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자동차 i30(아이써티)을 적용한 마케팅 포지셔닝사례(Positioning) 및 시장세분화사례 STP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포지셔닝(positioning)이란?

■ 현대자동차의 역사와 현황

■ 유럽형 해치백 i30
- 국내시장 진입방법
- 20~30대를 겨냥한 i30의 Positioning

■ 결 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에 따라 고품격, 고사양을 추구하고 선 호하는 고소득층 집단 과 저렴한 차량의 소비 를 선호하는 저소득층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비자의 연령에 따라 20~30대의 연령은 SUV차량 및 스포츠카를 선호하고 30대 이후의 연령은 보다 안정적인 세단차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비자의 성별에 따라 여성들은 작고 아담한 디자인의 소형이나 준중형차를 선호하는 반면 남성들은 중형이나 대형차량들을 선호하는 경향.
i30의 경우 아담하고 여성을 매혹하는 디자인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경제력과 연령 보다는 성별에 의해 즉 여성들이 많이 선호하는 차량으로 파악됨으로 3번 시장에 해당된다고 보면 되겠다.
2. Targeting(대상고갱선정)
- i30의 경우는 유럽에서 직접 디자인하여 고풍스러움과 고급사양을 겸비한 차량으로서 준중형 중에서 고급성과 디자인에 민감한 여성시장을 겨냥하였다.
3. Positioning(위치화)
- 본 report의 초점인 i30은 과연 어떻게 소비자에게 어필하였으며 포지셔닝 시켰는가를 알아보도록 하자. i30의 경우 많은 장점과 단점을 가진 차량임을 위의 차량 소개를 통하여 인식하게 되었을 것이다. 종전까지 국내에서는 해치백 스타일의 차량(현대-라비타, 기아-칼로스)은 조기에 생산이 중지되는 현상이 있었지만, i30의 경우 현재 2010년에 들어서도 꾸준한 인기를 가지고 성능향상 및 개선을 하여 2010년형 i30을 탄생시켰다.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i30의 이유는 경제성, 안정성과 국산 차량에서는 볼 수 없었던 디자인의 설정에 의해 국내 해치백 스타일의 자동차 시장을 리더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음은 i30의 포지셔닝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3가지 요소를 분석하여 보자.
경제성으로서의 i30의 포지셔닝은, i30이 출시될 무렵 우리나라가 고유가 시대로 진입하였다. 그 시기에 대부분의 소비자 즉 구매자들은 연비가 좋은 차량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i30의 초기 모델은 타 준중형 차량에 비하여 공인연비가 높은 편이었고 엔진의 출력 또한 동급(1.6vvt)차량에 비하여 높은 편이었다. 그로 인해, 많은 잠재고객들의 주의를 끌 수 있었다. i30이 최초 출시되었던 2007년, 그후 2년이 지나, 2009년식의 i30은 기존 연비에 약 2킬로를 향상시킨 15.2km/L의 연비개선모델을 방출시키면서 더더욱 고객들에게 경제성을 지닌 차량으로 인식이 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안정성으로서의 포지셔닝 된 i30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현재, 국내 자동차 시장에 많은 기업의 준중형 차량들이 진출하여 있다. 그 중에 ‘과연 어떤 차량이 안정성 테스트에서 최고의 점수인 별5개를 획득 하였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는 고객들이 많았다. 우리나라의 국산 준중형 차량 중에 안정성테스트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차량은 현대의 i30과 최근 GM대우에서 출시한 차량인 라세티 프리미어 이다.
i30의 경우 기본 옵션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장착을 하였고, 추가적 옵션으로 준중형 차량에는 여태껏 장착되지 않은 측면에어백(전후방)을 장착함으로서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충돌시 경추 및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시트 및 헤드레스트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준중형 차량에 위협요소인 안정성 향상에 매진함으로써 고객들에게 기존 안전성이 문제가 되었던 해치백이 아닌 최고의 안전한 차량임을 각인시키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으로서의 포지셔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30의 디자인의 경우는, 국내 디자이너의 힘이 아닌 해치백의 본거지로 불리는 유럽에서 제작이 되었다. i30를 디자인한 디자이너는 前BMW에서 상위 클래스에 있는 디자이너였으며, 한국은 물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유럽현지에서 실제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을 디자인 하게 되었다. 그 결과 유럽풍의 고품스러운 디자인의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국내는 물론유럽에서도 상당한 호감형 해치백 스타일을 연출하게 되었다. 특히 20~30대 연령층에 있는 여성들이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었으며, 나아가서는 젊은층의 가족에게도 인기가 있는 피크닉 자동차로 거듭나서 현재는 2010년형부터 디자인 개선(휠)을 하여 재 포지셔닝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결론 및 참고자료
3
■ 결 론
- 금번 포지셔닝 과제를 수행하면서, 기업 선정과정 및 브랜드 선정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기업을 선정한다는 것이 무척이나 광범위하고 오늘날 우리가 접하고 있는 제품들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결국 현대자동차의 i30를 선택한 이유에는 단한가지 이다. 본인의 차량이 i30이기 때문인데, 한순간 머릿속에 스쳤던 생각이 있었다. 새차를 구매하는 것이 처음이었던 나는 몇가지의 갈등 속에 빠지게 되었었다.
르노삼성의 SM5, 현대의 산타페와 i30 이 세가지 모델이 구입할 수 있는 범위였다. 이 3가지 차량의 경우 모두 장단점이 있다. 하지만 많은 고심 끝에 i30을 선택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가 위에서 설명한 i30의 포지셔닝에 대한 부분이 나에게 작용한 탓이라 생각한다. 차량 구입에 있어서 학생인 나에겐 경제성이 중요하였고 안정성 그리고 디자인 또한 중요하였다. 그래서 결국 나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킨 i30을 구입하게 된 것이다. 내가 이렇게 구매하게 된 것처럼 포지셔닝은 잠재고객에게는 관심유발 및 구매욕구를 증가시키는 등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포지셔닝은 포지셔닝 자체만으로도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올바른 힘을 표출하기 위해서는 시장세분화, 대상고객선정 과정 또한 절대적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을 절실히 느꼈다. 차후에 무언가를 경영을 하게 될 나에게는 STP전략은 상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심도 깊게 공부해야할 과제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으며, 포지셔닝은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을 하지 않으면 성공적인 포지셔닝이 불가능 할 것이라는 결론과 포지셔닝이야 말로 고객지향적인 마케팅이자 절차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참고자료 및 문헌
- 마케팅 원리와 전략(저_김범종, 박승환, 송인암, 황용철)
- 현대자동차(http://www.hyundai.com)
- i30동호회(http://www.i30.net)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6.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