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1. 조선시대의 처와 첩
2. 사씨남정기
3. 인현왕후전
2. 사씨남정기
3. 인현왕후전
본문내용
새로운 관점에서 본 ‘妾’
처첩갈등-양반의 처와 첩
1. 조선시대의 처와 첩
조선시대의 처첩질서(妻妾秩序)
(남편)(처)
(첩)
(첩(妾))
(노비)(노동력)
처(妻)의 확고한 위치
• 조선시대의 부부는 우호적인 관계.
• 국가의 적극적인 노력.
• 처(妻) 집안과의 관계 중시.
• 처(妻) 와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하면서 사회적으로 공동 이익을 얻는 게 더 현실적.
≪ … 중 략 … ≫
2. 사씨남정기
『사씨남정기』의 작가, “김만중”
≪ 그 림 ≫
▪ 호: 서포(西浦)
▪ 1665년 정시문과에 장원
▪ 1671년 암행어사
▪ 1672년 동부승지
▪ 1679년 예조참의
▪ 1683년 공조판서
▪ 1685년 홍문관대제학
▪ 1686년 지경연사
▪ 《구운몽》
▪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서포만필(西浦漫筆)》
▪ 《서포집(西浦集)》
▪ 《고시선(古詩選)》
처첩갈등-양반의 처와 첩
1. 조선시대의 처와 첩
조선시대의 처첩질서(妻妾秩序)
(남편)(처)
(첩)
(첩(妾))
(노비)(노동력)
처(妻)의 확고한 위치
• 조선시대의 부부는 우호적인 관계.
• 국가의 적극적인 노력.
• 처(妻) 집안과의 관계 중시.
• 처(妻) 와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하면서 사회적으로 공동 이익을 얻는 게 더 현실적.
≪ … 중 략 … ≫
2. 사씨남정기
『사씨남정기』의 작가, “김만중”
≪ 그 림 ≫
▪ 호: 서포(西浦)
▪ 1665년 정시문과에 장원
▪ 1671년 암행어사
▪ 1672년 동부승지
▪ 1679년 예조참의
▪ 1683년 공조판서
▪ 1685년 홍문관대제학
▪ 1686년 지경연사
▪ 《구운몽》
▪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서포만필(西浦漫筆)》
▪ 《서포집(西浦集)》
▪ 《고시선(古詩選)》
추천자료
조선후기(18세기초-19세기) 화단에 관한 연구
'조선인'신윤복을 통해서본 조선사회와 여성
조선시대 여류문학 고찰
조선시대 여류문학에 대하여
조선시대 도성계획과 궁궐정원
조선시대 미술사 완벽정리
조선 시대 무오사화
[조선]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4부 학당, 조선시대 관학 교...
조선시대의 도화서
조선의 식생활과 놀이문화
조선 후기 평민시가의 변모 양상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실학사상 [實學思想] (조선의 시대적 배경, 문제제기, 실학의 발생 배경, 실학의 특성, 실학...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