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브랜드란?
2. 브랜드 마케팅의 필요성
3. 브랜드의 역할
4. 브랜드자산 형성요인
1) 지각된 품질(Perceived Quality)
2) 브랜드 연상(Brand Association)
3) 브랜드 인지도(Brand Awareness)
5. 브랜드 에쿼티의 구성요소
1) 브랜드 인지도
2) 브랜드 이미지
3) 브랜드 충성도
6. 브랜드 마케팅의 효과
1) 이익효과
2) 자산효과
7. 브랜드마케팅의 성공사례
1) 루이비통
2) 메트로
3) 서울특별시
참고자료
2. 브랜드 마케팅의 필요성
3. 브랜드의 역할
4. 브랜드자산 형성요인
1) 지각된 품질(Perceived Quality)
2) 브랜드 연상(Brand Association)
3) 브랜드 인지도(Brand Awareness)
5. 브랜드 에쿼티의 구성요소
1) 브랜드 인지도
2) 브랜드 이미지
3) 브랜드 충성도
6. 브랜드 마케팅의 효과
1) 이익효과
2) 자산효과
7. 브랜드마케팅의 성공사례
1) 루이비통
2) 메트로
3) 서울특별시
참고자료
본문내용
전담부서의 인력구성은 전체 31명으로 일반직이 18명, 계약직이 1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직에는 4급 담당관 1명, 5급 팀장 5명, 6급 6명, 7급 5명, 8급 1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약직의 경우는 나급 2명, 다급 3명, 라급 6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간제계약직 라급 2명은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 시간제계약직 라급 2명 별도
서울시 마케팅 전담부서의 팀별 주요업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기획팀은 해외홍보마케팅 전략 개발 및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대행사 선정 및 관리 총괄, TV광고, 유명스포츠팀 활용 마케팅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둘째, 마케팅협력팀은 외국어홈페이지 관리 및 온라인옥외광고 마케팅, 월간 『Seoul』,서울이야기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셋째, 프로모션팀은 문화스포츠외국인행사 활용마케팅, 서울상징물관리, 2010상해엑스포 관련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해외언론팀은 해외언론 홍보(시장 인터뷰, 프레스 투어, 취재지원 등), 지면광고, 외국어표기 표준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다섯째, 조사분석팀은 시정여론조사 실시 및 산하기관 여론조사 자문,
* 계약직 구성
- 해외마케팅전문요원 10명(마케팅 3, 웹마케팅 1, 영어 2, 일어 1, 중국어 3)
- 여론조사분석요원 3명
(3) 서울시의 마케팅 전략
서울은 Hi-Seoul을 활용한 통합홍보전략을 도입하여 마케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Brand Making으로서, Hi-Seoul슬로건, 로고 활용, 노래(하이서울송) ,수돗물(아리수), 축제(HiSeoul 페스티벌), 하이서울공동브랜드, 캐릭터 왕범이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해외홍보마케팅으로서, 외국언론 활용, 외신홍보물 제작, 아리랑 TV제휴사업 추진, 국제기자관리, 서울환경도시 다큐 영상물 제작방영, 국내외 공항,KTX 역사 라이트 박스 활용 홍보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이미지 개선 마케팅으로서, 서울을 무대로한 영화, 드라마 PPL, 서울 중국어 표기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인터넷으로 시민과 시정잇기로서, 서울 홈페이지 운영, 외국어 홈페이지 운영, 인터넷 신문, “하이서울 뉴스”, 뉴미디어 광고(포털사이트, 인터넷뉴스, 영화관), 청계천 관련 온라인 이벤트 진행 등을 들 수 있다.
다섯째, 축제가 있는 서울 -한류 가미한 문화 마케팅으로써, 하이서울 페스티벌, 서울 뮤직 페스티벌, 서울 문화 퍼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여섯째, 다이내믹 서울 -스포츠마케팅으로서, 프로 스포츠(야구, 축구, 농구)연고구단 Co-Marketing과 사이버 게임 활용 홍보(게임페스티벌, 게임 음악회), AsianX-Game개최 등을 들 수 있다.
일곱째, 투자유치마케팅으로서 21세기 신산업, 컨벤션을 통한 서울 업그레이드,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기업애로해소센터 Biz119,서울 외국인 종합지원 센터),동북아 비즈니스 중심도시 조성(여의도 서울국제금융센터 SIFC,상암 디지털미디어센터 DMC)등을 들 수 있다.
여덟째, 사회통합마케팅으로서 국내 거주 외국인과의 연대 강화(지구촌 한마당 축제, 서울타운미팅, 외국인 커뮤니티 문화행사 지원, 외국인 서울체험 행사),서울시민 모두가 하나되는 ‘서울사랑’실천(Hi-Seoul슬로 건 시민공모제작, 서울사랑 이미지 제작, 버스 BI활용, 월간 ‘서울사랑’책자 발간)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마케팅으로서 청계천(새물맞이 행사, 청계천 관광 거점화 및 인프라 확충), 서울광장, 숭례문 광장 조성 등을 들 수 있다.
