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 본론
1. 인물로 본 <주생전>
2. <주생전>의 소설사적 의의
Ⅲ. 나가며
Ⅱ 본론
1. 인물로 본 <주생전>
2. <주생전>의 소설사적 의의
Ⅲ. 나가며
본문내용
하게 극복하는 진전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소설을 전기소설의 맥락 속에서 바라보는 것은 현실적 토대 위에서 형상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실에서 소외된 지식인들의 낭만적 욕망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주생과 선화의 사랑을 들 수 있다. 귀족집안의 딸인 선화는 주생의 얼굴도 모른 상태에서 주생이 자신의 방에 들어오자 기꺼이 맞아들여 동침을 한다. 이러한 일은 17세기적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더구나 주생은 몰락한 양반에 불과한 인물이다. 따라서 이들의 사량은 그 만큼 낭만적이거나 환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산 사람과 죽은 혼령의 사랑을 형상화한 『금오신화』에 비하면, 이것은 사건이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현실적이라고 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 자체로만 놓고 본다면 주생과 선화의 사랑은 비현실적인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또한 몰락양반인 주생과 명문집안의 딸인 선화의 관계를 상사병에 걸려 죽을 지경에 이르자 부모님이 허락해 준다는 부분은 당대 사회를 미루어 볼 때 현실성을 획득하기 어렵다.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2000), p.127
위의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주생전>은 전대와는 다르게 소재의 다양성과 사실성을 드러내며 18세기 민중적 사실주의, 통속적 낭만주의 형태의 한글소설로의 이행에 자연스럽게 다리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책, p.140
Ⅲ. 나가며
지금까지 <주생전>의 등장인물의 특징과 소설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주생전>의 등장인물들은 현실 세계의 모순 속에서 자신들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각자의 방식으로 노력하지만 아무도 자신의 욕망을 이루지 못하고 비극적인 결말을 맺으면서 현실세계의 모순은 더욱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생전>은 이전의 전기소설의 환상성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사실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후대소설의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 문헌
정민<주생전의 창작기층과 작품성격>,『목릉문단과 석주 권필』 태학사, 1999.
<선현유음> 간호윤역, 이회, 2003.
김희경, <전기소설의 측면에서 본 주생전 연구>, (연세어문학 ,1995)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어학연구, 2000)
박회병, 「전기적 인간의 미적 특질」,『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2000).
위의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주생전>은 전대와는 다르게 소재의 다양성과 사실성을 드러내며 18세기 민중적 사실주의, 통속적 낭만주의 형태의 한글소설로의 이행에 자연스럽게 다리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책, p.140
Ⅲ. 나가며
지금까지 <주생전>의 등장인물의 특징과 소설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주생전>의 등장인물들은 현실 세계의 모순 속에서 자신들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 각자의 방식으로 노력하지만 아무도 자신의 욕망을 이루지 못하고 비극적인 결말을 맺으면서 현실세계의 모순은 더욱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생전>은 이전의 전기소설의 환상성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사실성을 획득하고 있으며 후대소설의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 문헌
정민<주생전의 창작기층과 작품성격>,『목릉문단과 석주 권필』 태학사, 1999.
<선현유음> 간호윤역, 이회, 2003.
김희경, <전기소설의 측면에서 본 주생전 연구>, (연세어문학 ,1995)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어학연구, 2000)
박회병, 「전기적 인간의 미적 특질」,『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