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치변동 - 엘리트 변화를 통한 중국의 정치변화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정치변동 - 엘리트 변화를 통한 중국의 정치변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언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

Ⅱ. 정치엘리트 변화 분석

1) 연령

2) 학력

3) 엘리트유형의 변화

4) 파벌구도의 변화

Ⅲ. 분석결과 및 함의

1) 간부충원 메커니즘의 변화

2) 주요관심사의 이동

3) 견제·대립 정치에서 경쟁·타협 정치로의 전환

4) 여성위원의 진출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던 정치국에서 여성을 포진시킨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기 때문에 이는 여성 지위에 있어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단초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정치국 외, 외교부에서도 이러한 여성의 지위변화를 관측할 수 있다. 최근 중국과 필리핀이 영유권을 놓고 대립중인 황옌다오(黃巖島·필리핀명 스카버러 숄)문제를 다루는 이들이 여성 외교관 외교부 푸잉(傅?) 부부장(차관급)과 주아세안(동아시아국가연합) 퉁샤오링(?曉玲) 대사, 주필리핀 마커칭(馬克卿) 대사가 필리핀과의 일전에서 여풍(女風)을 주도하는 3인방으로 꼽힌다.「중국 ‘황옌다오 戰線’ 강경파 세 여인 선봉」서울신문. 2012. 5. 17
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사실이 여성지위변화의 상승추세를 방증한다.
다만, 이러한 사실을 놓고 여성의 전면적 지위가 상승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여전히 대부분의 요직과 간부의 구성이 남성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가 향후 여성 지위의 변화에 상당한 진전이 나타날 것이라는 시사점을 던져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Ⅳ. 결론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해보면, 중국의 정치엘리트 변화는 다양한 측면에서 정치적 변화를 가지고 왔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 충원 메커니즘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의 엘리트 충원 방식이 과거에 비해 상당한 제도적 역량을 지니게 되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리고 이는 향후에도 더욱 안정적으로 확립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주요 정책과 관심사에 대한 지도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즉, 개혁개방으로 인한 부작용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이는 더 높은 성장을 추구하려는 중국사회의 장애물로 여겨지게 되면서, 그러한 문제의 해결에 보다 초점을 맞추는 태도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셋째, 정치의 유형, 즉 세력 간 견제와 경쟁의 구도에서 타협과 경쟁을 통한 정치로 변화했다. 이는 특정 지도자나 조직에 의한 일방적인 정국운영이 아닌 집단지도체제에 근거한 타협과 경쟁을 기반으로 공존(共存)의 정치로 변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성의 정치참여 증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단편적인 사실만으로 단언할 수는 없지만, 과거에 전무하던 여성의 정치국 진입은 상당부분 중국 정치 내에서 여성의 지위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의 정치엘리트 변화는 체제 변화와 같은 큰 변이를 산출해내지는 못했지만, 과거에 존재하던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투명화와 공개화 같은 진전이 점진적으로 나타났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중국의 흐름에 근거했을 때, 올해 공식적으로 등장할 새로운 지도부에서도 다양한 엘리트의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며, 그에 따른 정치적 변화는 지금까지와는 비교될 수 없을 만큼 더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유로 정치엘리트 변화에 대한 후속 연구는 더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중국의 정치를 연구하기 위한 대다수의 자료는 중국 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수집이 가능하고, 그 자료가 얼마나 신빙성을 지니는지를 판별하기란 쉽지가 않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를 넘어서는 획기적인 결과물이 생성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성장 궤도와 정책의 기조를 관측할 수 있는 것은 그 사항을 결정하는 엘리트가 유일한 수단이고, 그러한 엘리트의 변화에 대한 탐구만이 중국 정치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엘리트 연구를 진행해야 하는 과제를 지닐 수밖에 없는 것이다.
Ⅴ. 참고문헌
서 적
김정계「중국의 권력투쟁사」평민사. 2009.
리 청「차이나스 리더스」예담. 2002.
박광희「중국 실제로는 이렇게 움직인다」바다출판사. 2002.
백창재 外「2012 차이나 리포트」인간사랑. 2008.
전성흥「체제전환의 중국정치」에버리치홀딩스. 2010.
조영남「후진타오 시대의 중국정치」나남출판. 2006.
______「21세기 중국이 가는길」나남출판. 2009.
James C. F. Wang「Contemporary Chinese Politics」Person Education. 2002.
Mark Leonard「What does China think?」Hamper Collins Publishers UK. 2008.
中共中央委部「中共中央委人名典」2007.
논 문
김정계「후진타오시대 중국정치엘리트의 제도적, 비제도적 배경 분석」한국동북아논총. 2004.
______「중국공산당 제17기 최고 권력엘리트의 배경과 정책전망」대한정치학회보. 2008.
박희제;왕효령「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에 대한 고찰」과학기술학연구.
서운석「중국의 지역균형개발정책 효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06.
양갑용「중국의 최고 정치엘리트 변화 연구」중국학연구. 2009.
이계희「중국의 정치발전과 선거제도 개혁: 차액선거 제도화를 중심으로」2006.
이정남「중국의 기층선거와 정치적 시민권의 형성」국제정치논총. 2005.
전가림「후진타오체제의 정치·경제·외교적 특징」동서연구. 2006.
조영남「중국정치 개혁의 특징과 내용, 그리고 전망」진보평론. 2003.
______「중국의 법치 논쟁과 정치개혁」한국과 국제정치. 2010.
주창환「개혁·개방 이전과 이후 시기, 중국 정치 엘리트에 대한 비교 분석」국제지역연구. 2007.
______「제17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관료의 쇠퇴와 일반관료의 부상」2009.
______「중국 파벌정치의 변화」아세아연구. 2012.
Gyong-Woo Yun「China's informal-personal leadership politics」2002.
薄智「析中政治精英的制度性力分布」2010.
包茂宏「中的境和境政策」2007.
「美界中政治精英的究」浙江社科. 2008.
何增科「80年代以中于政治改革的大政治型」2009.
홈페이지
바이두(百度): http://www.baidu.com.cn
중국공산당신문(中共新): http://www.people.com.cn
한국 과학기술인 연합: http://www.scieng.net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6.19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