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물론 협상과정에서 기존의 나라들과 달리 UN은 개별 국가들이 협상에서 의견을 내기 어렵다는 것, 사무국들에서 이미 만들어 놓은 구성안대로 움직이는 한계가 있었지만 FTA를 통해 MADE IN KOREA, 그리고 한국의 존재를 알게 된다면 개개 국가들과 교역의 장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 -EU FTA 이후 렌젤 미클로시 주한 헝가리 대사가 어느 신문에 \'한- EU FTA를 계기로 한-헝가리 관계 발전을\'이란 기고를 쓴 것처럼 FTA를 통한 경제 협력은 상호간 이해를 바탕으로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분야 중 하나이다. 예전에 사회주의 국가였느냐의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경제적 이해관계와 서로 간 협력을 통해 교육, 과학, 기술 등 다방면에서 교류가 이루어 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FTA][자유무역협정]FTA(자유무역협정) 추진동향과 각국 FTA(자유무역협정)에 대한 입장 및 F...
주요국의 FTA추진전략과 그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한중FTA 배경과 전망
한미FTA에 대해서
[한중FTA]한중 FTA의 빛과 그림자 - 한중 FTA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따른 긍정적/부정적 영향 ...
한국과 콜롬비아 간의 FTA에 대해 한국의 기대효과 분석
[외교통상] 한중 FTA의 영향과 과제
한미FTA와 자유무역협정 (FTA의 배경, 한국 농업의 국제경쟁력, 시장 개방과 농업 부문, 개방...
한-중 FTA의미와 미래
[국제무역론] 한미 FTA 중간평가 (한미 FTA 개념과 체결 당시 과정과 현황, 한미 FTA 발효의 ...
한미 FTA 체결-한미 FTA의 현재 상황,무역수지 흑자,외국인 투자 급증,한미 FTA 발효의 긍정...
[생활 속의 경제 공통] 최근(2016년 6월 23일) 영국은 국민투표결과 유럽연합으로부터 탈퇴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