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신
을 지키려는 생각을 할 뿐이다. 그렇게 하려면, 상대방과 감정적인 관
계를 끊어야 한다. 결혼 생활의 붕괴는 예측할 수 있다. 우선 좋지 않
은 첫마디로 언쟁을 시작하고, 부부가 서로 쉴 새 없이 비난하고, 모욕
하고, 자기를 변호하거나 상대방에게서 도피하다 보면, 결혼 생활은 틀
림없이 깨지게 된다. 이러한 위험 요인들 가운데 하나만으로도 이혼을
예측할 수 있는데, 불행한 결혼 생활에는 대개 이 4가지 요인이 다 모
여 있다.
④네 번째 신호 - 몸짓
말다툼이 격렬해졌을 때 부부의 생리변화를 측정해 보면, 부부가 얼
마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생리적 반응에서
가장 확실한 것은 맥박인데, 많이 올라가는 사람일 경우 100에서 165까
지 올라간다(30세 남성의 정상 맥박수는 1분에 76회 전후, 여성은 82회
전후다). 그리고 사람을 흥분시키는 아드레날린을 포함해서 호르몬의
분비량도 변한다. 또 혈압도 올라간다. 극적으로 변하는 이런 수치들을
통해서 부부가 말다툼을 하는 동안 어느 정도로 강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가를 알 수 있으므로, 그들이 결국 이혼할 것인가 아닌가를 예측할
수 있다. 위험 요인의 홍수가 원인이 되어서 부부가 이혼의 길을 걷게
되는 이유는 2가지가 있다. 첫째는 부부가 서로 이야기를 나눌 때, 적
어도 한쪽이 강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아서 흥분하기 때문이다. 둘째
는 4가지 위험 요인의 작용으로 맥박 등이 올라가, 냉정한 대화를 할
수 없어서 실제로 문제해결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몸은 말다
툼 등으로 흥분하게 되면, 유사 이전의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매우 원시
적인 경계 시스템이 반응한다. 그래서 맥박이 빨라지고 땀이 나면서,
우리 몸에게 현재 상태가 위험하다고 알려 준다. 우리들은 시험관 아
기, 장기 이식, 유전자 치료, 유전자 지도의 작성이 가능한 현대에 살고
있지만, 공포에 반응하는 우리들의 몸은 동굴에 살던 선조들과 그다지
달라진 것이 없다. 선조들이 호랑이와 마주쳤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내
의 모욕적인 말에 부딪히면 우리 몸은 똑같이 반응한다. 배우자와 이야
기를 나누고 있을 때, 맥박이 빨라지는 등 신체적인 스트레스가 높아진
다면 그 결말은 뻔하다. 상대방의 말을 분석하는 것이 곤란해지면서,
비난하고 모욕하는 말로 상대방을 공격하든가 또는 자기변명, 도피와
같은 수단으로 자기를 지키려고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계속 이야기를
해봤자 상태를 악화시킬 뿐, 문제 해결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다.
⑤ 다섯 번째 신호 - 회복 시도의 실패
빈번한 관계 회복의 실패는 부부간의 유대를 감소시키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게된다.
⑥ 여섯 번째 신호 - 나쁜 추억
부부 관계가 아주 냉랭하게 되면, 현재와 미래의 관계가 위험 상태에
빠질 뿐만 아니라 과거의 사건도 위험 요인이 되어 파고들게 된다.상대방에게 강한 마이너스 감정을 품고 있는 배우자는 함께 지
낸 과거의 역사를 나쁘게 바꿔 쓰는 경향이 있다.
(6) 가트만의 전형적인 다섯 가지 문제와 그 해결책
①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 가정을 평화스러운 곳으로 만든다. 배우자가 스트레스를 받은 채 귀가했을 때 비난 하기보다는 스트레스를 발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다.
② 고부간의 갈등
- 부부의 연대감을 쌓아 나간다. 남편이 의연히 아내 쪽에 서는 것이다. 남편에게 있어 잔혹한 선택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지만 부부가 일심동체가 되는 것이 결혼의 근본적인 이념이라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③ 성생활
- 부부가 서로의 진가를 알고, 몸과 마음을 모두 받아들인다. 두 사람은 마음 편하게 섹스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즉 자신이 원하는 것을 불쾌감을 주는 일 없이 상대방에게 전하고 상대방이 요구하는 것을 올바로 받아들여준다. 서로 기쁨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쌍방이 모두 만족할 수 있게 된다.
④ 가사 분담
- 공평함과 팀워크에 유의한다. 아내는 남편이 가사를 돕는 모습을 보고 성적 매력을 느낀다고 한
다. 남편이 가사를 거드는 가정의 경우, 성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부부가 많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부부에게 있어서는 말다툼이 나쁜영향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적다.
⑤ 부모가 된다.
- 아이를 포함한 가족의 연대감을 키운다. 아내는 약간 불만이 있더라도 남편에게 아이를 맡겨야 한다. 그의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아이는 남편의 자녀이기도 하므로 엄
마의 방식뿐만 아니라 아빠의 방식도 경험하는 것이 아이에게 더 좋을 수도 있다.
