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류 위험물(산화성고체)
제2류 위험물(가연성고체)
제3류 위험물(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품)
제4류 위험물(인화성액체)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제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제2류 위험물(가연성고체)
제3류 위험물(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품)
제4류 위험물(인화성액체)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제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본문내용
수용성, 내산성용기, 알코올포, 수포상의 화상
⑤ 테레핀유(, 피넨) - 물에 녹지 않음, 착화점 240℃, 헝겊과 종이에 스며들어 자연발화 한다.
⑥ 스틸렌
⑦ 크실렌() 3가지의 이성질체(인화점→o,-크실렌 : 17.2℃, m-크실렌 : 23℃, p-크실렌 : 23℃)
장뇌유, 송근유, 에틸셀르솔브, 메틸셀르솔브, 클로로벤젠()-DDT의 원료
제3석유류
① 중유는 직류중유(인화점 60~150℃)와 분해중유(70~150℃)가 있다.
-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 점도에 의하여 ABC등급으로 나뉘며 벙커 C유는 C중유이다.
※ 슬롭오버현상 : 화재면의 액체가 포말과 함께 혼합되어 넘쳐흐르는 현상.
※ 보일오버현상 : 연소열에 의하여 탱크내부의 수분이 팽창하여 기름이 넘치는 현상.
② 크레오소트유 - 인화점 74℃, 내상성용기, 타르산
③ 니트로벤젠() - 인화점 88℃, 독성
※ 제조반응식 : (는 질화반응, 은 탈수반응을 한다.)
④ 아닐린() - 독성, 물에 약간 녹음
⑤ 에틸렌글리콜( - 2가 알코올, 독성, 수용성, 자동차 부동액
⑥ 글리세린() - 3가 알코올, 수용성, 단맛
⑦ 담글질유
⑧ 메타크레졸()
인화점 86℃, 3가지의 이성질체(o, p-크레졸은 특수가연물 제2종 가연물에 속하며 고체이다.)
제4석유류
방청유, 가소제, 담그질유, 전기절연유, 절삭유, 윤활유
- 석유계 윤활류 : 기어유, 실린더유, 터빈유, 기계유, 모터유
동식물류
1기압 20℃에서 액체로 되는 동식물류를 말하며 불연성용기에 수납밀전되고 저장보관되어 있는 것은
제외한다.
※ 요오드값 : 유지 100g에 부과되는 요오드의 g수
※ 건성유(요오드값 130이상) : 해바라기유, 동유, 아마인유, 들기름, 정어리기름(※ 쉽게 해동아들정)
※ 반건성유(요오드값 100이상 130미만) : 청어유, 쌀겨기름, 면실유, 채종유, 옥수수기름, 참기름, 콩기름
※ 불건성유(요오드값 100미만) : 피마자유, 올리브유, 팜유, 낙화생기름, 야자유)
- 비누화값 : 유지 1g을 비누화 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수
- 산값 : 유지 1g중의 유리지방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수
- 아세틸값 : 아세틸화한 유지 1g중에 결합하고 있는 초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수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유기과산화물류
과산화벤조일(), 100℃분해 → 흰연기
과산화메틸에틸케톤(MEKPO), 분해온도 40℃, 희석제 : 프탈산디메틸, 프탈산디부틸 50~60%
질산에스테르류
질산메틸(), 질산에틸
니트로글리세린(, NG) 허용농도 0.02PPM, 규조토에 흡수시킨 것을 마이나마이트라 한다.
※ 폭발반응식 :
니트로셀룰로오스(질화면, NC)
분해온도 130℃, 자연발화온도 180℃, 강면약 : N>12.76%, 약면약 : N<10.18~12.76%)
- 저장수송중에는 물이나 알코올로 습면시킨다.(※ 온도상승방지)
※ 완전분해반응식 :
셀룰로이드류
니트로화합물류
트리니트로톨루엔(, T.N.T) - 착화점 300℃, 폭발력의 표준, 담황색의 침상결정
※ 톨루엔에 질산(질화작용)과 황산(탈수작용)을 가하여 제조한다.
※ 분해반응식 :
트리니트로페놀(, 피크린산) 착화점 300℃
※ 분해반응식 :
니트로소화합물류
아조화합물류
디아조화합물류
히드라진 및 그 유도체
제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과염소산() - 내산성용기
과산화수소() - 위험물로서 의 농도는 36중량% 이상이다.
