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CEPA란… 1
○ 한-인도CEPA의 추진배경… 1
■본론
○한국과 인도의 교역현황… 1~2
○CEPA협상일정… 3
○CEPA주요협상 내용/기대효과… 3
■결론
○CEPA경제적효과… 4
○CEPA대응방향… 5
○ CEPA란… 1
○ 한-인도CEPA의 추진배경… 1
■본론
○한국과 인도의 교역현황… 1~2
○CEPA협상일정… 3
○CEPA주요협상 내용/기대효과… 3
■결론
○CEPA경제적효과… 4
○CEPA대응방향… 5
본문내용
계 및 장비, 자동차 및 트레일러, 기타 운송장비, 전기기계 등 약 20개 분야를 개방한다.
※ 한-인도 CEPA 발효 후 4년간 최대 10개까지 인도에 우리 나라 은행지점 설치를 긍정적으로 고려할 것을 약속한다.
인도 정부는 자국은행(국영은행이 전체 은행 자산의 73%) 의 국제경쟁력 향상 및 금융 시장 개방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외국 은행의 인도 금융시장 참여의 기회를 넓힐 예정이다.
=> 한국의 인도투자는 거대 내수시장을 겨냥한 투자가 적합하며 가격경쟁력 확보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인도국제경제관계 연구소(ICRIER)는 한국 측 투자 유망 부문으로 기계류 등 자본재,
내구소비재, 인프라 부분을 제시했다.
소비자 후생 증가
- 대인도 수입품 관세감축 및 철폐에 따른 수입제품 가격 하락과 소비자의 제품
서비스 선택 폭 향상 등으로 소비자 후생이 증가할 것이다.
남아시아 국가 진출의의 교두보 마련
- 남아시아 지역의 주요국가인 인도와의 경제통상협력 관계를 구축, 추후 인접국가(파키스탄,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중동지역)들과의 경제협력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할 수 있다.
○ CEPA 대응방향
한 - 인도 CEPA를 계기로 수출 및 투자에 대한 시장다각화 및 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인도와의 CEPA 체결은 앞으로의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 거대 경제권과 파트너십을 구
축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유망업종을 선별하여 타겟팅 공급전략이 필요하다.
- 한국기업의 기술력을 토대로 한 인도시장에 대한 진출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신규 수출 유망 품목의 시장 진출 가능성 증대해야 한다.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분석,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거쳐 취약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점검한다.
- 정부는 한-인도 CEPA 체결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국별 원산지 증명 등
활용 정보 및 성공 사례 등을 전파해야 한다.
기업에서는 지속적 R&D를 통해 인도시장 내(內)의 중국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제품에서 탈피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수출품목을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인도시장개척 및 시장 선점 노력 필요하다.
수출중심의 직접투자 확대를 통한 ‘Win-Win' 경제구조 구축이 필요하다.
- 제3국 수출을 위한 인도현지 직접투자를 확대해 인도의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을 주면서 한국기업들의 성장과 수익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 한-인도 CEPA 발효 후 4년간 최대 10개까지 인도에 우리 나라 은행지점 설치를 긍정적으로 고려할 것을 약속한다.
인도 정부는 자국은행(국영은행이 전체 은행 자산의 73%) 의 국제경쟁력 향상 및 금융 시장 개방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외국 은행의 인도 금융시장 참여의 기회를 넓힐 예정이다.
=> 한국의 인도투자는 거대 내수시장을 겨냥한 투자가 적합하며 가격경쟁력 확보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인도국제경제관계 연구소(ICRIER)는 한국 측 투자 유망 부문으로 기계류 등 자본재,
내구소비재, 인프라 부분을 제시했다.
소비자 후생 증가
- 대인도 수입품 관세감축 및 철폐에 따른 수입제품 가격 하락과 소비자의 제품
서비스 선택 폭 향상 등으로 소비자 후생이 증가할 것이다.
남아시아 국가 진출의의 교두보 마련
- 남아시아 지역의 주요국가인 인도와의 경제통상협력 관계를 구축, 추후 인접국가(파키스탄,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중동지역)들과의 경제협력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할 수 있다.
○ CEPA 대응방향
한 - 인도 CEPA를 계기로 수출 및 투자에 대한 시장다각화 및 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인도와의 CEPA 체결은 앞으로의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 거대 경제권과 파트너십을 구
축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유망업종을 선별하여 타겟팅 공급전략이 필요하다.
- 한국기업의 기술력을 토대로 한 인도시장에 대한 진출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신규 수출 유망 품목의 시장 진출 가능성 증대해야 한다.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분석,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거쳐 취약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점검한다.
- 정부는 한-인도 CEPA 체결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국별 원산지 증명 등
활용 정보 및 성공 사례 등을 전파해야 한다.
기업에서는 지속적 R&D를 통해 인도시장 내(內)의 중국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제품에서 탈피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수출품목을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인도시장개척 및 시장 선점 노력 필요하다.
수출중심의 직접투자 확대를 통한 ‘Win-Win' 경제구조 구축이 필요하다.
- 제3국 수출을 위한 인도현지 직접투자를 확대해 인도의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을 주면서 한국기업들의 성장과 수익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인도 파키스탄분쟁(카슈미르)
국제화 시대의 매너 - 인도에서의 에티켓
현대 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 사례 분석
한 미 FTA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각 분야별 상세 분석) - 2007년 우수레포트
인도 경제 성장에 대한 우리의 대처방안
[인도문화][인도의 문화][인도의 음식문화][인도의 요가문화][인도의 차문화][인도의 장례문...
[프랑스 음식문화][프랑스요리][인도 음식문화][인도요리][일본 음식문화][일본요리][중국 음...
한EU FTA의 주요쟁점과 대응방안
[국제마케팅론]현대자동차의 인도진출
인도 화장품 시장조사 (Environmental scanning Country : India)
[레포트]미시경제학-한EU FTA
한아이 감상문
영국의 인도 통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