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 시합의 종류와 작전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단식 경기

3. 단식의 서비스와 리시브

4. 서비스 후의 전진

5. 복식 경기의 전,후위 선정법

6. 서비스

7. 리시브

본문내용

기습하는 것이 정석으로 그러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빠른 타이밍으로 되보내야 하는데, 만약 베이스 라인 밖으로 되보내겨고 하면 상대편이 전진하여 유리한 위치를 취할 시간을 부여하게 된다.
리시브에서는 스트로크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순간적 판단이 필요한 경우다. 그러므로 우선 대각선상의 코트에 날카롭게 반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기 위해 베이스 라인에 너무 물러서 있으면 포우치당하는 수가 많으므로 복식의 리시브에서도 역시 이 포우치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아무튼 리시브란 상당히 세심한 주의와 판단이 필요하다.
리시브의 또 한가지 전법으로 로빙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로빙은 단식에서보다 복식에서 특히 유리하며, 리시브에서의 훌륭한 로빙은 상대편 진형을 흐트리는 데 좋은 무기가 된다. 그러나 자칫 잘못하면 스매시로 두들겨 맞을 위험성이 따르는데, 한편 리시브에서의 훌륭한 로빙은 그 나름대로의 효과도 역시 큰 것이다.
발리를 하여 상대방의 머리 위를 넘기는 로빙도 고급의 전술임을 엊어서는 안된다. 네트 플레이는 네트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므로, 발리의 응수일 때 양쪽의 플레이어가 네트로 서로 접근한다. 이런 때 적의 의표를 찔러 머리 위로 넘기는 발리성 로빙은 결정타가 된다.
복식에서는 발리를 때리는 장소에 따라서 진형이나 전세기 금방 뒤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발리를 때리는 장소는 단순히 자기의 포지션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파트너의 상황을 고려하고 그 파트너가 수비하기 어려운 장소로 볼이 돌아오지 않도록 때리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이 바로 팀 플레이로 복식의 묘미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6.1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5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