(4) 서울시의 마케팅 성과
서울의 지속적인 마케팅 노력에 따라서 서울시는 해외마케팅 효과조사 결과 “가장 방문하고 싶은 도시”로 선정되었다. TV광고, 지면광고, 프로모션, 문화 스포츠 마케팅, 민간과의 마케팅 연계체제 구축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세계적인 리서치기관인 AC닐슨에 의뢰하여 중국, 일본, 태국 등 현지인 2,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시 해외마케팅 효과조사에 의하면, ‘세계 모든 도시 중 향후 1년 이내 가장 방문하고 싶은 도시’가 마케팅 실시전보다 꾸준히 상승하여 2008년 11월 이후에 3개국에서 “서울”이 모두 1위로 선정되는 가시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제 관광객 또한 2007년 대비 6.9%인 44만명이 증가한 689만명이 방문하여 2007년도 성장률 4.8%를 나타냈다.
이러한 성과 이외에 다른 성과를 살펴보면, 국내 지자체 및 정부기관에 해외마케팅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확산시켰다는 것이다. 서울시에 서 실시한 해외마케팅이 국내 언론을 통해 꾸준히 알려지면서 해외마케팅을 실시하려는 지방자치단체가 증가하였으며, 기획, 해외언론, 프로모션 등 주요 업무별로 구성된 서울시의 해외마케팅 조직구조나 2008년 주요 추진사업 내역 등에 대한 문의가 늘어 해외마케팅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서울시의 도시 브랜드 확산 노력은 국가나 도시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앙정부에서 2009년 국가브랜드위원회 설치 및 2009년 해외마케팅 예산을 확대하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참고자료
김성재, 단순한 상표 아닌 전략적 개념을 파악해야, 광고정보, 1996.
김양수, 브랜드 네이밍 전략 메뉴얼, 나남, 1993.
김용운, 국내 화장품 장수 브랜드의 마케팅믹스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2001.
박대순, 현대디자인 용어 사전, 디자인 오피스, 1993.
서원석.김미경, "호텔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가 재구매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004.
원구현, 브랜드자산의 형성과정의 재정립, 한국마케팅저널, 2003.
유붕노, 마케팅 실천 성공 사례집, 한국 마케팅 연구원, 199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하이서울, 서울시정기간행물, 1997.
D. A. Aaker,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옮김,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관리, 나남, 1992.
http://www.louisvuitton.com
http://www.seoul.go.kr
* 시간제계약직 라급 2명 별도
서울시 마케팅 전담부서의 팀별 주요업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기획팀은 해외홍보마케팅 전략 개발 및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대행사 선정 및 관리 총괄, TV광고, 유명스포츠팀 활용 마케팅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둘째, 마케팅협력팀은 외국어홈페이지 관리 및 온라인옥외광고 마케팅, 월간 『Seoul』,서울이야기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셋째, 프로모션팀은 문화스포츠외국인행사 활용마케팅, 서울상징물관리, 2010상해엑스포 관련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해외언론팀은 해외언론 홍보(시장 인터뷰, 프레스 투어, 취재지원 등), 지면광고, 외국어표기 표준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다섯째, 조사분석팀은 시정여론조사 실시 및 산하기관 여론조사 자문,
* 계약직 구성
- 해외마케팅전문요원 10명(마케팅 3, 웹마케팅 1, 영어 2, 일어 1, 중국어 3)
- 여론조사분석요원 3명
(3) 서울시의 마케팅 전략
서울은 Hi-Seoul을 활용한 통합홍보전략을 도입하여 마케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Brand Making으로서, Hi-Seoul슬로건, 로고 활용, 노래(하이서울송) ,수돗물(아리수), 축제(HiSeoul 페스티벌), 하이서울공동브랜드, 캐릭터 왕범이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해외홍보마케팅으로서, 외국언론 활용, 외신홍보물 제작, 아리랑 TV제휴사업 추진, 국제기자관리, 서울환경도시 다큐 영상물 제작방영, 국내외 공항,KTX 역사 라이트 박스 활용 홍보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이미지 개선 마케팅으로서, 서울을 무대로한 영화, 드라마 PPL, 서울 중국어 표기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인터넷으로 시민과 시정잇기로서, 서울 홈페이지 운영, 외국어 홈페이지 운영, 인터넷 신문, “하이서울 뉴스”, 뉴미디어 광고(포털사이트, 인터넷뉴스, 영화관), 청계천 관련 온라인 이벤트 진행 등을 들 수 있다.
