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화염접합의 삽이재와 플럭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목적

2. 사용재료 및 장치

3. 실험이론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정리내용

본문내용

산화피막을 제거 하여 삽입금속과 모재의 금속면이 직접 접촉 하여 완전한 접합면을 얻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플러스는 삽입금속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모재표면을 활성화 시키고, 삽임금속의 젖음성을 크게 향상시켜 삽입재의 퍼짐성과 침투성을 향상시키고, 플럭스에 첨가된 유효성분을 석출, 확산시킴으로서 접합부의 성질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5) 진공상태에서의 접합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AWS분위기 NO
가스원
표준 조성
용 도
삽입 금속
모 재
10
진 공
2torr이상의 진공
BCuP,BAg

10A
0.5~2torr진공
BCu, BAg
저탄소강
저합금강
10B
0.001~0.5torr 진공
동 상
내열, 내식강
Al.Ti.Zr
10C
10³ torr이하 진공
BNi,BAu,BAlSi
내열,내식강
Al,Ti,Ar
표에서와 같이 진공도에 따라 No,10,10A,10B,10C까지 분류하여 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촉매나 흡착제를 사용하여 노점이 낮은 분위기를 만드는 것 보다 진공으로 하여 산소분압이나 수증기 분압을 낮추는 것이 간단하다.
진공 접합은 모재의 성질을 열화 시키지 않고, 접합성을 좋게 하는 것이 장점이지만 가격이 비싸고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실험에 사용한 삽입재는 BAlSi이고 모재는 Al이다. 이는 표에서 보면 10³Torr이하의 진공분위기에서 접합을 하여야 한다. 이렇게 삽입재와 모재에 따라서 적절합 분위기를 이용해 접합을 해야, 완벽한 접합을 이룰 수 있다.
5. 고찰
이번 알류미늄 화염 접합은 지난번에 실험한 동의 화염 접합과는 다른 점이 많았다.
첫째로는 삽입재를 녹이기 위해 모재를 가열하는 것이 동에 비해 훨씬 어려웠다. 동은 가열을하면 색이 변하기 때문에 쉽게 온도의 변화를 예측 할 수 있었지만, Al를 온도상승에 따른 색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접합온도를 예측 하는데 상당히 힘이 들었고, 몇 번의 시행 착오 끝에 접합에 성공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플럭스의 활용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지난번 동의 접합의 경우도 모재와 삽입재가 같은 조성이었지만 Al과 달리 접한 계면부가 확실이 차이가 났다. 하지만 이번에 실험한 Al의 경우 플럭스를 도포하여 접합면의 산화피막을 제거하여 완전한 접합을 이뤘기 때문에 접합 경계면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번 실험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했기 때문에 더 남는 것이 많았던 실험이 되었던 것 같다.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25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