을 지키려는 생각을 할 뿐이다. 그렇게 하려면, 상대방과 감정적인 관
계를 끊어야 한다. 결혼 생활의 붕괴는 예측할 수 있다. 우선 좋지 않
은 첫마디로 언쟁을 시작하고, 부부가 서로 쉴 새 없이 비난하고, 모욕
하고, 자기를 변호하거나 상대방에게서 도피하다 보면, 결혼 생활은 틀
림없이 깨지게 된다. 이러한 위험 요인들 가운데 하나만으로도 이혼을
예측할 수 있는데, 불행한 결혼 생활에는 대개 이 4가지 요인이 다 모
여 있다.
④네 번째 신호 - 몸짓
말다툼이 격렬해졌을 때 부부의 생리변화를 측정해 보면, 부부가 얼
마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생리적 반응에서
가장 확실한 것은 맥박인데, 많이 올라가는 사람일 경우 100에서 165까
지 올라간다(30세 남성의 정상 맥박수는 1분에 76회 전후, 여성은 82회
전후다). 그리고 사람을 흥분시키는 아드레날린을 포함해서 호르몬의
분비량도 변한다. 또 혈압도 올라간다. 극적으로 변하는 이런 수치들을
통해서 부부가 말다툼을 하는 동안 어느 정도로 강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가를 알 수 있으므로, 그들이 결국 이혼할 것인가 아닌가를 예측할
수 있다. 위험 요인의 홍수가 원인이 되어서 부부가 이혼의 길을 걷게
되는 이유는 2가지가 있다. 첫째는 부부가 서로 이야기를 나눌 때, 적
어도 한쪽이 강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아서 흥분하기 때문이다. 둘째
는 4가지 위험 요인의 작용으로 맥박 등이 올라가, 냉정한 대화를 할
수 없어서 실제로 문제해결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몸은 말다
툼 등으로 흥분하게 되면, 유사 이전의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매우 원시
적인 경계 시스템이 반응한다. 그래서 맥박이 빨라지고 땀이 나면서,
우리 몸에게 현재 상태가 위험하다고 알려 준다. 우리들은 시험관 아
기, 장기 이식, 유전자 치료, 유전자 지도의 작성이 가능한 현대에 살고
있지만, 공포에 반응하는 우리들의 몸은 동굴에 살던 선조들과 그다지
달라진 것이 없다. 선조들이 호랑이와 마주쳤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내
의 모욕적인 말에 부딪히면 우리 몸은 똑같이 반응한다. 배우자와 이야
기를 나누고 있을 때, 맥박이 빨라지는 등 신체적인 스트레스가 높아진
다면 그 결말은 뻔하다. 상대방의 말을 분석하는 것이 곤란해지면서,
비난하고 모욕하는 말로 상대방을 공격하든가 또는 자기변명, 도피와
같은 수단으로 자기를 지키려고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계속 이야기를
해봤자 상태를 악화시킬 뿐, 문제 해결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다.
⑤ 다섯 번째 신호 - 회복 시도의 실패
빈번한 관계 회복의 실패는 부부간의 유대를 감소시키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게된다.
⑥ 여섯 번째 신호 - 나쁜 추억
부부 관계가 아주 냉랭하게 되면, 현재와 미래의 관계가 위험 상태에
빠질 뿐만 아니라 과거의 사건도 위험 요인이 되어 파고들게 된다.상대방에게 강한 마이너스 감정을 품고 있는 배우자는 함께 지
낸 과거의 역사를 나쁘게 바꿔 쓰는 경향이 있다.
(6) 가트만의 전형적인 다섯 가지 문제와 그 해결책
①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 가정을 평화스러운 곳으로 만든다. 배우자가 스트레스를 받은 채 귀가했을 때 비난 하기보다는 스트레스를 발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다.
② 고부간의 갈등
- 부부의 연대감을 쌓아 나간다. 남편이 의연히 아내 쪽에 서는 것이다. 남편에게 있어 잔혹한 선택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지만 부부가 일심동체가 되는 것이 결혼의 근본적인 이념이라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③ 성생활
- 부부가 서로의 진가를 알고, 몸과 마음을 모두 받아들인다. 두 사람은 마음 편하게 섹스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즉 자신이 원하는 것을 불쾌감을 주는 일 없이 상대방에게 전하고 상대방이 요구하는 것을 올바로 받아들여준다. 서로 기쁨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쌍방이 모두 만족할 수 있게 된다.
④ 가사 분담
- 공평함과 팀워크에 유의한다. 아내는 남편이 가사를 돕는 모습을 보고 성적 매력을 느낀다고 한
다. 남편이 가사를 거드는 가정의 경우, 성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부부가 많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부부에게 있어서는 말다툼이 나쁜영향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적다.
⑤ 부모가 된다.
- 아이를 포함한 가족의 연대감을 키운다. 아내는 약간 불만이 있더라도 남편에게 아이를 맡겨야 한다. 그의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아이는 남편의 자녀이기도 하므로 엄
마의 방식뿐만 아니라 아빠의 방식도 경험하는 것이 아이에게 더 좋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