다섯째, 축제가 있는 서울 -한류 가미한 문화 마케팅으로써, 하이서울 페스티벌, 서울 뮤직 페스티벌, 서울 문화 퍼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여섯째, 다이내믹 서울 -스포츠마케팅으로서, 프로 스포츠(야구, 축구, 농구)연고구단 Co-Marketing과 사이버 게임 활용 홍보(게임페스티벌, 게임 음악회), AsianX-Game개최 등을 들 수 있다.
일곱째, 투자유치마케팅으로서 21세기 신산업, 컨벤션을 통한 서울 업그레이드,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기업애로해소센터 Biz119,서울 외국인 종합지원 센터),동북아 비즈니스 중심도시 조성(여의도 서울국제금융센터 SIFC,상암 디지털미디어센터 DMC)등을 들 수 있다.
여덟째, 사회통합마케팅으로서 국내 거주 외국인과의 연대 강화(지구촌 한마당 축제, 서울타운미팅, 외국인 커뮤니티 문화행사 지원, 외국인 서울체험 행사),서울시민 모두가 하나되는 ‘서울사랑’실천(Hi-Seoul슬로 건 시민공모제작, 서울사랑 이미지 제작, 버스 BI활용, 월간 ‘서울사랑’책자 발간)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마케팅으로서 청계천(새물맞이 행사, 청계천 관광 거점화 및 인프라 확충), 서울광장, 숭례문 광장 조성 등을 들 수 있다.
(4) 서울시의 마케팅 성과
서울의 지속적인 마케팅 노력에 따라서 서울시는 해외마케팅 효과조사 결과 “가장 방문하고 싶은 도시”로 선정되었다. TV광고, 지면광고, 프로모션, 문화 스포츠 마케팅, 민간과의 마케팅 연계체제 구축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세계적인 리서치기관인 AC닐슨에 의뢰하여 중국, 일본, 태국 등 현지인 2,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시 해외마케팅 효과조사에 의하면, ‘세계 모든 도시 중 향후 1년 이내 가장 방문하고 싶은 도시’가 마케팅 실시전보다 꾸준히 상승하여 2008년 11월 이후에 3개국에서 “서울”이 모두 1위로 선정되는 가시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제 관광객 또한 2007년 대비 6.9%인 44만명이 증가한 689만명이 방문하여 2007년도 성장률 4.8%를 나타냈다.
이러한 성과 이외에 다른 성과를 살펴보면, 국내 지자체 및 정부기관에 해외마케팅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확산시켰다는 것이다. 서울시에 서 실시한 해외마케팅이 국내 언론을 통해 꾸준히 알려지면서 해외마케팅을 실시하려는 지방자치단체가 증가하였으며, 기획, 해외언론, 프로모션 등 주요 업무별로 구성된 서울시의 해외마케팅 조직구조나 2008년 주요 추진사업 내역 등에 대한 문의가 늘어 해외마케팅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서울시의 도시 브랜드 확산 노력은 국가나 도시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앙정부에서 2009년 국가브랜드위원회 설치 및 2009년 해외마케팅 예산을 확대하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참고자료
김성재, 단순한 상표 아닌 전략적 개념을 파악해야, 광고정보, 1996.
김양수, 브랜드 네이밍 전략 메뉴얼, 나남, 1993.
김용운, 국내 화장품 장수 브랜드의 마케팅믹스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2001.
박대순, 현대디자인 용어 사전, 디자인 오피스, 1993.
서원석.김미경, "호텔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가 재구매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004.
원구현, 브랜드자산의 형성과정의 재정립, 한국마케팅저널, 2003.
유붕노, 마케팅 실천 성공 사례집, 한국 마케팅 연구원, 199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하이서울, 서울시정기간행물, 1997.
D. A. Aaker,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옮김,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관리, 나남, 1992.
http://www.louisvuitton.com
http://www.seoul.go.kr
추천자료
공간의 이해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와 사례분석 - 삼성과 맥도날드(McDonald)의 조직문화 사례를 중
기업문화사례[현재 이랜드의 새로운 조직문화]
Alfred Adler의 개인심리이론
중국의 음식 문화
조직문화에 관한 기초이론
조직문화에 대한 고찰
성격의 특성론과 정신분석적 접근의 차이
조직이론
[경영조직이론][기업조직][합리성추구이론][베버 관료제론][메이요와 뢰드리스버그][체계모형...
[기업관계관리][ERM][기업관계][기업][정보화][고객관계관리][CRM]기업관계관리(ERM)의 의미,...
[아동발달] 방어기제에 대하여 개념을 정리하시오 [방어기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개인심리이론 ( 발생배경, 열등감과 보상, 우월에 대한 추구, 생활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