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경영혁신-전략적 조직과 일상적 조직을 사례조사후 기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재능으로 부를 창출하기
* 전략으로서의 조직
* 마인드 결집
* 가치 있는 목표

본문내용

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일부 대기업에서는 이미 초기 개발 단계에 있기도 한 이 인재 시장을 통해 관리자들은 최고의 능력을 지닌 직원을 ‘끌어올(pull)’ 수도 있고 동시에 인재들이 자신의 스킬과 개발 니즈에 맞는 업무를 찾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도 있게 된다. 회사에서는 표준화한 역할 정의, 후보자의 자격 요건 검증, 역할이나 업무별 보상 기준 수립 등의 단계를 거쳐 인재 시장의 정의를 명시해야 한다. 이렇게 했을 때 재능 있는 직원들과 그들을 찾는 관리자들을 좀 더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게 된다. 전문가와 관리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재무적 성과지표를 수정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거의 모든 회사들이 무형자산을 통해 더 높은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보다 회계적 이익이나 자본 수익률에 훨씬 더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상호 책임감보다 개인적인 책임감을 과도하게 강조하여 측정함으로써 역효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문에서 논의했던 일부 아이디어는 그 파급 효과가 상당히 광범위하다. 부를 창출하는 행동을 독려하고 동기 부여를 하기 위해 기업 내부의 재무성과지표와 직원평가제도를 근본적으로 재설계해야 할 필요도 있다.
* 가치 있는 목표
이러한 포괄적인 조직 설계는 기업 리더들의 엄청난 에너지 투자와 집중을 요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오늘날의 글로벌 업무 환경의 펀더멘탈과 더욱 긴밀하게 연계된 더 나은 조직을 만들기에 이보다 더 좋은 기회는 없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대기업의 경우 직원당 수익률과 수익 창출의 원동력인 직원의 수가 공히 상승한다는 것은 곧 시장 가치가 수백억달러 상승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투자는 비용과 리스크의 관점에서 볼 때 최대의 노무 수익률이나 자본 수익률을 창출하게 될 것이다. 보통 회사는 직원들의 노동 집약적 업무 방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막대한 금액을 투자한다. 그리고 신제품 설계와 같은 활동에도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수준의 투자를 이제는 사고 집약적 업무 방식의 재설계에 적용해야 할 때라고 확신한다. 엄청난 난관에 부딪힐 수도 있지만 수익성과 조직의 우수성 면에서 얻게 되는 성과는 그보다 훨씬 엄청나다. 21세기의 실질적인 부는 바로 이러한 전략적 조직 설계 안에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 이슈는 전사적으로 처리돼야 할 사안이기 때문에 오직 기업의 리더들만이 해결할 수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6.11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