보라살, 갓길, 제곱, 세제곱 : 이 단어들은 기존에 존재하는 단어들을 합성해서 만들어낸 신어들이다.
○ ㄱ : 유엔, 프락치, 엠원소총, 카빈소총, 바주카포, 에프86, 미그15, 쏘련, 로스케, 콜레 라, 게릴라, 텔레비전, 라디오,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ㄴ : 민주주의, 공산주의, 자본주의, 냉장고, 원자탄, 유도탄, 대륙간탄도탄, 비행기, 철 도, 기선, 마력, 밀월, 입력, 출력, 전자계산기
- 주로 외래어를 차용하여 신어로 만들었다.
○ ㄱ : 통조림, 불고기, 꼬치안주, 통조림, 가락국수, 손톱깎기, 소매치기, 꼬치, 병따개, 낱 말, 홀소리, 닿소리
ㄴ : 과도정부, 임시정부, 국민대회, 통행금지, 신탁통치, 수도경찰청, 참모총장, 민주진 영, 공산진영, 남북통일, 전시연합대학, 휴전회담, 중립국 감시위원단
- 기존의 단어를 합성하거나 생략해서 신어를 만들었다.
♣ 다음은 의미가 예전과 달라진 단어들이다. 의미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조사해 보고, 이 단어들이 새말이라고 할 수 있겠는지 자신의 견해를 세워보자.
○ 아저씨, 아주머니, 영감, 귀찮다, 점잖다, 선생님, 방송, 도서, 발명, 발표, 산업, 사회, 생산, 식품, 新人, 실내, 자연, 중심, 창업
아저씨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자를 일컫는 말/ 혈연관계가 없는 남자 어른을 친근하게 일컫는 말
아주머니 : 부모와 같은 항렬의 부인, 아저씨의 아내/ 어른인 여자를 친근하게 일컫는 말
영감 : 종이품과 정삼품의 벼슬아치를 높여 그 관직명에 붙여서 부르던 말/ 나이 든 남편을 이르는 말, 지체 있는 사람이나 나이가 많은 사람을 대접해서 일컫는 말
귀찮다 : 귀치 아니하다의 준말로 현재에는 ‘번거롭고 성가시다’는 의미
점잖다 : 몸가짐이 묵중하고 됨됨이가 품위있으며 의젓하다
선생님 : 선생을 높여서 부르는 말/ 현재에는 일반인을 높여서 부를 때 붙인다
방송 : 죄인을 풀어주다/ 보도나 음악, 연극, 스포츠 따위를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전파에 실어서 보냄
이들은 예전과는 다른 의미로 쓰이는 단어들이다. 나는 의미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이들 또한 신어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과 다른 의미로 쓰인다는 것은 그 자체가 다른 단어로 변화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이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필요한 단어가 달라졌고 여기에 부응하기 위해서 의미가 변화한 것이므로 신어의 성격을 띤다.
♣ 다음과 같은 단어들의 성격과 특징을 조사해보라. 이러한 성격의 단어들이 국어의 전체 어휘부에 미치는 작용은 어떠하겠는가? 또 개인의 어휘량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겠는가?
○ 명예퇴직(명퇴), 황당한 퇴직(황태), 실업기금, 구제금융, 빅딜정책, 구조조정, 정리해고, 퇴출
○ 네티즌, 벤처산업, 소호족, 온라인 비즈니스, 할인매장, 가격파괴
○ 엘니뇨현상, 라니냐현상, 배타적 경제수역, 영해기선
첫 번째 단어들은 축약을 통해 만들어진 신어들이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단어들은 외국어 혹은 외래어를 이용한 신어들이다. 축약으로 형성된 신어들은 요즈음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것은 국어 어휘 형성의 한 방법으로 어휘부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외국어나 외래어를 이용한 신어의 경우, 국어 어휘 순화와 연관된다. 우리는 고유어를 최대한 살려서 쓸 필요가 있고 국어 순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신어들 중 상당수가 외국어, 외래어를 이용함으로써 국어 순화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3.2. 사어 - 어휘의 소멸
요약
어휘는 새로 생겨나기도 하지만 소멸되기도 한다. 이렇게 사라진 단어들을 사어라고 한다. 국어의 경우 한자의 유입으로 인하여 많은 고유어들이 사어가 되면서 사라져갔다. 역사적으로 볼 때 국어의 경우는 세 가지 방향으로 사어화가 진행되었다. 첫째는 고유어 자체 내에서의 변천이다. 둘째는 한자어의 유입으로 인하여 이루어진 어휘 체계상의 변화로 말미암아 고유어 쪽이 사어화된 경우이다. 셋째는 근대로 들어와 사회 문화적인 변화 과정에서 일어난 한자어의 사어화이다.
▣ 탐구 - 사어
♣ 다음은 사어들의 예이다. 이 자료들을 살펴보고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 이 단어들의 의미를 고어사전을 이용하여 확인해보자. 실려있는 것은 무엇이고, 실려있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그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이 단어들의 가치는 각각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사어는 우리의 어휘 자산이라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 사어는 섬세한 표현력과 정확한 개념의 전달과 확립의 필요성에 의해 되살려 쓸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잠재적 어휘군이라는 점에서 어휘의 정리와 교육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 사전을 만들 때 이 단어들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겠는가? 사전의 규모나 용도를 감안하여 대책을 생각해 보자.
규모가 작고 실용적인 사전을 만든다면 사어를 제외하는 편이 낫다. 사어는 다른 단어에 비해서 현재 실제로 쓰이고 있는 단어들이 아니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지고, 사어까지 포함해서 사전을 만든다면 양이 방대해진다. 사어를 보존해야 하지만 이를 위한 사전은 종합적이고 두꺼워야 할 것이다.
굿것, 맛비, 샤옹, 가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2.06.09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