단독 폭발농도 60%이상, 수종(물집), 구멍 뚫린 마개
※ 안정제 : 인산() + 요산()
질산() - 비중 1.49이상, , 갈색증기, 유독성, 발연질산()
※ 공기중에서 분해 :
⑤ 테레핀유(, 피넨) - 물에 녹지 않음, 착화점 240℃, 헝겊과 종이에 스며들어 자연발화 한다.
⑥ 스틸렌
⑦ 크실렌() 3가지의 이성질체(인화점→o,-크실렌 : 17.2℃, m-크실렌 : 23℃, p-크실렌 : 23℃)
장뇌유, 송근유, 에틸셀르솔브, 메틸셀르솔브, 클로로벤젠()-DDT의 원료
제3석유류
① 중유는 직류중유(인화점 60~150℃)와 분해중유(70~150℃)가 있다.
-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 점도에 의하여 ABC등급으로 나뉘며 벙커 C유는 C중유이다.
※ 슬롭오버현상 : 화재면의 액체가 포말과 함께 혼합되어 넘쳐흐르는 현상.
※ 보일오버현상 : 연소열에 의하여 탱크내부의 수분이 팽창하여 기름이 넘치는 현상.
② 크레오소트유 - 인화점 74℃, 내상성용기, 타르산
③ 니트로벤젠() - 인화점 88℃, 독성
※ 제조반응식 : (는 질화반응, 은 탈수반응을 한다.)
④ 아닐린() - 독성, 물에 약간 녹음
⑤ 에틸렌글리콜( - 2가 알코올, 독성, 수용성, 자동차 부동액
⑥ 글리세린() - 3가 알코올, 수용성, 단맛
⑦ 담글질유
⑧ 메타크레졸()
인화점 86℃, 3가지의 이성질체(o, p-크레졸은 특수가연물 제2종 가연물에 속하며 고체이다.)
제4석유류
방청유, 가소제, 담그질유, 전기절연유, 절삭유, 윤활유
- 석유계 윤활류 : 기어유, 실린더유, 터빈유, 기계유, 모터유
동식물류
1기압 20℃에서 액체로 되는 동식물류를 말하며 불연성용기에 수납밀전되고 저장보관되어 있는 것은
제외한다.
※ 요오드값 : 유지 100g에 부과되는 요오드의 g수
※ 건성유(요오드값 130이상) : 해바라기유, 동유, 아마인유, 들기름, 정어리기름(※ 쉽게 해동아들정)
※ 반건성유(요오드값 100이상 130미만) : 청어유, 쌀겨기름, 면실유, 채종유, 옥수수기름, 참기름, 콩기름
※ 불건성유(요오드값 100미만) : 피마자유, 올리브유, 팜유, 낙화생기름, 야자유)
- 비누화값 : 유지 1g을 비누화 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수
- 산값 : 유지 1g중의 유리지방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수
- 아세틸값 : 아세틸화한 유지 1g중에 결합하고 있는 초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수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유기과산화물류
과산화벤조일(), 100℃분해 → 흰연기
과산화메틸에틸케톤(MEKPO), 분해온도 40℃, 희석제 : 프탈산디메틸, 프탈산디부틸 50~60%
질산에스테르류
질산메틸(), 질산에틸
니트로글리세린(, NG) 허용농도 0.02PPM, 규조토에 흡수시킨 것을 마이나마이트라 한다.
※ 폭발반응식 :
니트로셀룰로오스(질화면, NC)
분해온도 130℃, 자연발화온도 180℃, 강면약 : N>12.76%, 약면약 : N<10.18~12.76%)
- 저장수송중에는 물이나 알코올로 습면시킨다.(※ 온도상승방지)
※ 완전분해반응식 :
셀룰로이드류
니트로화합물류
트리니트로톨루엔(, T.N.T) - 착화점 300℃, 폭발력의 표준, 담황색의 침상결정
※ 톨루엔에 질산(질화작용)과 황산(탈수작용)을 가하여 제조한다.
※ 분해반응식 :
트리니트로페놀(, 피크린산) 착화점 300℃
※ 분해반응식 :
니트로소화합물류
아조화합물류
디아조화합물류
히드라진 및 그 유도체
제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과염소산() - 내산성용기
과산화수소() - 위험물로서 의 농도는 36중량% 이상이다.
단독 폭발농도 60%이상, 수종(물집), 구멍 뚫린 마개
※ 안정제 : 인산() + 요산()
질산() - 비중 1.49이상, , 갈색증기, 유독성, 발연질산()
※ 공기중에서 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